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만들기 활동과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Case Study on the Students' Characteristics toward Mathematics with Problem Posing Activities

  • 투고 : 2018.01.15
  • 심사 : 2018.02.13
  • 발행 : 2018.02.28

초록

학습자 스스로 흥미를 갖고 학습의 가치를 즐기며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학습을 지향하면서 본 연구에서 문제 만들기 활동이 초등학교 6학년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정의적 특성이 상, 중, 하로 학습자를 분류하고 각 집단이 만든 문제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사전 사후 정의적 특성 검사를 통한 상중하 수준 분류를 하고 각 수준별로 문제 만들기 활동지, 수학 소감문 등의 자료를 분석하고 면담한 결과를 종합하였다. 이를 통해 문제 만들기활동 통한 수학 교과 운영이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데 유의미한 효과를 거두었으며,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 수준에 따라 문제를 만드는 유형 및 특징이 상이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athematical the effects of problem posing activities on students' characteristics toward mathematics to encourage active learning. We will also examine various example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blems made by students with different mathematical characteristics. We chose one 6th grade group to conduct this research.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problem posing activities are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mathematical interest and confidence, value recognition. Second, Students with different mathematical characteristics showed different results in problem posing activities. We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problem posing activities on students' positiv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In this regard, we were able to confirm examples of various problems that students made. In the future, we would like to propose generalization by conducting research on students of various school ages.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 (2011).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2. 교육부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 [별책8].
  3. 교육부 (2016). 초등학교 교사용 수학 6학년 지도서(6-1, 2). 서울: (주)천재교육.
  4. 교육인적자원부 (2007).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07-79. 교육인적자원부.
  5. 김경탁, 류성림 (2013). 5, 6학년 수학교재의 문제만들기 내용 및 6학년 학생들의 문제만들기에서의 오류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7(2), 321-350.
  6. 김윤희 (2011). 문제 만들기 활동이 수학적 개념 및 원리 이해와 문장제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배준환 (2015). 반성적 문제만들기 활동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이강은 (2008). 문제만들기 전략을 적용한 문제 해결 지도가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재영 (2017). 수학적 문제제기 활동이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지혜 (2004). 문제 만들기 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 변화에 대한 연구. 공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임문규 (1992). 수학 교육에서 문제설정과 문제 해결의 관련에 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논문집, 3(2), 1-13.
  12. 임문규 (2001). 초등 수학과 교수․학습모형 및 자료 개발- 초등 수학교육에서 문제 만들기 교수․학습의 체계화 및 자료 개발. 1999년도 교육부 지원 교과 교육 공동 연구결과보고서.
  13. 장민정 (2013). 수준별 수업에서 중반 학생의 수학 일기 쓰기가 수학적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정성건, 박만구 (2010). 수학 문제만들기 활동이 문제해결력과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2), 315-335.
  15. 최혜진, 김상룡 (2011). 생활 소재를 활용한 수학 문제 만들기 활동.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1), 121-139.
  16.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PISA와 TIMSS결과에 기반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특성 함양 방안. 연구보고 RRE 2013-8.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7. 황정규 (1998). 학교학습과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18. Brown, S. I. & Walter, M. I. (1983). The art of problem posing. Philadelphia, PA: The Franklin Institute Press, second edition. Hillsdale, V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19. Brown, S. I. & Walter, M. I. (1990). The art of problem posing. Routledge.
  20. Kilpatrick, J. (1987). Problem formulating: where do good problems come from In A.H. Schoneld(Ed.), Cognitive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21(6), 123-147.
  21. NCTM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2. Polya, G. (1957). How to solve it: A new aspect of mathematical method(2nd). (Ed.), 우정호 (역) (1986).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서울: 천재교육.
  23. Silver, E. A. (1993). A study on mathematical problem posing. 전평국, 방정숙 (역) (1995). 수학적 문제 설정에 관하여. 과학과 수학교육 논문집, 16. 215-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