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Since the ratification of the Paris Agreement (COP21), the government is continuously strengthening policies for the reduction of greenhouse ga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accordance with the growing importance of reducing greenhouse gas and obligation of the government. Especially, the government emphasizes the need to improve the energy performance of old public buildings. Since 2014, the government is running a pilot project in which the government supports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green remodeling project of old public buildings and it is intended to develop the best practice of green remodeling and activate the green remodeling in the private secto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old public buildings by each level through green remodeling and conducted building related investigation and equipment measurement to plan the alternatives of the corresponding buildings. The improvement plan is a green remodeling plan that integrates alternatives. Five improvement plans were developed for each level to analyze the economic feasibility of each plan. As for the analysis method, the first energy demand amount calculation and the LCC analysis were performed through ECO2. In the LCC aspect, the improved 3/4 plan (middle level plan) was the most excellent and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order of the highest cost plan followed by the lowest cost plan.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tilized as a basic data for future green remodeling performance plan and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in the future.
파리협약 비준 이후 온실감축에 대한 중요성 및 국가 의무가 커짐에 따라 정부에서는 건축산업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고 있으며, 특히 노후건축물에 대한 에너지 성능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2014년 이후 정부에서는 공공 노후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사업의 시공비 지원 등으로 시범사업을 운영 중에 있으며 이를 통해 그린리모델링의 모범사례를 개발하여 민간에 그린리모델링을 활성 시키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 노후건축물의 그린리모델링을 통한 수준별 경제성을 분석하였으며, 해당건물의 대안을 계획하기 위해 건물 육안조사 및 장비측정을 수행하였다. 개선안은 대안을 종합한 그린리모델링 계획안으로 수준별 5개의 개선안을 개발하여 각 안에 대한 경제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ECO2를 통한 1차 에너지소요량 산정 및 LCC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LCC 측면에서는 개선 3, 4안(중간수준 안)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다음으로 최대비용안, 최소 비용 안 순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 결과로 향후 진행될 그린리모델링 성능계획 및 경제성 분석 시 기초자료로서 활용이 가능 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