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lanning Plan for Special Education Subjects by Analyzing the Factor of Selecting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특수교육기관 선택 요인 분석을 통한 특수교육대상자 배치계획

  • 김은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
  • 이용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8.10.26
  • Accepted : 2018.12.09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In this research, we analyze the factors considered by parents of subjects of special education when selecting special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children, and present proposals for improving the placement plan of special subje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special education subjects, a considerable number of kindergarten processes are required for compulsory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subjects are selected for elementary school entrance. Second, the factors of choosing the special educational institution of parents of special education subjects are the expertise of the teacher and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the type and extent of child disability, the distance to school and the way of commuting, educational facilities, Treatment room etc). Thirdly, it was found that parents' choices are the largest among schools in the school area, as to how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of special education subjects are arranged. For proper placement planning,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grasp the number of subjects for special education, so the selection time of the subjects of special education shall be the process of kindergarten at the latest, the disparity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disparity of educational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set school books to solve it.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자 학부모가 자녀의 특수교육기관 선택 시 고려하고 있는 요인 등을 분석하여 특수교육대상자 배치계획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대상자는 유치원 과정이 의무교육임에도 상당수가 초등학교 입학 시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되고 있다. 둘째, 특수교육대상자 학부모의 특수교육기관 선택 요인은 교사의 전문성과 교육과정 운영, 자녀의 장애 유형 및 정도, 통학거리 및 통학방법, 교육시설(특별활동실, 치료실 등)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육대상자의 특수교육기관 배치 방식은 통학권내 학교 중 학부모 선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적정한 배치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특수교육대상자 수가 정확히 파악되어야 하므로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시기는 늦어도 유치원 과정으로 하고, 특수교육기관의 불균형 및 교육시설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하여 통학권도 설정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표1. 특수교육대상자 및 장애등록 학생수 현황

HKKOAH_2018_v17n3_17_t0001.png 이미지

표2. 학생배치계획 수립 절차기초자료조사

HKKOAH_2018_v17n3_17_t0002.png 이미지

표3. 통학권

HKKOAH_2018_v17n3_17_t0003.png 이미지

표4. 학교설립 및 장애영역별 특수학교 현황

HKKOAH_2018_v17n3_17_t0004.png 이미지

표5. 일반학교 특수학급 현황

HKKOAH_2018_v17n3_17_t0005.png 이미지

표6. 일반학급(전일제 통합학급) 현황

HKKOAH_2018_v17n3_17_t0006.png 이미지

표7. 특수학교 교실 현황

HKKOAH_2018_v17n3_17_t0007.png 이미지

표8. 장애인 편의시설·설비 설치율(‘17년)

HKKOAH_2018_v17n3_17_t0008.png 이미지

표9. 특수교육대상자 특수교육기관 배치

HKKOAH_2018_v17n3_17_t0009.png 이미지

표10. 특수교육대상자 특수교육기관 배치

HKKOAH_2018_v17n3_17_t0010.png 이미지

표11. 학교 선택 시 가장 고려하는 점

HKKOAH_2018_v17n3_17_t0011.png 이미지

표12. 특수학교 문제점

HKKOAH_2018_v17n3_17_t0012.png 이미지

표13. 특수학급 문제점

HKKOAH_2018_v17n3_17_t0013.png 이미지

표14. 집에서 학교까지의 통학거리

HKKOAH_2018_v17n3_17_t0014.png 이미지

표15. 자녀의 학교 통학 방법

HKKOAH_2018_v17n3_17_t0015.png 이미지

References

  1. 강종구.김호연.김영표 등, 경기특수교육 서비스 다양화 방안, 경기도교육청, 2017
  2. 경기도교육청, 학생수용계획과 학교설립, 2005
  3.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 지원대상자를 위한 특수학급 운영 편람, (주)서울멀티넷, 안산, 2006
  4. 교육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령 해설자료, 2008
  5. 교육부, 특수교육백서, 국립특수교육원, 2010
  6. 교육부, 2018년 특수교육통계, 2018
  7. 교육부, 2018년 특수교육연차보고서, 2018
  8. 김남순,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통합정책 분석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3권, 3호, 2005, pp.55-277
  9. 김남희.김은경,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장애 자녀의 초등학교 입학을 위한 학교 선택 시 부모가 고려한 요인에 관한 연구, 유아특수교육연구, 17권, 4호, 2017. https://doi.org/10.21214/kecse.2017.17.4.23
  10. 김정권, 21세기 장애인의 사회통합 방향, 특수교육 및 재활전문가초청, 1996
  11. 국제학술심포지움 자료집, 대구대학교 장애인종합연구소, pp.1-20
  12. 김정숙, 장애유아의 공교육기관 유입과정 분석,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3. 김지연, 특수교육대상자 특수학교 배치 현황의 국제 및 국내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9권, 1호, 2017, pp.111-136. http://doi.org/10.21075/kacsn.2017.19.1.111
  14. 김지연,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통합교육 과제 : 특수교육대상자 범주와 배치 환경을 중심으로, 한국통합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2017
  15. 김진호, 한국 특수교육의 현황과 향후 과제에 대한 소고, 특수.영재교육저널, 2권, 2호, 2015, pp.71-97
  16. 류주현, 특수교육 접근 기회의 지역적 불균등에 대한 기초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2권, 2호, 2014, pp.81-98. https://doi.org/10.17279/jkagee.2014.22.2.81
  17. 박승희.나수현, 특수교육대상 자녀의 장애등록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개선요구, 정서.행동장애연구, 22권, 3호, 2006, pp.1-33
  18. 박진수, 특수교육대상자 학부모의 고등학교 특수 교육기관 선택요인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9. 백정옥, 일반 중학교로 진학한 장애 남학생 학부모의 경험과 요구,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0. 서희, 통합교육과 분리교육에 대한 장애학생 학부모의 인식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1. 오선애, 일반학교에서 특수학교로 전환한 장애학생의 이야기를 통해 본 특수교육의 의미,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22. 이임숙, 발달지체유아 어머니의 자녀 초등학교 입학관련 스트레스 내용 특성, 단국대학교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3. 정동영, 최소 제한적 환경의 개념 진전과 그 함의 제고, 특수교육저널, 8권, 4호, 2007, pp.387-363
  24. 정동영, 특수교육의 재개념화와 그 특수성 해명, 특수교육연구, 14권, 2호, 2007, pp.89-121
  25. 정용석, 통합과 분리에 대한 인식론적 접근을 통한 특수교육 실천모형 연구,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15권, 4호, 2004, pp.25-42
  26. 조민지.이영경.임업, 장애학생들을 위한 특수학교 입지선정 : 서울시 중랑구를 대상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 학회, 50권, 5호, 2015, pp.87-106. https://doi.org/10.17208/jkpa.2015.08.50.5.87
  27. 최선자, 특수교육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2006, pp.32-36
  28. 최현복, 통합교육의 성공요인 및 저해요인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의 인식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