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on Anger

대학생의 분노 경험

  • Received : 2018.01.03
  • Accepted : 2018.02.23
  • Published : 2018.03.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nger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and to clarify their meaning and structure. For this purpose, 7 students who experienced anger were interviewed in-depth and the data was analysed by phenomenological method of Giorgi. As a result, 19 sub-components and 5 core components were derived. The five core components were the difficult situation to accept, the expression of unbearable emotions, tiredness of mind and body, efforts to overcome, and growth after overcoming. 'The difficult situation to accept' referred to a situation in which anger was felt, and 'expression of unbearable emotion' referred to an expression of anger. The effect of anger showed the result of 'exhausted of mind and body'. 'Efforts to overcome' and 'growth after overcoming' has been to grow through efforts to resolve anger and have been adapted to school life.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a method to help college students overcome their anger, and a concrete plan for university.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분노 경험을 탐색하여 그 의미와 구조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분노를 경험한 대학생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사용하여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19개의 하위 구성요소와 5개의 핵심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5개의 핵심 구성요소로는 받아들이기 힘든 상황, 참을 수 없는 감정의 표출, 심신이 지침, 극복을 위한 노력, 극복 후 성장하게 됨이었다. '받아들이기 힘든 상황'이란 분노를 느끼게 되는 상황을 말하며, '참을 수 없는 감정의 표출'이란 분노를 표출하는 방법을 나타냈으며, 분노의 영향으로 인해 '심신이 지치게 됨'이 나타났고, '극복을 위한 노력'과 '극복 후 성장하게 됨'은 분노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통해 성장하게 되고 학교생활에 적응되어 가는 것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분노를 잘 극복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방법과 대학의 역할에 대한 구체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진, "대학생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 연구 : 자살시도경험, 정신건강, 심리사회적 문제를 중심으로," 정신보건과사회사업, 제32권, 제1호, pp.413-437, 2009.
  2. 주연수, "분노와 공격성 조절을 위한 감정코칭," 신학과 실천, 제47권, pp.313-347, 2015.
  3. 조혜영, "대학재학 후기청소년 세대의 사회적 위치 및 정체성 인식에 관한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제15권, 제2호, pp.367-393, 2013.
  4. K. L. Reeve, C. J. Shumakera, E. L. Yearwood, N. A. Crowell, and J. B. Riley, "Perceived stress and social support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educational experiences," J. of Nurse Educ Today, Vol.33, No.4, pp.419-424, 2013. https://doi.org/10.1016/j.nedt.2012.11.009
  5. F. Blanchard-Fields and A. H. Coats, "The experience of anger and sadness in everyday problems impacts age differences in emotion regulation," J. of Dev Psychol, Vol.44, pp.1547-1556, 2008. https://doi.org/10.1037/a0013915
  6. A. Bilge and G. Keskin, "An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anger management education enriched by psychodrama," J. of Psychiatric Nursing, Vol.8, No.2, pp.59-65, 2017.
  7. 양난미, "대학생 문제음주와 데이트폭력의 관계에서 특성분노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0권, 제4호, pp.2539-2554, 2009.
  8. K. Asberg, "Hostility/anger as mediator between college students' emotion regulation abilities and symptoms of depression, social anxiety, and generalized anxiety," The J. of Psychology, Vol.147, No.5, pp.469-490, 2013. https://doi.org/10.1080/00223980.2012.715601
  9. E. L. Birkley and C. I. Eckhardt, "Anger, hostility, internalizing negative emotions, andintimate partner violence perpetration: A meta-analytic review," Clinical Psychological Review, Vol.37, pp.40-56, 2015. https://doi.org/10.1016/j.cpr.2015.01.002
  10. E. Engin, A. Gurkan, S. Dulgerler, and L. B. Arabaci, "University students' suicidal thoughts and inflencing factors," J. of Psychiatr Ment Health Nurs, Vol.16, pp.343-354, 2009. https://doi.org/10.1111/j.1365-2850.2008.01377.x
  11. 박상혁, 노윤경, 조은혜, 이동귀, "분노표현양식에 따른 하위집단 간 대인관계문제 및 행복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5권, 제3호, pp.77-92, 2011.
  12. 최정, 차보경, "대학생의 학습된 무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8권, 제3호, pp.509-521, 2014. https://doi.org/10.5932/JKPHN.2014.28.3.509
  13. 김종주, 유형근, 권순영, "중학생의 분노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REBT활용 집단 상담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1권, 제4호, pp.57-75, 2011.
