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Korean ancient conical hat(Kotgal) and the paper-folding

한국 고대 고깔과 종이접기

  • Chae, Keum-Seok (Dept. of Clothing & Textil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 Kim, So-H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채금석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 김소희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Received : 2018.06.04
  • Accepted : 2018.12.25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Kotgal and paper-folding.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meaning and history of Korean ancient Kotgal and then investigates relationship between Kotgal and Korean paper-folding culture which has been inherited in various ways. Throughout the study, literature research and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along with empirical stud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told that Kotgal was used a as a trident hat symbolizing the sky, land, and man, whereas Korean paper-folding is known as closely related to the folk beliefs which had existed since ancient times. From ancient times, the Korean ancestors expressed the Three Gods representing beauties of the nature, 'sky(Chun), land(Ji) and man(In)' on the conical hat and prayed for their wish to the heaven. Second, Kotgal has been evolved in various ways from ancient times through Goryeo and Joseon Dynasty to present. The form of Kotgal has begun with folding and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origin of Korean paper-folding, which is the Korean traditional craft. Third, the paper-folding tradition of Korea has been variously applied in the Korean culture such as rituals, life crafts and plays and expresses the unconventional philosophical concepts unique of Korea. In conclusion, this study evidently shows that the Korean philosophical ideas behind Kotgal which originated from ancient paper-folding are scientific and systematic.

