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perties of Dry Cement Mortar Using Composite Slag Fine Aggregate

복합슬래그 잔골재를 사용한 건조시멘트 모르타르의 특성

  • Published : 2018.12.30

Abstract

Keywords

GSJHBM_2018_v13n4_42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슬래그 골재의 XRD분석

GSJHBM_2018_v13n4_42_f0002.png 이미지

그림 2. 고로수재슬래그 잔골재 치환율에 따른 미장용 모르타르의 단위수량 및 공기량 변화

GSJHBM_2018_v13n4_42_f0003.png 이미지

그림 3. 고로수재슬래그 잔골재 치환율에 따른 미장용, 바닥용 모르타르의 압축강도비

GSJHBM_2018_v13n4_42_f0004.png 이미지

그림 6. 복합슬래그 잔골재 치환율별 미장용 모르타르의 단위용적질량 및 공기량 변화

GSJHBM_2018_v13n4_42_f0005.png 이미지

그림 7. 복합슬래그 잔골재 치환율에 따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비

GSJHBM_2018_v13n4_42_f0006.png 이미지

그림 8. 복합슬래그 잔골재 치환율에 따른 바닥용 모르타르의 길이변화율

GSJHBM_2018_v13n4_42_f0007.png 이미지

그림 4. 고로수재슬래그 잔골재 치환율에 따른 바닥용 모르타르의 응결시간

GSJHBM_2018_v13n4_42_f0008.png 이미지

그림 5. 고로수재슬래그 잔골재 치환율별 바닥용 모르타르 길이변화율

[표 1] 슬래그 골재의 화학성분

GSJHBM_2018_v13n4_42_t0001.png 이미지

[표 2] 슬래그 골재의 입도 및 조립율

GSJHBM_2018_v13n4_42_t0002.png 이미지

[표 3] 슬래그 골재의 물리적 특성

GSJHBM_2018_v13n4_42_t0003.png 이미지

[표 4] 건조사와 슬래그 골재의 마모저항성

GSJHBM_2018_v13n4_42_t0004.png 이미지

[표 5] 알칼리잠재반응성 시험결과

GSJHBM_2018_v13n4_42_t0005.png 이미지

References

  1. 국토교통부 (2018), 2018년도 골재수급계획.
  2.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2017) 골재수급 안정대책, 제22회 국정현안 점검조정 회의자료.
  3. 정은혜, 이건호, 서신석, 노현승, 김정환 (2008), "순환골재를 적용한 건조모르타르의 기초적 물성에 관한연구", 2008 시멘트심포지엄, pp.159-166.
  4. 최연왕, 박만석, 배수호, 이훈하, 조봉석. (2010), "콘크리트용 잔골재로서 수쇄 페로니켈슬래그의 품질특성", 2010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1462-1465.
  5. M. Valcuende, F. Benito, C. Parra, I. Minano. (2015). Shrink of self-compacting concrete made with blast furnance slag as fine aggregat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76, 1-9. https://doi.org/10.1016/j.conbuildmat.2014.1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