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zing the Instruments on core competencies of the 2015 Revised Informatics Curriculum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정보과 핵심역량에 관한 검사도구 분석

  • 우호성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
  • 김자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
  • 이원규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컴퓨터학과)
  • Received : 2017.12.04
  • Accepted : 2018.02.28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Competency is an extended concept rather than knowledge and skill, which means the ability to efficiently and rationally solve various problems. This study focuses on the core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Informatics Curriculum and aims to analyze the constitution method and composition of domestic and overseas Instruments that can measure core competencies. As a result of analyzing 12 Instruments developed by the countries and organizations, nine Instruments measure two or more competencies based on computing thinking, information culture literacy, and cooper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hree Instruments have one competency were measured. Ten instruments were computer based tests, and 50% of the items were developed by two or more of multiple choice item, subjective item, and descriptive item.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is study provided a crucial step in the development of Instruments to diagnose competencies to be developed into informatics science education.

역량은 지식이나 기능보다 확장된 개념으로 다양한 문제를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2015 정보과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핵심역량에 주목하여, 핵심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국내외 검사도구의 구성 방법 및 내용 구성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국가 및 기관에서 개발한 12개 검사 도구를 분석한 결과, 컴퓨팅 사고력, 정보문화소양,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기준으로 9개 검사 도구는 두 가지 이상의 역량을 측정하고 있었으며, 3개의 검사 도구는 한 가지 역량만을 측정하고 있었다. 10개의 검사 도구는 컴퓨터 기반검사를 시행하고 있으며, 객관식, 주관식, 서술식 중 2가지 이상의 형태로 문항을 개발한 검사도구가 50%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는 정보과 교육으로 길러지게 될 역량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 도구의 개발 방향에 중요한 단초를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OECD(2016a). OECD Skills Studies: The Survey of Adult Skills, Reader's Companion, Second Edition
  2. OECD(2016b). PISA 2015 Assessment and analytical framework: Science, reading, mathematic and financial literacy. Paris: OECD.
  3. OECD (2016c). PISA 2018 Draft Analytical Frameworks, May 2016
  4.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3).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2 결과 보고서.
  5. OECD(2013b). OECD Skills Outlook 2013: First Results from the survey of adult skills
  6. OECD(2015). Students, Computers, and Learning: Making the Connection. Paris: OECD.
  7. 우호성, 김자미, 이원규(2017). 해외 고등정보 표준교육과정 기반의 국내 대학 교육과정 비교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 27-38.
  8.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2015). 미래 디지털 인재 정의에 관한 연구.
  9.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 2015-80호 별책 1(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의 부칙개정). 교육부.
  10. 김자미, 이원규(2016). 교육과정 총론의 문서체제에 나타난 고등학교 정보과 교육과정의 변천, 한국컴퓨터교육 학회. 19(5), 27-40.
  11. 한국교육개발원(2015). KEDI 학생 역량 조사 연구: 조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12. 김수환(2015). Computational Thinking 역량에 대한 학습자 평가를 위한 스크래치 코드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8(5), 25-33.
  13. 김경규, 이종연(2016). 컴퓨팅 사고력 기반 프로그래밍 학습의 효과성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9(1), 27-39.
  14. 최숙영(2016). 문제해결의 관점에서 컴퓨팅 사고력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에 대한 연구.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9(1), 53-62.
  15. 임규연, 김희준, 박하나(2014). 웹기반 협력학습에서참여와 상호작용의 차이에 대한 고찰.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7(4), 69-78.
  16. 박혜영, 임해미(2014). 협력적 문제해결력 교수 학습 및 평가를 위한 PISA아 ATC215의 특징 비교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9), 439-462.
  17. 교육부(2007).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07-79호 별책 1. 교육부.
  18. 한국교육과정정보센터. www.ncic.re.kr.
  19. The Joint Task Force on Computing Curricula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ACM) IEEE Computer Society (2013), Computer Science Curricula 2013.
  20. 우호성, 김자미, 이원규(2017). 해외 고등정보 표준교육과정 기반의 국내 대학 교육과정 비교분석. 한국컴퓨터 교육 학회. 20(1), 27-38.
  21. 김상연(2010). 중등 교과수업에 적용 가능한 정보문화교육 모델 탐색. 컴퓨터교육학회 동계 학술발표 논문지, 14(1), 19-22.
  22. 양혜지, 김자미(2016). 교육대학원의 중등 정보교사 양성 과정에서 정보윤리교육 현황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2), 23-34.
  23. 배예선, 전우천(2016). 학력과 정보문화지수와의 상관관계 분석연구.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7(4), 127-133.
  24. 안성훈 외(2017). 2016년도 SW교육 연구학교 효과성 분석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25. IITP(2014). 초.중등 TOPCIT 출제기준 개발연구.
  26. IITP(2014). 초.중등 TOPCIT 모델개발 기획연구
  27. https://www.topcit.or.kr/view/view.do
  28. http://media.collegeboard.com/digitalServices/pdf/ap/ap-computer-science-a-course-description.pdf
  29. NEAP(2006).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0. 문부과학성(2016). 정보활용능력 조사(초.중학교) 조사 결과(개요판)
  31. 문부과학성(2016). 정보활용능력 조사(고등학교) 조사 결과(개요판)
  32. ACARA(autralian currculum, assesement and reporting authrit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apability learning continuum.
  33. ACER (2010). National Assessment Program - ICT Literacy Year 6 & 10 Report. Australia: MCEECDYA.
  34. Australian Curriculum, Assessment and Reporting Authority (2015). National Assessment Program-ICT Literacy Years 6 & 10. Report 2014. Sydney:ACER.
  35. EU Commision (2014). The international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study (ICILS): Main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 policies in Euope, Education & Training
  36. ICILS 2013. Assessment Framework.
  37. ICILS 2018. Tht IEA's International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study(ICILS) 2018.
  38. https://www.isb.bayern.de/gymnasium/leistungserhebungen/abiturpruefung-gymnasium/informatik/
  39. 김상무(2016), 독일의 대학입시와 고교교육과의 연계에 관한 연구, 교육의 이론과 실천, 21(1), 1-22
  40. Bebras Computing Challenge 2016. (http://www.bebraschallenge.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