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Caregivers on Hygienic Care for Diapers

요양보호사의 기저귀위생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Received : 2017.12.28
  • Accepted : 2018.02.19
  • Published : 2018.03.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iaper hygienic care education program for caregiver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diaper hygienic care knowledge and performance ability on diaper hygienic care.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 test design was conducted. The subjects for the study 50 caregivers work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Y-gun, Chungcheongnam-do were selected from the 25 experimental group and the 25 control grou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dow 22 version. diaper hygienic care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4 sessions in total. According to results of the education program, the diaper hygienic care knowledge increased after the post-test($M{\pm}SD=4.88{\pm}0.23$) compared to the pre-test score($M{\pm}SD=4.64{\pm}0.23$), but not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two groups(t = 1.253, p = .216). The performance ability of diaper hygienic car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M{\pm}SD=2.89{\pm}0.15$) compared to the pre - score($M{\pm}SD=1.86{\pm}0.18$)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t = 12.694, p =. 001). Thus, the developed diaper hygienic care education program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e nursing hygienic care ability of nursing caregivers.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를 위한 기저귀위생간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기저귀 위생간호에 관한 지식과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연구이다. 충청남도 Y군의 장기요양기관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중 실험군 25명과 대조군 25명의 총 50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22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저귀 위생간호 교육프로그램은 총 4회기로 구성되었다. 교육프로그램의 실험 결과, 기저귀 위생간호 지식은 사전점수($M{\pm}SD=4.64{\pm}0.23$)에 비해 사후점수($M{\pm}SD=4.88{\pm}0.23$)가 증가하였으나,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t=1.253, p=.216). 기저귀 위생간호 수행능력은 사전점수($M{\pm}SD=1.86{\pm}0.18$)에 비해 사후점수($M{\pm}SD=2.89{\pm}0.15$)가 증가하였고,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12.694, p=.001). 따라서, 개발된 기저귀 위생간호 교육프로그램은 요양보호사의 기저귀 위생간호 실무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강보험정책연구원, "노인장기요양보험 주요 통계지표," 건강보장정책, 제14권, 제1호, pp.283-285, 2015.
  2. 최인덕, 이은미, "실태조사를 통한 장기요양시설과 요양병원의 효율적 연계방안," 한국노년학, 제30권, 제3호, pp.855-869, 2010.
  3. 이종원, 송미숙, "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 여성노인의 요실금 관련요인," 한국노년학, 제35권, 제1호, pp.119-133, 2015.
  4. 송효정, 김수미, 김남초, "장기 요양시설 노인의 배뇨 형태 및 욕창 실태에 대한 조사," International Neurourology Journal, 제7권, 제2호, pp.91-97, 2003.
  5. 조귀영, 박정숙, "노인요양시설 요실금 여성노인의 요실금 정도, 관련문제 및 관리실태," 노인간호학회지, 제11권, 제2호, pp.162-172, 2009.
  6. 김문실, 이승희,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요실금 유병률과 관련요인," 한국간호학회지, 제38권, 제1호, pp.92-100, 2008.
  7. M. P. Offermans, M. F. Du Moulin, J. P. Hamers, T. Dassen, and R. J. Halfens, "Prevalence of urinary incontinence and associated risk factors in nursing home residents: A systematic review," Neurourol Urodyn, Vol.28, No.4, pp.288-294, 2009. https://doi.org/10.1002/nau.20668
  8. 지제근, (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서울, 고려의학, 2004.
  9. 이정순, 복지관 이용 여성노인의 요실금으로 인한 일상생활 불편감과 삶의 질,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0. 윤달환, 홍표현, 홍일선, 이성균, 한현희, 조상, 윤종욱, "요실금 치료용 골반저근 강화기,"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제36권, 제1호, pp.993-996, 2013.
  11. 이민경, 노인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장기요양등급에 따른 요양서비스 및 자원이용량 분석,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2. 홍경희, 요양보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3. 이윤진, 김희정, "실금관련피부염의 예방과 치료 프로토콜 효과: A Pilot Study," 대한창상학회지, 제10권, 제2호, pp.75-79, 2014.
