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requency Octupler for W-band Transceiver

W-대역 송수신기를 위한 주파수 8체배기

  • Received : 2018.10.15
  • Accepted : 2018.12.07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A W-band frequency octupler is implemented on 100-nm GaAs pHEMT process. The fabricated octupler can be used as a local oscillator or a signal source of W-band transceivers. Three common-source doublers are connected in cascade to multiply an input signal of 10.75 GHz to 83 GHz. A common-source amplifier is followed for each doubler to improve the conversion gain and suppress the unwanted harmonics. The fabricated octupler showes high output of more than 6 dBm in the 80 - 84 GHz band and achieved excellent spurious suppression performance over 20 dBc.

W-대역 송수신기를 위한 주파수 8체배기가 100-nm GaAs pHEMT 공정으로 설계 및 제작되었다. 제작된 체배기는 송수신기의 국부발진기 및 신호원으로 활용 가능하다. 공통-소스 2체배기를 3단 연결하여 10.75 GHz의 입력 신호를 83 GHz로 체배할 수 있다. 변환 이득 향상과 불요파 억제를 위하여 공통-소스 증폭기가 각 체배단 마다 포함되었다. 증폭기를 대역 필터로 활용하여 크고 복잡한 수동 필터 없이 충분한 불요파 억제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각 증폭기 이득을 조정하여 변환 효율을 극대화하였다. 제작된 체배기는 80 - 84 GHz 대역에서 6 dBm 이상의 높은 출력을 보이며 20 dBc 이상의 우수한 불요파 억제 성능을 확보하였다.

Keywords

OTNBBE_2018_v18n6_195_f0001.png 이미지

그림 1. 트랜지스터 게이트 전압에 따른 기본 주파수와 2차 고조파 전류의 변화 Fig. 1. Change of fundamental frequency and second harmonic current according to transistor gate voltage

OTNBBE_2018_v18n6_195_f0002.png 이미지

그림 2. W-대역 공통-소스 3단 주파수 8체배기 회로도 Fig. 2. Schematic of W-band common-source 3-stage frequency octupler

OTNBBE_2018_v18n6_195_f0003.png 이미지

그림 4. 중간 증폭기를 이용한 불요파 억제 Fig. 4. Suppression of unwanted harmonics by using the buffer amplifiers

OTNBBE_2018_v18n6_195_f0004.png 이미지

그림 3. 체배기 각 단의 출력 파워 최적화 Fig. 3. Output power optimization for each multiplying stage

OTNBBE_2018_v18n6_195_f0005.png 이미지

그림 6. 입력(상)과 출력(하) 정합 특성 그래프 Fig. 6. Input and output matching of designed multiplier

OTNBBE_2018_v18n6_195_f0006.png 이미지

그림 5. 제작된 주파수 8체배기 칩 사진 ( 3.2 × 1.2 mm2) Fig. 5. Microphotograph of designed frequency multiplier

OTNBBE_2018_v18n6_195_f0009.png 이미지

그림 7. 주파수 대비 출력 전력(상)과 입력 대비 83 GHz 출력 전력(하) Fig. 7. Measured output power relative to frequency and 10.375 GHz input power

OTNBBE_2018_v18n6_195_f0010.png 이미지

그림 8. 전 주파수 대역에의 출력 전력 스펙트럼 Fig. 8. Measured output power spectrum

표 1. 기존 주파수 체배기와의 비교표 Table 1. Comparison with the other frequency multipliers

OTNBBE_2018_v18n6_195_t0001.png 이미지

References

  1. Hong-Gu JI and Seung-Hyeub Oh, "Monolithic Integrated Amplifier for Millimeter Wave Band",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1, No. 10, pp. 3917-3922, Oct 2010. DOI: https://doi.org/10.5762/KAIS.2010.11.10.3917.
  2. Wan-sik Kim, "Development of W-band Transceiver Module using Manufactured",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 17, No. 2, pp. 233-237, Apr 2017. DOI: https://doi.org/10.7236/JIIBC.2017.17.2.233.
  3. R. Weber, U. Lewark, A. Leuther, and I. Kallfass, "A W-band x12 multiplier MMIC with excellent spurious suppression," IEEE Microw. Wireless Compon. Lett., vol. 21, no. 4, pp. 212-214, Apr. 2011 DOI: https://doi.org/10.1109/LMWC.2011.2106486
  4. U. J. Lewark, A. Tessmann, H. Massler, A. Leuther, and I. Kallfass, "Active single ended frequency multiplier-by-nine MMIC for millimeter wave imaging applications," in Proc. Wkshp. Integr. Nonlinear Microw. Millimetre-Wave Circuits, 2011, pp. 1-4. DOI: https://doi.org/10.1109/INMMIC.2011.5773324
  5. N. Mazor and E. Socher, "Analysis and design of an X-band-toW-band CMOS active multiplier with improved harmonic rejection," IEEE Trans. Microw. Theory Tech., vol. 61, no. 5, pp. 1924-1933, May 2012. DOI: https://doi.org/10.1109/TMTT.2013.2252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