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이수지, 전봉관, "웹툰 2.0의 서비스 현황과 발전방향: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화와 멀티미디어 효과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8호, pp.96-108,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8.096
- 김성은, 전중옥, 박현희, "PPL 광고의 배치유형과 프로그램 상황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사전침입성 지각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4호, pp.297-313,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4.297
- KT경제경영연구소, 웹툰 플랫폼의 진화와 한국 웹툰의 미래, 2013.
- 리대룡, 남기창, "영화 속 브랜드배치에 대한 평가적 태도," 광고홍보연구, 제7권, 제1호, pp.1-33, 1999.
- J. A. Karrh, "Brand Placement: A Review," J. of Current Issues and Research in Advertising, Vol.20, No.2, pp.31-49, 1998. https://doi.org/10.1080/10641734.1998.10505081
- P. B. Gupta and K. R. Lord, "Product placement in movies: The effect of prominence and mode on recall," J. of Current Issues and Research in Advertising, No.20, pp.47-59, 1998.
- 유승엽, "배치 유형과 모델 평가 및 제품 관여도에 따른 광고 속 제품 배치효과," 미디어 경제와 문화, 제3권, 제2호, pp.48-90, 2005.
- I. Brennan, K. M. Dubas, and L. A. Babin, "The influence of product-placement type and exposure time on product-placement recognition," International J. of Advertising, Vol.18, No.3, pp.323-337, 1999. https://doi.org/10.1080/02650487.1999.11104764
- S. Law and K. A. Braun, "I'll have what she's having: Gauging the impact of product placements on viewers," Psychology and Marketing, Vol.17, pp.1059-1075, 2000. https://doi.org/10.1002/1520-6793(200012)17:12<1059::AID-MAR3>3.0.CO;2-V
- G. Murdock, "Branded Images + Program Sponsorship on Television," Sight and Sound, Vol.2, No.3, pp.18-19, 1992.
- 남경태, "텔레비전 드라마 BPL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관련성이 있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4권, 제3호, pp.228-254, 2010.
- 진창현, "브랜드 회상과 태도 형성과정에의 유머러스한 장면과 플롯 구성 연결성의 역할: 영화 속의 간접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20권, 제6호, pp.33-54, 2009.
- M. Yang and D. R. Roskos-Ewoldsen, "The effectiveness of brand placement in the movies: Levels of placements, explicit and implicit memory, and brand choice behavior," J. of Communication, Vol.57, No.3, pp.469-489, 2007. https://doi.org/10.1111/j.1460-2466.2007.00353.x
- T. Lee, Y. Sung, and S. M. Choi, "Young adults' response to product placement in movies and television shows," International J. of Advertising, Vol.30, pp.479-507, 2011. https://doi.org/10.2501/IJA-30-3-479-507
- G. Laurent and J. N. Kapferer, "Measuring consumer involvement profiles," J. of Marketing Research. Vol.22, pp.41-53, Feb. 1986.
- C. Park and B. Mo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involvement and product knowledge: Moderating roles of product type and product knowledge type," Psychology and Marketing, Vol.20, No.11, pp.977-997, 2003. https://doi.org/10.1002/mar.10105
- M. B. Holbrook and E. C. Hirschman, "The experiential aspects of consumption: Consumer fantasies, feeling, and fun," J. of Consumer Research, Vol.9, pp.132-140, 1982. https://doi.org/10.1086/208906
- 박재관, 박정은, "연구논문: 인쇄광고에서 모델의 유명도와 인종일치도가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영향: 실용적 제품과 쾌락적 제품을 중심으로," 마케팅관리연구, 제14권, 제3호, pp.133-156, 2013.
- 이유재, 한다희, "비교 광고 상황에서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광고 태도와 브랜드 인지의 상대적 영향력에 관한 연구: 제품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광고연구, 여름호, pp.129-153, 2009.
- 임아영, 김면, "PPL 광고 효과에 따른 브랜드 인지도 제고 방안-TV 드라마 PPL 광고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제42호, pp.267-276, 2014.
- D. V. Thompson and R. W. Hamilton, "The effects of information processing mode on consumers' responses to comparative advertising," J. of Consumer Research, Vol.32, No.4, pp.530-540, 2006. https://doi.org/10.1086/500483
- 이철성,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PPL에 대한 시청자 인식에 관한 연구 : 텔레비전 시청량, 선호 장르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학위논문, 2008.
- 박은아, 양윤, "노출빈도와 선험 브랜드태도에 따른 간접광고(PPL)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 광고, 제14권, 제3호, pp.507-531,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