  14. 안정미, 안권순, "청소년의 분노정서경험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3호, pp.267-292, 2012.
  15. 이정숙, 이현, 안윤영, 유정선, "대학생 분노조절을 위한 통합적 집단상담 효과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7권, 제2호, pp.131-154, 2010.
  16. N. H. Cha and S. R. Sok, "Depression, self-esteem and anger expression patterns of Korean nursing students," J. of Int Nurs Rev, Vol.61, No.1, pp.109-115, 2014. https://doi.org/10.1111/inr.12076
  17. 추미례, 김정희, "대학생의 역기능적 의사소통 유형과 특성분노, 분노사고 및 분노표현에 대한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0권, 제4호, pp.1023-1039, 2008.
  18. 이은주, 박은아, "Q방법론을 활용한 여자 간호대 학생의 분노표현 양상 탐색," 수산해양교육연구, 제27권, 제3호, pp.682-695, 2015. https://doi.org/10.13000/JFMSE.2015.27.3.682
  19. 한정화, 김은자, 현진숙, 김나현, "공격성향 여성 노인의 분노 경험," 노인간호학회지, 제18권, 제2호, pp.95-105, 2016.
  20. A. Giorgi,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Duquesne university press, 1985.
  21. Y. S. Lincoln and E. G Guba,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1985.
  22. 오영재, "대학 신입생들의 대학생활경험에 대한 분석 연구," 교육문제연구, 제25집, pp.141-164, 2006.
  23. V. I. Chirkov and R. M. Ryan, "Parent and teacher autonomy-support in Russian and U. S. Adolescents : Common effect son well-being and academic motivation," J. of Cross Cultural Psychology, Vol.32, pp.618-635, 2001. https://doi.org/10.1177/0022022101032005006
  24. J. P. Tangney and R. L. Dearing, Shame and Guilt, New York, Guilford Press, 2002.
  25. 정해숙, 정남운,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분노표현 양식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 효과," 인간이해, 제32권, 제2호, pp.89-107, 2011.
  26. 최임정, 심혜숙,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현양식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제22권, 제2호, pp.479-492, 2010.
  27. 권혁남, "분노에 대한 인간학적 고찰," 인간연구, 제19권, pp.77-105, 2010.
  28. 홍구화, "분노조절을 위한 통합적 접근: Hall의 겅감적 접근 이론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목회와 상담, 제28권, pp.325-359, 2017.
  29. H. V. Coillie and I. V. Mechelen, "A taxonomy of anger-related behaviors," Motivation and Emotion, Vol.30, No.1, pp.57-74, 2006.
  30. S. Allan and P. Gilbert, "Anger and anger expression in relation to perception of social rank, entrapment ang depressive symptoms," Personality and Indivisual Difference, Vol.32, pp.551-565, 2002. https://doi.org/10.1016/S0191-8869(01)00057-5
  31. P. Kuppens, I. V. Mechlen, and M. Meulders, "Every cloud has a silver lining: interpersonal and individual differences determinants of anger-related behavior,"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30, pp.1550-1564, 2004. https://doi.org/10.1177/0146167204271176
  32. 오윤선, "청소년 분노조절에 대한 기독교 상담학적 접근," 복음과 상담, 제4권, pp.9-34, 2017.
  33. 김종운, 이지은, "대학생의 감사성향이 분노대처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 효과," 상담학연구, 제16권, 제6호, pp.409-423, 2015.
  34. 김교헌, "분노억제와 고혈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5권, pp.181-192, 2000.
  35. 이평숙, "중년 여성의 분노, 지각된 스트레스 및 정신건강 상태와의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제33권, 제6호, pp.856-864, 2003.
  36. 김미경, 유아교육기관에 종사하는 유아교사의 분노경험 연구,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37. 제이 E. 아담스, "분노와 상담 : 분노를 극복하는 방법," 상담과 선교, 제57권, pp.85-110, 2008.
  38. 김경희, 정서심리학, 박영사, 2004.
  39. 정은이, 박용한, "대학 적응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교육방법학회, 제21권, 제2호, pp.69-92, 2009.
  40. 오윤정,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제7호, pp.307-317, 2017. https://doi.org/10.14400/JDC.2017.15.7.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