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기관 아카이브로의 기록관 기능 확대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xpansion of the Function of the Archives to the Agency Archives

  • 주현미 (명지대학교 디지털아카이빙연구소,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 김익한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사)한국국가기록연구원)
  • 투고 : 2018.01.31
  • 심사 : 2018.02.23
  • 발행 : 2018.02.28

초록

지방분권의 흐름에 맞춰 새 시대의 기록관리를 위해 기록 분권을 통한 기록관리 현장에서부터의 내재적 발전을 준비해야 할 시점이다. 중앙집중화되고 있는 기록관리체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아카이브가 설립되어 자율적이고 분권적인 기록관리를 실현해야 한다. 본격적인 전자기록관리 환경으로의 변화에 따라 물리적인 이관을 전제로 한 처리과-기록관-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3단계 체제는 이관비용 및 업무효율 측면에서 그 적절성과 효율성이 재검토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기록관은 기관 단위의 연속체적 기록관리 수행과 자율적인 기록관리업무 수행을 위해 기관 아카이브로의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본 연구는 기록관리의 분권화와 정보거버넌스 지향의 차원에서 기록관이 기관의 아카이브로써 기능을 확장하도록 하는 가능성과 시사점을 몇 가지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또 이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록관리기관 유형을 다각화하고 현용-준현용-비현용 기록관리를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기록관의 기능이 어떻게 설계되어야 하는지 도출하였다. 각급 기관은 기관의 상황과 여건에 맞게 기록관을 설립하고 각 기록관 차원에서 정보거버넌스를 지향해야 하며 각급 기록관은 수평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기록정보관리의 거버넌스를 수행하도록 해야 한다.

