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라디오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연구: '서산 심씨 집안의 소리길'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Radio Documentary Program : Focused on 'Seosan Sim's Traditional Music'

  • 최순희 (배재대학교 교양교육부)
  • 투고 : 2018.10.12
  • 심사 : 2018.12.20
  • 발행 : 2018.12.28

초록

본 연구는 라디오 매체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성과 기능을 짚어보고, 그 함의를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라져가는 판소리 중고제를 조명한 라디오 다큐멘터리 <서산 심씨 집안의 소리길>을 대상으로 하여 텍스트 분석을 시도하였다. 방송매체인 라디오는 다큐멘터리 형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에 도달하였다. 첫째, 방송매체인 라디오는 음향과 내레이션, 드라마적 재연 등의 요소를 활용하여 소리저장 매체로서 기능한다. 둘째, 방송매체인 라디오는 구술사 인터뷰를 통해 인물의 육성을 녹음하고 기록하는 기록물로서 기능한다. 셋째, 방송매체인 라디오는 판소리의 소리를 학술적으로 고증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라디오 매체가 소리저장 매체라는 고유한 특성을 활용하여 전통예술 문화이자, 무형문화재인 판소리를 기록하고 고증하는 매체로서 기능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radio media and its imprecations. In doing so, the researcher attempted to analyze the text of the radio documentary, which illuminated "Seosan Sim's Sorigil," Pansori Jung-go-je. The analysis showed that radio, a broadcasting medium, functions as a sound storage medium by utilizing elements such as sound, narration, and dramatic reenactment. Second, the radio media enabled to record the upbringing of a person through an oral interview. Finally, the radio medium plays a role in promoting the sound of Pansori academically.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radio medium functions as a means of recording and ascertaining Pansori, a traditional art culture and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y utiliz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ound storage media.

