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Competence and Demands of Vocational Teachers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regarding Competence to Organize, Operate NCS-based curriculum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특성화고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 및 교육요구도

  • Received : 2018.02.12
  • Accepted : 2018.03.20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tent of possession of competence to organize and operate NCS-based curriculum among vocational teachers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their educational needs and demands. To this end, the questionnaire was used as a research tool. The draft of questionnaires was developed based on the element of competence to organize and operate NCS-based curriculums, and was modified, supplemented through review of four experts in the field of vocational education.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online) among total 71 vocational high schools located at Gyeonggi-do and collecting 433 questionnaires and then analyzing 340.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whole average of the extent of possession of competence to organize and operate NCS-based curriculums was 3.63. Seen by the average of each area, 'analysis of needs and environment' was 3.59, curriculum organization 3.54, its operation 3.74 and its assessment and feedback 3.57. Second, educational needs for competence to organize and operate NCS-based curriculums of vocational teachers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was 1.47.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전문교과 교사의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 운영 역량 보유도와 교육요구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사 도구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설문지는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 운영 역량 요인을 바탕으로 초안을 개발하여, 직업교육 분야 전문가 4명의 검토를 통하여 수정 및 보완하였다. 설문 조사는 경기도 특성화고 전체 71개교를 대상으로 설문지(온라인)를 배부하여 433부를 회수하고 340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전문교과 교사의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 운영 역량 보유도 전체 평균은 3.63이다. 영역별 역량 보유도 평균은 '요구 및 환경 분석' 3.59, '교육과정 편성' 3.54, '교육과정 운영' 3.74, '교육과정 평가 및 피드백' 3.57이다. 둘째, 특성화고 전문교과 교사의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 운영 역량 보유도는 3.63, 중요도 4.00이고 교육요구도는 1.47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관계부처합동자료(2014). 박근혜 정부 국정과제(2013-2107). 저자
  2. 교육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4).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개정 및 전문교과 교원자격 임용 양성체제 개선 방안. 저자.
  3. 교육부(2015a). 전기.전자 전문 교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별책 35]. 교육부
  4. 교육부(2015b).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1]. 교육부
  5. 교육부(2016). NCS 기반 교육과정 적용 국무회의 보고. 교육부 보도자료(2016.3.15.)
  6. 김인곤(2015). 특성화고등학교 취업지도 담당교사의 취업지도능력과 학교환경변인, 교사효능감 및 직무몰입의 관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7. 김선태 외(2011). 특성화고등학교 계열 재구조화와 교육과정 적용 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8. 김성남 외(2015).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활용 실태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9. 김연경 외(2015a). NCS 기반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전문교과 교사의 경력별 역량기반 연수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연구, 32(2), 149-179.
  10. 김연경, 이수경, 장명희(2015b). 델파이 조사를 통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교육전문가의 역할 및 역량 탐색. HRD연구, 17(3), 47-75.
  11. 대한상공회의소(2010). 대졸 신입사원의 업무능력에 대한 기업의견 조사. 저자.
  12. 안재영, 이찬주(2017). 중등 전문교과 표시과목 재구조화에 따른 자격 전환 연수 교육과정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3. 이병욱, 안재영, 강철민(2014). 공업계 특성화고.마이스터고에서의 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적용에 대한 전문교과 교원의 인식 및 분석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0(2), 111-119.
  14. 이수정, 김인엽(2015). NCS 기반 교육과정 도입에 따른 교사의 수업역량 강화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이슈페이퍼, 2015-5.
  15. 이영민, 임유화(2016). 공업계 고교 NCS 기반 교육과정의 편성 실태와 과제.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1(1), 22-45.
  16. 이용순 외(2012). 특성화고 전문교육 강화를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개정 시안 개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7. 이찬주(2016). 공업계열 직업교육기관 교사의 직무 내용과 시간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8. 임종현(2017). NCS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에서 전문교과 교사의 마이크로프로세서 교수역량 모델 개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 장명희 외(2013).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총론 개발 연구. 교육부, 서울특별시교육청,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 장명희 외(2014). 능력중심사회구축을 위한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개정 및 전문교과 교원자격.임용.양성체계 개선 방안. 공청회 자료집. 교육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1. 전미연, 이지현, 송해덕(2014).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고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모델 탐색. 직업교육연구, 33(4), 51-76.
  22. 최동선 외(2014).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학습모듈 활용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3. 최동선 외(2013). 실전.창의인재 양성사업 모니터링 및 성과분석. 고용노동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4. 한국산업인력공단(2016).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CS학습모듈. Retrieved from June 10, 2016. http://www.ncs.go.kr/ncs/
  25. 허영준 외(2013).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실전.창의인재 양성을 위한 NCS기반 교육과정 개발 사업. 교육과학기술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