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Status of Fine aggregate for Concrete Using Steel Slag

철강슬래그를 활용한 콘크리트용 복합슬래그 잔골재 제조기술개발 현황

  • Published : 2018.12.30

Abstract

Keywords

GSJHBM_2018_v13n4_22_f0001.png 이미지

그림 1. 환경보전과 개발의 이면적 갈등

GSJHBM_2018_v13n4_22_f0002.png 이미지

그림 2. 고로슬래그 잔골재 생산지 현황(일본)

GSJHBM_2018_v13n4_22_f0003.png 이미지

그림 3. 지역거점별 콘크리트용 페로니켈슬래그 골재 생산기지

GSJHBM_2018_v13n4_22_f0004.png 이미지

그림 4. 복합슬래그 잔골재 개발개요

GSJHBM_2018_v13n4_22_f0005.png 이미지

그림 5. 슬래그 외관 및 입형

GSJHBM_2018_v13n4_22_f0006.png 이미지

그림 6. 건조수축

GSJHBM_2018_v13n4_22_f0007.png 이미지

그림 9. 페이스트-고로슬래그 잔골재 계면특성 (91일 시험체)

GSJHBM_2018_v13n4_22_f0008.png 이미지

그림 10. 복합잔골재 시제품 생산

GSJHBM_2018_v13n4_22_f0009.png 이미지

그림 11. 시제품을 활용한 자연사 대체 검토

GSJHBM_2018_v13n4_22_f0010.png 이미지

그림 12. 콘크리트 B/P생산 및 Mock-up

GSJHBM_2018_v13n4_22_f0011.png 이미지

그림 13. 주상복합현장, 콘크리트 펌핑타설

GSJHBM_2018_v13n4_22_f0012.png 이미지

그림 14. PHC 파일 시험생산

GSJHBM_2018_v13n4_22_f0013.png 이미지

그림 15. 레미탈 시험생산 및 현장적용

GSJHBM_2018_v13n4_22_f0014.png 이미지

그림 7. 몰탈 압축강도

GSJHBM_2018_v13n4_22_f0015.png 이미지

그림 8. 콘크리트 압축강도

[표 1] 잔골재의 물리적 성질

GSJHBM_2018_v13n4_22_t0001.png 이미지

[표 2] 잔골재의 화학적 성분규정

GSJHBM_2018_v13n4_22_t0002.png 이미지

[표 3] 유해물질 기준

GSJHBM_2018_v13n4_22_t0003.png 이미지

References

  1. 최연왕, 조봉석, 오성록, 박만석 (2014), 파이넥스 수쇄 슬래그 잔골재의 혼합률에 따른 콘크리트의 품질특성 평가,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2(2), 145-151
  2. 鐵鋼スラグ協会 (2013), :鉄鋼スラグ統計年報
  3. 宮本孝行, 鳥井孝一, 赤羽健一, 林口幸子 (2014), コンクリート用高炉スラグ骨材の製造と利用技術, 新日鉄住金技報第399号, 102-109
  4. 日本建築学会 (2013), 高炉スラグ細骨材を使用するコンクリートの調合設計.施工指針.同解説
  5. 平井 ほか (2009), 高炉水砕スラグに対する固結遅延剤の遅延効果評価, Cement and Concrete Technology (63), 78-86
  6. 土木学会コンクリート委員会高性能コンクリート研究小委員会 (2007), 高炉スラグ骨材コンクリート施工指針 (コンクリート.ライブラリー (第76号)) 単行本
  7. 齊藤和秀 (2017), 名古屋工業大学学術機関リポジト, 高炉スラグ細骨材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の特性に関する研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