It is time to prepare for the imminent development from the field of records management through decentralization to the records management of the new age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decentralization. To overcome a centralized record management system, more archives should be established to realize autonomous and decentralized records management. In accordance with the shift to a full-scale electronic record management environment, the appropriateness and effectiveness of the three-phase system of processing-archival-permanent record management based on physical transfer should be reviewed in terms of transfer cost and work efficiency. The archives should function as institutional archives to carry out the continuous volume record management and the autonomous record management at the institution level.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ies and implications of the archives to expand their functions as archives of institutions for the decentralization of record management and information governance orientation. In addition, the study diversified the types of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s as a way to accomplish this and determined a way to design the functions of archives that integrate the current-end-end-end records management. At each level, institutions should set up archives based on their circumstances and aim at information governance at the level of each archive. Moreover, each archive level should establish a horizontal network to govern record information manage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곽건홍 (2009). 자율과 분권, 연대를 기반으로 한 국가기록관리 체제 구상. 기록학연구, 22, 3-35.(Kwak, Kun-hong (2009). A Study on a Democratic Records Management System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2, 3-35.)
  2. 곽건홍 (2011). 기록관 체제 재검토. 기록학연구, 27, 3-33.(Kwak, Kun-hong (2011). Revaluation of the Records Center System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7, 3-33.)
  3. 곽건홍 (2014). 국가기록원 개혁 방향. 기록학연구, 40, 3-27.(Kwak, Kun-hong (2014). On the Direction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Reform.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40, 3-27.)
  4. 기록자치는 지방자치의 첫걸음. (2003. 4. 11). 오마이뉴스. 검색일자: 2018. 2. 13.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117420
  5. 김명종 (2014). "통일기록관" 설립.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Kim, Myoung-jong (2014). A Study on the method to establish and operate "Unification Archives." Major of Records and Archival Information Management.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Records, Archives & Information Science, Myongji University.)
  6. 김유승 (2008).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의 제정 의의와 개선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8(1), 5-25.(Kim, You-seung (2008). A Study of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Legal Status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Right to Know.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8(1), 5-25.)
  7. 김익한 (2005). 기록관리혁신의 과제와 전망 - 거버넌스 기록관리. 기록학연구, 11, 3-14.(Kim, Ik-han (2005). The task and view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reform - Governance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1, 3-14.)
  8. 김익한 (2018). 왜 다시 기록관리 혁신인가?. 기록학연구, 55, 165-208.(Kim, Ik-han (2018). Why Again Record Management Innovation?: Toward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Governance.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55, 165-208.)
  9. 남경호, 권용찬 (2012). 세종시 이전 중앙행정기관의 기록관 운영 방안 검토. 기록학연구, 34, 29-56.(Nam, Kyeong-ho, & Kwon, Yong-chan (2012). A Study on cooperation of Record Center following relocation of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4, 29-56.)
  10. 명지대학교 디지털아카이빙연구소 (2016). 기획재정부 조직연혁 관련 기록정보콘텐츠 개발 연구사업 최종보고서.(Institute of Digital Archiving Myongji University (2016).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Organization History Record Information Content Development Research Project Final Report.)
  11. 문대통령 "지방분권 개헌 추진". (2017. 10. 26). 경향신문. 검색일자: 2018. 2. 13.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10261425001&code=910203
  12. 박미자 (2006). 기록관 유형별 업무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6(2), 133-155.(Park, Mi-ja (2006). A Study on the Business Model Per Record Center Typ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6(2), 133-155.)
  13. 설문원 (2015). 기업 소송에 대비한 정보거버넌스의 구축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4), 325-354.(Seol, Moon-won (2015). Building Corporate Information Governance to Prepare for Litigation. Journal of Korea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4), 325-354.)
  14. 설문원 (2017. 2. 6). 국가기록관리기구의 권한과 권위, 그리고 분권화. 국가 기록관리 기구 독립성 확보를 위한 토론회 자료집. 국회 의원회관 제8간담회실.(Seol, Moon-won (2017. 2. 6). The Authority, Power and Decentralization of National Archives Management System. Proceedings of Conference for the Securing the Independence of National Archives Management System.)
  15. 송정숙 (2017). 국가기록원과 권역별 기록관의 역할 재정립.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7(4), 155-175.(Song, Jung-sook (2017). Reestablishing the Roles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the Branch Archiv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7(4), 155-175.) https://doi.org/10.14404/JKSARM.2017.17.4.155
  16. 안병우, 이상민, 심성보, 남경호, 김진성, 오동석, 정태영 (2012). 한국 공공기록관리의 쟁점과 전망. 기록학연구, 34, 3-28.(Ahn, Byung-woo, Lee, Sang-min, Sim, Seong-bo, Nam, Kyeong-ho, Kim, Jin-sung, Oh, Dong-seok, & Jeong, Tae-young (2012). Issues and Prospects for Public Records Management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4, 3-28.)
  17. 오항녕 (2005). 한국기록관리와 거버넌스에 대한 역사적 접근. 기록학연구, 11, 15-40.(Oh, Hang-nyeong (2005). A Historical Approach to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and the Archival Society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11, 15-40.)
  18. 이명석 (2002). 거버넌스의 개념화. 한국행정학보, 36(4), 321-338.(Lee, Myoung-seok (2002). Conceptualizing Governance: Governance as Social Coordination.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36(4), 321-338.)
  19. 이승일 (2014). 한국 국가기록관리체제의 개혁과 국가기록원 개편. 기록학연구, 41, 39-73.(Lee, Seung il (2014). Reformation of the Korea's National Archiving System.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41, 39-73.)
  20. 이젬마 (2016). ISO 15489 개정이 향후 기록관리에 미치는 영향. 기록인(IN), 37, 46-55.(Lee, Gemma (2016). Impact of ISO 15489 revision on future records management. Archivist, 37, 46-55.)
  21. 정기애 (2015). IT기반의 전자기록관리의 거버넌스 전략. 기록인, 32, 10-17.(Jeong, Ki-ae (2015). IT-based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governance strategy. Archivist, 32, 10-17.)
  22. 조민지, 이영남 (2017). 민주주의 관점으로 본 국가기록관리체계 평가와 전망. 기록학연구, 53, 5-43.(Jo, Min-ji, & Lee, Young-nam (2017). Evaluation and Overlook on the National Archives System in the Perspective of Democracy.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53, 5-43.)
  23. 조영삼 (2012). 국가기록관리 발전을 위한 정책 제안. 역사비평, 273-298.(Zoh, YoungSam (2012). Policy Proposals for Development of National Records Management. Critical Review of History, 273-298.)
  24. 주현미, 임진희 (2017a). 차세대 전자기록관리 재설계 과제 연구. 기록학연구, 54, 151-178.(Ju, Hyun-Mi, & Yim, Jin-Hee (2017a). A Study of Next-generation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Redesign.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54, 151-178.)
  25. 주현미, 임진희 (2017b). 차세대 전자기록관리 프로세스 재설계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7(4), 201-223.(Ju, Hyun-Mi, & Yim, Jin-Hee (2017b). A Study on the Redesign of the Next-Generation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Proces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7(4), 201-223.) https://doi.org/10.14404/JKSARM.2017.17.4.201
  26. 지수걸 (2009).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립의 방향과 방법. 기록학연구, 21, 247-281.(Ji, Su-gol (2009).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Archive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1, 247-281.)
  27. 최윤하, 안대진 (2015). 아이템 말고 스토리: '동대문구 기억여행'을 통해 본 지방자치단체 기록전시. 제7회 전국기록인대회 자료집, 185-186.(Choi, Yun-Ha, & An, Dae-jin (2015). Story not item. The 7th National Archivist Conference. Presentation materials, 185-186.)
  28. 최재희 (2017. 2. 16). 국가기록관리기구의 독립성 확보를 위한 제언. 국가 기록관리기구 독립성 확보를 위한 토론회. 국회 의원회관 제8간담회실.(Choi, Jaehee (2017. 2. 16). A Proposal for Securing the Independence of National Archives Management. Proceedings of Conference for the Securing the Independence of National Archives Management System.)
  29. 한은정, 전혜영 (2015). '두껍게 읽기' 너머 '두껍게 수집'으로: 서울시북부교육지원청 교육전시관 구축. 제7회 전국기록인대회 자료집, 187-188.(Han, Eun-jung, & Jun, Hye-young (2015). Beyond 'read thick' to 'collect thick'. The 7th National Archivist Conference. Presentation materials, 187-188.)
  30. Andrew Lipchak (2002). Evidence-based Governance in the Electronic age: A Summary of Key Policy Issues. IRMT.
  31. European Commission (2008). MoReq2 (Model Requirements Specification for the Management of Electronic Records).
  32. EDRM (2011). WhitePaper EDRM Information Governance Reference Model IGRM and ARMAs GARP Principles.
  33. 기획재정부 조직연혁정보. 검색일자: 2018. 2. 10. http://fmosf.osasf.net/
  34. 동대문구 기억여행. 검색일자: 2018. 2. 13. http://dgo.osasf.net/
  35. 호주 내셔널 아카이브(NAA) 정보거버넌스 프레임워크. 검색일자: 2017. 12. 14. http://www.naa.gov.au/information-management/information-governance/governance-framework/index.asp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