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s of Covert Narcissism on SNS Addiction Proneness of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Styles

전문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 김종운 (동아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
  • 이수련 (동아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 Received : 2018.03.06
  • Accepted : 2018.04.06
  • Published : 2018.04.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mpact of stress coping styl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of college students. For this study, 470 college students in Busan completed covert narcissism scale, SNS addiction proneness scale, stress coping style scale and the collected date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the result of analysis, covert narcissism, stress coping styles, and SNS addiction proneness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and stress coping styles partia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Therefore, people with covert narcissism use SNS as a way to relieve stress more often and it can be addictiv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SNS addiction proneness and providing data for therapeutic and educational approaches.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전문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470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SNS 중독경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한 후, 상관분석과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내현적 자기애,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SNS 중독경향성 간의 유의미한 상관이 있으며,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내현적 자기애를 가진 사람들이 스트레스 해소의 방법으로 SNS를 더 자주 사용하고 중독이 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SNS 중독경향성에 대한 이해와 치료적 교육적 접근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KT경제경영연구소, 한국을 바꾸는 7가지 ICT 트렌드, 한스미디어, 2016.
  2. http://www.gallup.co.kr/gallupdb/reportDownload.asp?seqNo=872
  3. 한국인터넷진흥원, 2015 모바일 인터넷 이용 실태 조사, 한국인터넷진흥원, 2016.
  4.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정보화진흥원, 스마트폰 이용실태 조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2015.
  5. 김남희, 결혼불만족과 외로움, SNS중독의 관계: 성별과 사회자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6. 한국정보화진흥원, 2015 국가정보화백서, 한국정보화진흥원, 2015.
  7. 이은주,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트위터, 언론정보연구," 제48권, 제1호, pp.29-58, 2011.
  8. 박순주, 권민아, 백민주, 한나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이용하는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pp.289-297,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5.289
  9. 김선아,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사용과 확산에 있어 개인적 영향과 사회적 영향의 차이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0. K. S. Young,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 Psychology and Behavior, Vol.1, No.3, pp.237-244, 1996.
  11. 한국인터넷진흥원, 2016 인터넷 이용 실태 조사, 한국인터넷진흥원, 2016.
  12. P. H. Hart and C. E. Joubert, "Narcissism and hostility, Psychological Report," Vol.79, No.1, pp.161-162, 1996. https://doi.org/10.2466/pr0.1996.79.1.161
  13. 권석만, 한수정, 자기애성 성격장애: 지나친 자기 사랑의 함정, 서울: 학지사, 2002.
  14. 오윤경, SNS중독경향성과 외로움, 우울, 대인관계, 사회적지지의 관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5. 이문선, 이동훈,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의 관계에서 수치심과 자기비난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6권, 제4호, pp.973-992, 2014.
  16. 조다현, SNS중독경향성과 병리적 자기애, 정서 표현성, 친구 지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7. http://www.hankookilbo.com/v/9860882568ee 495d9ef32a3a0a4cf855
  18. 강동주, 조성현, 강신진, "스마트 폰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경향 분석을 위한 프레임워크," 한국청보과학학회논문지, 제19권, 제10호, pp.502-508, 2013.
  19. D. J. Kuss and M. D. Griffiths,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Addiction: A Review of th Psychological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Vol.8, No.9, pp.3528-3552, 2011. https://doi.org/10.3390/ijerph8093528
  20. 류경희, 홍혜영, "중학생의 외현적, 내현적 자기애와 스마트폰 중독간의 관계: 공격성의 매개 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8호, pp.157-183, 2014.
  21. 류경희, 홍혜영, "중학생의 외현적, 내현적 자기애와 스마트폰 중독간의 관계: 공격성의 매개 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8호, pp.157-183, 2014.
  22. 이주영, 내현적 자기애 성향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기은폐 및 우울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23. 조성현, 서경현, "SNS중독경향성 관련 요인탐색: 내현적 자기애, 자기제시 동기 및 소외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8권, 제1호, pp.239-250, 2013.
  24. 박은혜, 강현아,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휴대전화 중독적 사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연구, 제16권, 제4호, pp.225-246, 2014.
  25. 민하영, "학령기 남녀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내현적 자기애적 성향과 자기통제의 영향," 아동학회지, 제34권, 제4호, pp.53-64, 2013. https://doi.org/10.5723/KJCS.2013.34.4.53
  26. R. S. Lazarus and S Folkman,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intelligenc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54, pp.772-781, 1984.
  27. 김정희,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세트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적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7.
  28. 권정혜, "청소년의 컴퓨터 게임 중독과 사회적 대인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4권, 제2호, pp.267-280, 2005.
  29. 이선주, 김귀애, 홍창희, "인터넷 사용동기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청소년의 병리적 인터넷 사용에 미치는 영향: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6권, 제3호, pp.265-284, 2011.
  30. 정민선, 김현미, 권현용, "청소년의 기본욕구충족과 인터넷 중독의 관계에 대한 스트레스대처의 매개효과 검증," 청소년상담연구, 제20권, 제1호, pp.159-174, 2012.
  31. 류주연, 김윤희, "대학생의 ADHD 증상과 스마 트폰중독간의 관계: 스트레스대처 방식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 치료, 제28권, 제2호, pp.563-578, 2016.
  32. 서애정, 고등학생의 자기통제력과 스트레스대처 방식이 스마트폰 사용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33. 신지선, 청소년의 또래관계 스트레스, 학업 스트레스, 스트레스대처방식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34. 현미란, 직장인의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충동성의 매개효과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조절효과,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16.
  35. 이영은, 내재적.외현적 자기애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36. D. E. Felsman and D. L. Blustein, "The Role of Peer Relatedness in Late Adolescent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Vocation Behavior, Vol.255, No.2, pp.279-295, 1999.
  37. 곽태은, 전문대학생의 성인애착, 향유신념, 취업 스트레스 및 스마트폰 중독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38. 박수민, 전문대학생의 진로성숙도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39. 보건복지부,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2016.
  40. 전호선, 장승옥, "스트레스와 우울이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8호, pp.103-129, 2014.
  41. 정소영, 김종남, "대학생용 SNS 중독경향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9권, 제1호, pp.147-166, 2014.
  42. Ahktar and J. A. Thompson, "Overview: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139, No.1, pp.12-20, 1982. https://doi.org/10.1176/ajp.139.1.12
  43. 강선희, 정남운, "내현적 자기애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4권, 제4호, pp.969-990, 2002.
  44. 박세란, 외현적.내현적 자기애의 자기평가와 귀인양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45. 김여진,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46.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47. K. S. Young, "Coping strategies used by adults with ADHD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8, pp.809-816, 2005. https://doi.org/10.1016/j.paid.2004.06.005
  48. 김현경, 온라인 메시지 포스팅 전략이 SNS 반응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