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Housing Environment in Farms for Practical Field Training of Young Farmers Focusing on the Farms for Practical Field Training of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청년농업인의 현장실습장 주거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농수산대학 장기현장실습장을 중심으로-

  • Joo, J.S.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 Hwang, I.U. (National of Chunbuk National University, CK-1 Project Team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J.S.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 Kim, S.D.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 Song, C.Y.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e study consisted of a survey of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level of the 3rd grade students and a survey of accessibility from farms for practical field training to public facilities.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farms on the map, the average distance to facilities related to convenience or safety and health that students complained was about 12km. And that to social and public facilities was about 4.4km. Students pointed out the convenience of using transportation, commercial and convenient facilities, and the safety of anti-crime security facilities as complaints during the practice session. Residential satisfaction levels in five realms, such as facility and structure, convenience, safety, comfort and sociality, were not all reached at the satisfaction level. In particular, the satisfaction level of female students was sub-normal in the safety and convenience realms. The average satisfaction levels reviewed by department were sub-normal for horse industry and floriculture departments. By residential patterns, satisfaction with sharing with the farmers was higher than with other patterns. And satisfaction level by housing structure was much lower in the assembly and container structures Since residential satisfaction level is determined by the inside and outside environment of the dwelling, college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accurate and vivid data us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본 연구는 한농대 학생들의 장기현장실습장의 지리적 정보와 현장실습을 마친 한농대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습장의 주거환경만족도에 대한 조사를 실시한 결과이다. 도상연구에 의하면 실습농장으로부터 학생들의 불만이 많았던 편리성 시설이나 안전성과 보건관련 시설까지의 평균 거리는 약 12km, 사회공공시설까지의 거리는 약 4.4km.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실습기간 중 '교통 이용의 편리성'과 '상업·편의시설과의 접근성' 등 편리성에 관련된 요인이 가장 큰 불만요인으로 조사되었으며, 여학생의 경우에는 '건물 방범 및 보안상태'에 대한 안전성 요인이 불만요인으로 나타났다. 시설 및 구조, 편리성, 안전성, 쾌적성, 사회성 등 5개 영역에서 주거 만족도 수준은 만족 수준에 도달하지 못했으며, 여학생의 경우에는 안전성과 편리성 영역에서 보통 이하의 만족도로 보였다. 학과별로는 말산업학과와 화훼학과가 다른 학과들보다 낮은 보통 이하의 만족도를 보였다. 주거유형별로는 주인세대와 함께 생활하는 경우의 만족도가 다른 유형보다 높았으며, 주거구조별로는 조립식 또는 컨테이너 구조의 만족도가 다른 구조보다 낮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부성. (2014). 주거이동과 주거만족도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선정. (2004).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황해익, 송연숙, 최혜진, 손원경. (2016). 쉽게 배우는 SPSS 자료 분석. 공동체
  4. 오수철. (2015). 주택유형별 주거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장한두. (2008). 주거만족 영향요인과 주거환경평가 -서울시 중소규모 아파트의 거주자 특성별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4(5) : 11-21.
  6. 정창호. (2017). 지역 주거특성에 따른 주거환경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환경학회지, 주거환경, 15(2) : 1-11.
  7. 주거환경교육연구회. (2010). 주거환경의 기획과 평가. (주)교문사
  8. 주거환경교육연구회. (2010). 주거환경학총론. (주)교문사
  9. 한국농수산대학보. (2016). 제78호.
  10. 한국농수산대학보. (2016). 제79호..
  11. 행정안전부. (2017). 2017년도 지방자치단체 행정구역 및 인구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