키워드

표 1. 심화영의 구술 진행 내용

CCTHCV_2018_v18n12_682_t0001.png 이미지

표 2.3) <서산 심씨 집안의 소리길> 중에서

CCTHCV_2018_v18n12_682_t0002.png 이미지

표 3. <서산 심씨 집안의 소리길>중에서

CCTHCV_2018_v18n12_682_t0003.png 이미지

표 4. 중고제 관련 행사

CCTHCV_2018_v18n12_682_t0004.png 이미지

표 5. 심화영과 중고제를 다룬 방송 프로그

CCTHCV_2018_v18n12_682_t0005.png 이미지

표 6. <소리길>의 기능적 요소와 구성 특성 및 영향

CCTHCV_2018_v18n12_682_t0006.png 이미지

참고문헌

  1. 박주연, "디지털 시대 국내 지장파 라디오의 포맷 특성에 대한 제작자 인식 연구: 심층 인터뷰 분석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12권, 제3호, pp.32-34, 2011.
  2. 동아일보, "안방으로 파고드는 오락프로의 대종 (大宗) 연속(連續) 방송극(放送劇)," 1971.1.30.
  3. 주창윤, "1960년 전후 라디오 문화의 형성 과정," 미디어 경제와 문화, 제9권, 제2호, p.37, 2011.
  4. 최순희, "온라인 공동체 미디어 연구-대덕밸리라디오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6호, pp.39-59,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6.039
  5. 고지현, "발터 벤야민의 기술매체론-라디오 작업과 계몽구상," 人文科學, 제113집, p.250, 2018.
  6. 최미진, "한국 라디오서사의 갈래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40집, pp.172-173, 2008.
  7. 한국콘텐츠진흥원, "뉴미디어 콘텐츠와 서비스의 분석과 전망: 방송을 중심으로," kocca 연구보고서, 제11권, 제20호, pp.20-23, 2011.
  8. The New York Times, "Radio Listeners in Pannic, Taking War Drama as Fact," MONDAY, 1938.10.31.
  9. 최혜경, "텔레비전 드라마 내레이션의 개념과 범주," 인문콘텐츠, 제47호, p.163, 2017. 재인용
  10. 이상훈, 최일도, "라디오 광고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대한 연구: 제작형태에 대한 전문가 의견과 일반 수용자의 인식과 태도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16권, 제5호, p.94, 2005.
  11. 동아일보, "라듸오 大會盛況(대회성황) 開城支局 主催(개성지국주최)," 1927.2.9.
  12. 동아일보, "라디오 청취자통계(聽取者統計)," 1931.6.23.
  13. 우수진, "미디어극장의 시대, 유성기와 라디오," 한국학연구, 제34집, pp.157-158, 2014.
  14. 권정아, 이제혁, 진숭식, "시청각기록물의 이관 및 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제11권, 제2호, p.124, 2011.
  15. http://heritage.unesco.or.kr/mows/radio-broadcast-of-the-philippine-people-power-revolution/
  16. 윤택림, "구술사 연구방법론," 한국행정학회학술발표논문집, Vol.2009, No.6, p.64, 2009.
  17. 기미양, "구술생애사에서 본 송옥자의 <문경아리랑>재현," 구술사연구, 제2권, 제2호, p.14, 2011.
  18. 박지애, "유성기음반과 라디오방송을 통해 향유된 시조의 양상과 특징," 시조학논총, 제44권, pp.19-20, 2016.
  19. 이유진, "동아방송 판소리 녹음의 보존 현황 및 활용 방안," 판소리연구, 제38집, pp.109-100, 2014.
  20. http://dbs.donga.com/comm/view.php?r_id=04629&r_serial=02, 2018.9.20.
  21. 동아일보, "東亞放送(동아방송)의 새 民俗(민속) 프로 판소리連續劇(연속극) 人氣(인기)," 1976.2.14.
  22. http://heritage.unesco.or.kr/mows/historic-ethnographic-recordings-1898-1951-at-the-british-library/, 2018.9.30.
  23. 남수, 영상구조와 프레젠스 연구-다큐멘터리 <미완의 무위정사>와 영화 <순지>를 중심으로, 성균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20, 2009.
  24. 이희중, 나미수, "방송의 디지털화와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배경음악의 변화-생산자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2권, 제9호, p.298, 2014.
  25. 정숙, 방송 콘텐츠 스토리텔링2 구성.예능.다큐와 라디오 전략, 커뮤니케이션북스, p.187, 2014.
  26. 미하엘 할러, 인터뷰 저널리스트를 위한 핸드북, 커뮤니케이션북스, pp.35-373, 2008.
  27. 고혜림, 김미라, 방송구성작가 되기, 커뮤니케이션북스, p.117, 2007.
  28. 최혜진, "충청지역 중고제 판소리의 역사성과 지역성," 판소리연구, 제32집, pp.323-336, 2011.
  29. 배연형, "판소리 中古制 再論," 2018년 어문연구학회.중고제판소리문화진흥회 공동 학술대회, pp.49-71, 2018.
  30. 배연형, "판소리 중고제론," 판소리연구, 제5집, p.186, 1994.
  31. 정출헌, "판소리 담당층의 변화에 따른 19세기 판소리사의 중고제의 소멸," 민족문화연구, 제31권, p.301, 1998.
  32. 이보형, "유파 개념의 중고제와 악조 개념의 중고제," 판소리연구, 제23집, p.356, 2007.
  33. 송혜진, "현대 국악, 그 원형성과 변화.생성," 한국음악문화연구, 제6권, p.29, 2015.
  34. 신은주, "심상건과 심화영의 가야금병창 <백구타령> 비교연구," 한국음반학, 제22권, pp.109-113, 2012.
  35. 송혜진, "숨겨진 음악인의 발길을 따라-가야금 병창 명인 심정순," 음악동아, 제5월호, pp.182-188, 1988.
  36. 성기숙, "심정순가(家) 전통예인들의 무용활동연구," 대한무용학회, 제71권, 제5호, p.80, 2013.
  37. 성기련, "이보형의 판소리 현지조사와 연구 성과의 분석적 고찰," 2018 토대연구 학술회의 이보형 民俗學 Odyssey, pp.44-45, 2018.
  38. 성기련, "이보형 채록 판소리 자료의 연구사적 가치 및 특징-1969년에서 1990년까지의 채록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음악연구, 제59집, p.85, 2016.
  39. 서종문, 김석배, "중고제 판소리의 역사적 이해," 국어교육연구, 제24집, 1992.
  40. 김혜정, "중고제 판소리 음악적 특징과 위상," 2017년 중고제 학술세미나, p.45, 2017.
  41. 신은주, "심정순 일가의 소리와 내포제 문화," 한국학연구, 제35호, pp.78-113, 2010.
  42. 권도희, "심정순의 가야금 산조," 국악원논문집, 제35집, p.8, 2017.
  43. 최혜진, "심정순 창본 <흥보가>의 판소리적 특징과 의미," 비교민속학, 제52호, 제2호, p.177, 2013.
  44. 송혜진, "96년도 국악관련 논저 및 학술활동 분석," 國樂年監 1996년, 서울: 국립국악원, p.275, 1997.
  45. 김예진, "대중적인 판소리 콘텐츠의 개발 필요성에 관한 인식 조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집, 제17권, 제7호, pp.600-609,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