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제품유형과 제시유형에 따른 웹툰 PPL 효과 연구

Effect of Webtoon PPL by Product Type and Placement Type

  • 조윤진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기업성장본부 기술혁신지원팀) ;
  • 박범순 (홍익대학교 광고홍보학부)
  • 투고 : 2017.11.14
  • 심사 : 2018.01.05
  • 발행 : 2018.02.28

초록

본 연구는 제품 유형 및 PPL 제시 유형에 따른 웹툰 PPL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수용자들의 광고 회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웹툰 PPL 제작방식 및 집행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제품 유형(실용재/쾌락재), 웹툰 PPL 제시 유형(이미지형/삽입형/혼합형)에 따라 $2{\times}3$의 집단 간 실험 설계를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브랜드 태도에 있어서 PPL유형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였다. 특히 삽입형의 경우 가장 긍정적인 브랜드 태도를 형성하였다. 웹툰 콘텐츠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는 쾌락재의 경우와 삽입형 PPL의 경우가 가장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of message effect by product types and placement types of webtoon PPL(Product Placement). The study have tried to find effective webtoon PPL type and product type to minimized consumers' advertising avoidance. For analysis, two-way between subject design was produced by product types(utilitarian and hedonic product) and webtoon PPL placdement types(image, insert, and combination type). In results, there was a difference by PPL placement types for brand attitude. In special, the insert type had highly positive brad attitude. For webtoon contents, highly positive attitude was discovered in the cases of the hedonic product and the insert type of webtoon PPL.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수지, 전봉관, "웹툰 2.0의 서비스 현황과 발전방향: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화와 멀티미디어 효과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8호, pp.96-108,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8.096
  2. 김성은, 전중옥, 박현희, "PPL 광고의 배치유형과 프로그램 상황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사전침입성 지각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4호, pp.297-313,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4.297
  3. KT경제경영연구소, 웹툰 플랫폼의 진화와 한국 웹툰의 미래, 2013.
  4. 리대룡, 남기창, "영화 속 브랜드배치에 대한 평가적 태도," 광고홍보연구, 제7권, 제1호, pp.1-33, 1999.
  5. J. A. Karrh, "Brand Placement: A Review," J. of Current Issues and Research in Advertising, Vol.20, No.2, pp.31-49, 1998. https://doi.org/10.1080/10641734.1998.10505081
  6. P. B. Gupta and K. R. Lord, "Product placement in movies: The effect of prominence and mode on recall," J. of Current Issues and Research in Advertising, No.20, pp.47-59, 1998.
  7. 유승엽, "배치 유형과 모델 평가 및 제품 관여도에 따른 광고 속 제품 배치효과," 미디어 경제와 문화, 제3권, 제2호, pp.48-90, 2005.
  8. I. Brennan, K. M. Dubas, and L. A. Babin, "The influence of product-placement type and exposure time on product-placement recognition," International J. of Advertising, Vol.18, No.3, pp.323-337, 1999. https://doi.org/10.1080/02650487.1999.11104764
  9. S. Law and K. A. Braun, "I'll have what she's having: Gauging the impact of product placements on viewers," Psychology and Marketing, Vol.17, pp.1059-1075, 2000. https://doi.org/10.1002/1520-6793(200012)17:12<1059::AID-MAR3>3.0.CO;2-V
  10. G. Murdock, "Branded Images + Program Sponsorship on Television," Sight and Sound, Vol.2, No.3, pp.18-19, 1992.
  11. 남경태, "텔레비전 드라마 BPL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관련성이 있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4권, 제3호, pp.228-254, 2010.
  12. 진창현, "브랜드 회상과 태도 형성과정에의 유머러스한 장면과 플롯 구성 연결성의 역할: 영화 속의 간접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20권, 제6호, pp.33-54, 2009.
  13. M. Yang and D. R. Roskos-Ewoldsen, "The effectiveness of brand placement in the movies: Levels of placements, explicit and implicit memory, and brand choice behavior," J. of Communication, Vol.57, No.3, pp.469-489, 2007. https://doi.org/10.1111/j.1460-2466.2007.00353.x
  14. T. Lee, Y. Sung, and S. M. Choi, "Young adults' response to product placement in movies and television shows," International J. of Advertising, Vol.30, pp.479-507, 2011. https://doi.org/10.2501/IJA-30-3-479-507
  15. G. Laurent and J. N. Kapferer, "Measuring consumer involvement profiles," J. of Marketing Research. Vol.22, pp.41-53, Feb. 1986.
  16. C. Park and B. Mo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involvement and product knowledge: Moderating roles of product type and product knowledge type," Psychology and Marketing, Vol.20, No.11, pp.977-997, 2003. https://doi.org/10.1002/mar.10105
  17. M. B. Holbrook and E. C. Hirschman, "The experiential aspects of consumption: Consumer fantasies, feeling, and fun," J. of Consumer Research, Vol.9, pp.132-140, 1982. https://doi.org/10.1086/208906
  18. 박재관, 박정은, "연구논문: 인쇄광고에서 모델의 유명도와 인종일치도가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영향: 실용적 제품과 쾌락적 제품을 중심으로," 마케팅관리연구, 제14권, 제3호, pp.133-156, 2013.
  19. 이유재, 한다희, "비교 광고 상황에서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광고 태도와 브랜드 인지의 상대적 영향력에 관한 연구: 제품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광고연구, 여름호, pp.129-153, 2009.
  20. 임아영, 김면, "PPL 광고 효과에 따른 브랜드 인지도 제고 방안-TV 드라마 PPL 광고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제42호, pp.267-276, 2014.
  21. D. V. Thompson and R. W. Hamilton, "The effects of information processing mode on consumers' responses to comparative advertising," J. of Consumer Research, Vol.32, No.4, pp.530-540, 2006. https://doi.org/10.1086/500483
  22. 이철성,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PPL에 대한 시청자 인식에 관한 연구 : 텔레비전 시청량, 선호 장르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학위논문, 2008.
  23. 박은아, 양윤, "노출빈도와 선험 브랜드태도에 따른 간접광고(PPL)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 광고, 제14권, 제3호, pp.507-531,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