  14. M. Gray, D. Z. Bliss, D. B. Doughty, J. Ermer-Seltun, K. L. Kennedy-Evans, and M. H. Palmer, "Incontinence‐associated Dermatitis: A Consensus," Journal of Wound Ostomy & Continence Nursing, Vol.34, No.1, pp.45-54, 2007. https://doi.org/10.1097/00152192-200701000-00008
  15. 윤송희, 최은영,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시설급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생활과학연구논총, 제 19권, 제1호, pp.17-31, 2015.
  16. 엄기욱,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서비스 질 향상 방안," 보건복지포럼, 제142권, pp.38-46, 2008.
  17. 임효연, 이민정, "관리자의 리더십이 요양보호사의 케어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2호, pp.308-318,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12.308
  18. 김은경, "장기요양시설 노인에 대한 간호서비스 제공시간 분석," 간호행정학회지, 제9권, 제3호, pp.353-366, 2003.
  19. 공은희, "노인요양시설 간호제공자를 위한 웹기반 억제대 사용 감소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노인간호학회지, 제14권, 제3호, pp.209-219, 2012.
  20. 손세정, 연하기능강화와 응급상황대응 교육프로 그램이 재가방문요양보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21. D. Beeckman, L. Schoonhoven, S. Verhaeghe, A. Heyneman, and T. Deflo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continence‐associated dermatitis :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65, No.6, pp.1141-1154, 2009.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9.04986.x
  22. C. D. MacDonald and L. Butler, "Silent no more: Elderly women's stories of living with urinary incontinence in long-term care,"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Vol.33, No.1, pp.14-20, 2007.
  23. S. Bale, N. Tebble, V. Jones, and P. Price, "The benefits of implementing a new skin care protocol in nursing homes," Journal of Tissue Viability, Vol.14, No.2, pp.4-50, 2004. https://doi.org/10.1016/S0965-206X(04)41002-X
  24. 박경희, 최희정, "실금간호 프로토콜 수용개작 및 효과 검증," 대한간호학회지, 제45권, 제3호, pp.357-366, 2015. https://doi.org/10.4040/jkan.2015.45.3.357
  25. 보건복지부, 요양보호사 표준교재, 서울, 보건복지부, 들샘, 2014.
  26. Wound, Ostomy and Continence Nurses Society, "Guideline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ressure ulcers," WOCN, 2010.
  27. Institute for Healthcare Improvement, How-to Guide, "Prevent Preessure Ulcers," IHI, 2011.
  28. 김미혜, 육홍숙, 정명희, "요양보호사의 직무교육과 직무연관성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제12권, 제1호, pp.103-132, 2015.
  29. 김민숙, 김정선,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를 위 한 낙상예방교육프로그램이 낙상관련 지식, 낙상 관련 부담감 및 낙상예방 돌봄행위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778-790,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778
  30. 국민건강보험공단, 요양보호사직무교육 고시자료, 2013-271호, 2013. http://www.nhis.or.kr.
  31. 김영옥, 배영숙, 김수미, 양진주, "성인간호학 실습지원 웹 콘텐츠의 학습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6권, 제1호, pp.5-13, 2010. https://doi.org/10.5977/JKASNE.2010.16.1.005
  32. 국민건강보험공단, 요양보호사 직무교육 교재, 국민건강보험공단, 들샘, 2015.
  33. 안재현, "신장이식 환자의 수술 후 자기효능증진 과 운동훈련 프로그램 효과," 한국간호학회지, 제 30권, 제5호, pp.1181-1194, 2000.
  34. 전병유, "우리나라 노인요양사 인력 문제와 대안적인 요양인력모델의 모색," 한국사회정책, 제17 권, 제3호, pp.67-91, 2010.
  35. 김춘미, 이홍자, 김은만, "농촌 지역 중년기 이후 여성들의 요실금 관련 건강문제와 대처,"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4권, 제3호, pp.368-376, 2013.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3.368
  36. 김현덕, 이근홍,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시행 6 년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사회과학연구, 제22권, pp.282-296, 2013.
  37. 오진주,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입소노인 가족에 대한 경험,"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제6권, pp.1-22,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