Keywords

References

  1. 강순제, 전현실. (2002) 고깔형 관모에 관한 연구. 복식. 52(1). 117-128.
  2. 강주형. (2014. 10. 01). '日 오리가미 원류는 고구려 담징이 전한 종이접기'. 한국일보. 자료검색일 2018. 6. 10, 자료출처 http://www.hankookilbo.com/News/Read/201410012088310382
  3. 고깔. 두산백과. 자료검색일 2018. 6. 8, 자료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61263&cid=40942&categoryId=31543
  4. 고려선(高麗扇). 한국고전번역원. 자료검색일 2017. 5. 10, 자료출처http://db.itkc.or.kr/dir/
  5. 고하수. (1997). 한국의 美, 그 원류를 찾아서. 서울: 하수출판사.
  6. 국사편찬위원회. (2006). 옷차림과 치장의 변천. 서울: 두산동아.
  7. 권일찬. (2012). 동양학원론. 파주: 한국학술정보.
  8. 김경. (2007). 이야기가 있는 종이 박물관. 파주: 김영사.
  9. 김광순. (2006). 한국구비문학-경북 고령군편. 서울: 도서출판 박이정.
  10. 김민자. (2013). 한국적 패션 디자인의 제다움 찾기.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1. 김병기. (1982). 韓國科學史. 서울: 이우출판사.
  12. 김병모. (1998). 금관의 비밀. 서울: 푸른역사.
  13. 김상일. (1999). 초공간과 한국문화. 서울: 교학연구사.
  14. 김상일. (1985). 한철학. 서울: 전망사.
  15. 김선호, 김미령. (2008). 옷본. 서울: 동문선.
  16. 김소현. (2003). 실크로드의 복식 호복. 서울: 민속원.
  17. 김숙현. (2017). 종이접기의 조형미를 적용한 제로 웨이스트 패션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김영란. (2017). 전통한지공예기법을 활용한 지화공예 연구. 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김윤희. (2003). '뒤집기'와 '비틀림' 공간의 중첩을 적용한 건축-경관 프로젝트 : 버선 제작 과정 분석의 응용.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김지현. (1994). 현대 섬유미술에 있어서의 종이작업에 관한 연구: 한국의 종이작업을 중심으로. 상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김진구. (1995). 고깔의 比較 言語學的 硏究. 복식문화연구, 6(2), 193-199.
  22. 류은주 외. (2003). 모발학 사전. 서울: 광문각.
  23. 박계홍. (1973). 한국 민속연구. 파주: 형설출판사.
  24. 박선희. (2006). 한국고대복식, 파주: 지식산업사.
  25. 박은주. (2005). 조선후기 造花의 유형과 변천 : 絲花와 紙花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신성림. (2012). 종이 이야기 : 우리의 삶 그 자체인 종이의 역사. 서울: 국립산림과학원.
  27. 신찬옥. (2016. 01. 03). 세계인이 'Jongie Jupgi' 말할날 꿈꿔요. 매일경제 & mk.co.kr. 자료검색일 2018. 6. 4, 자료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no=3843&year=2016.
  28. 안재은. (2009). 고딕 시대 건축의 퍼펜디큘러(Perpendicular)양식의 조형성을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양진숙. (2005). 조선시대 관모사전, 서울: 화산문화.
  30. 오재경. (1990). 종이접기 교실. 서울: 한국종이접기협회.
  31. 왕길환. (2010. 09. 10). 종이접기 세계화하는 노영혜씨. 연합뉴스. 자료검색일 2018. 6. 10, 자료출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4650511
  32. 왕길환. (2015. 01. 26). 고깔은 종이접기 모태...세계에 유구한 역사 알리자. 연합뉴스. 자료검색일 2018. 6. 10, 자료출처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1/26/0200000000AKR20150126109500371.HTML
  33. 왕길환. (2017. 11. 11). 한국 종이접기 원류는 고깔...역사, 일본보다 앞서. 연합뉴스. 자료검색일 2018. 6. 10, 자료출처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1/11/0200000000AKR20171111036700371.HTML?input=1195m
  34. 우리 부채의 역사와 특징. 전주한옥마을 부채박물관. 자료검색일 2017. 5. 10, 자료출처 http://fanmuseum.co.kr/bbs/content.php?ct_id=6&cate_id=103010
  35. 운진수. (2010). 상모춤의 미적 탐색,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유재선. (1984). 조선조 민예품에 나타난 실첩 실상자의 조형적 특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윤순심. (2011). 우리나라 지장(紙裝)공예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윤영남. (2009). 종이조형 활동의 창의성 발달에 관한 연구: 유아기의 종이접기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윤초희. (2011). 미용 관련 속담 연구. 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이선원. (1998). 한지조형의 미학 I, 한국의 민속과 문화, 1, 191-211
  41. 이승범. (2006). 충청지역의 종이무구(巫具) : 충남 태안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무속학. 13, 45-70.
  42. 이승철. (2005). 우리 한지, 서울: 현암사.
  43. 이영미. (2004). 한국 전통건축의 공간해석을 위한 존재론적 접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4. 이진한. (2014). 고려시대 무역과 바다. 서울: 경인문화사.
  45. 이현경. (2008). 한국 고분미술의 곡선미 만곡자질비 구성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6. 임석재. (2006). 서양건축사-하늘과 인간. 서울: 북하우스.
  47. 임영자, 박미자. (1996). 한복에 나타난 위상기하학적 구성에 관한 연구. 복식, 30, 69-84.
  48. 전지희. (1998). 전통건축공간의 위상기하학적 분석과 공간디자인에의 적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전철. (2015). 우리나라 종이접기 공예품에 대한 역사적 고찰. 펄프.종이기술, 47(4), 168-176.
  50. 정명섭. (2011). 한국민속 신앙사전 - 무속신앙 1.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51. 정수경. (2005). 전통 조형물에 적용된 바시미 구조를 응용한 디자인 연구 : 해체주의 이론적 접근.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 정흥숙. (2012). 서양복식문화사. 경기: 교문사.
  53.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2000a).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유적 I-고구려편.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부.
  54.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2000b).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유적 II-고구려편.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부.
  55. 조춘영. (2005). 한국 전통음악 오선보 표기에 대한 철학적 연구: 기하학적 연구를 중심으로. 한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 종이접기. 두산백과. 자료검색일 2018. 5. 10, 자료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76422&cid=40942&categoryId=33065
  57. 채금석. (2012). 세계화를 위한 전통한복과 한스타일. 파주: 지구문화사.
  58. 채금석. (2017a). 한국복식문화-고대. 서울: 경춘사.
  59. 채금석. (2017b). 문화와 한디자인. 서울: 학고재.
  60. 최민자. (2006). 천부경. 서울: 도서출판 모시는 사람들.
  61. 최태호. (2005). 환경친화적인 한지 멋과 산업의 조화.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자료검색일 2018. 6. 10, 자료출처 https://www.kcti.re.kr/web_main.dmw?method=view&contentSeq=3844
  62. 팽각비. (2016). 한.중 부채춤에 나타난 선문화(扇文化)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3. 하진희. (2011). 교육을 통한 한지공예 활성화 방안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4. 한국문화정보원. (2015. 6. 11). 종이전래과정. 한국문화정보원. 자료검색일 2017. 5. 10, 자료출처 http://www.kculture.or.kr/korean/hanstyle/hanstyleView.jsp?pt_seq=1341
  65. 홍지나. (2002). 관모(冠帽)의 상징성을 형상화한 섬유조형 연구 : 직조(Weaving) 작품 제작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