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sign Plan of UX for the Smart Healthcare for the Aged Society - Focused on IOT Technology

고령사회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한 UX 디자인방안 - 사물인터넷 기술을 중심으로

  • 김승민 (한밭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8.09.11
  • Accepted : 2018.10.23
  • Published : 2018.11.28

Abstract

The development of bio-sensing technology made it easy to collect various biometric information that was only available in large medical devices. The miniaturization of sensors makes it simple to carry out various health checkups that It did in person to the hospital by improving the portability of diagnostic devices. It is able to combine sensors into portab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pply advanced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and create new form factors for medical devices such as ultra-small modules that can be inserted or attached to their bodies. The results can be checked immediately through portable information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lthough commercialization is still slow in Korea, new technologies are being applied in various ways in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that have granted remote medical services. Medical demand, supply and cost in South Korea are growing ahead of a super-aged society. Under these circumstances, attention is focusing on whether smart healthcare, a new concept, can complement the existing medical system. This study identifies the technology trends associated with smart health care and categorizes various healthcare products in the UX design aspects. In addition, the UX design approach and guidelines for applying smart healthcare technologies to the elderly, the intended users, are presented. This research will provide a reference to a new social issue, the UX-design approach to solving the problems of the aged society.

생체 감지기술 발달은 그동안 거대한 전문 의료기기에서만 가능했던 다양한 생체 정보 수집을 간편하게 가능케 하였다. 센서 소형화는 진단기기의 휴대성을 높여 기존에 병원에 직접 가서 해야만 했던 다양한 건강 진단을 생활 속에서 간편히 수행할 수 있게 하였다. 스마트폰 같은 휴대기기에 센서를 결합하거나, 첨단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기술을 적용해 체내 삽입형, 혹은 부착 가능한 초소형 모듈 등 의료기기의 새로운 폼팩터를 만들어냈다. 또한, 측정결과를 스마트폰 등 휴대용 정보기기를 통해 즉시 확인할 수도 있다. 아직 국내에서는 상용화가 더디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미국 등 원격의료 서비스를 허용한 나라에서는 이 분야에서 다양한 양상으로 신기술 적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세계적으로 가장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 중인 대한민국에서 의료수요, 공급, 그리고 비용 문제는 점점 커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새로운 건강관리 개념인 스마트 헬스케어가 기존의 의료체계를 보완할 수 있을지 크게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 헬스케어와 관련된 기술 동향을 확인하고, 다양한 헬스케어 제품을 UX 디자인적 측면에서 유형화하였다. 또한,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을 대상 사용자인 노인에게 적용하기 위한 UX 디자인 접근방법과 지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새로운 사회적 문제인 고령사회 헬스케어 문제 해결에 돌파구가 될 UX 디자인 분야의 기반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CCTHCV_2018_v18n11_462_f0001.png 이미지

그림 1. 노인 의료비 추이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CCTHCV_2018_v18n11_462_f0002.png 이미지

그림 2. 연구의 방법

CCTHCV_2018_v18n11_462_f0003.png 이미지

그림 3.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의 생태계

CCTHCV_2018_v18n11_462_f0004.png 이미지

그림 5. 고령사회 헬스케어의 데이터 흐름

CCTHCV_2018_v18n11_462_f0005.png 이미지

그림 6.고령사회의 스마트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갖춰야 할 기능

CCTHCV_2018_v18n11_462_f0006.png 이미지

그림 7. 영유아 스마트 양말 Owlet 1의 예

CCTHCV_2018_v18n11_462_f0007.png 이미지

그림 8. 영유아 스마트 양말 Owlet 2의 예

CCTHCV_2018_v18n11_462_f0008.png 이미지

그림 9. 다이슨 퓨어쿨 링크 앱의 예

표 1. IT + 의료 융합개념들

CCTHCV_2018_v18n11_462_t0001.png 이미지

표 2. 헬스케어 서비스 발전 방향

CCTHCV_2018_v18n11_462_t0002.png 이미지

표 3. 센싱 기술과 의료

CCTHCV_2018_v18n11_462_t0003.png 이미지

표 4. 의료 센서기술 발전 방향

CCTHCV_2018_v18n11_462_t0004.png 이미지

표 5.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들

CCTHCV_2018_v18n11_462_t0005.png 이미지

표 6. Type of smart health care Services

CCTHCV_2018_v18n11_462_t0006.png 이미지

표 7. 스마트 헬스케어 UX의 유형,

CCTHCV_2018_v18n11_462_t0007.png 이미지

표 8. 스마트 헬스케어 UX의 주요 기능

CCTHCV_2018_v18n11_462_t0008.png 이미지

표 9. 스마트 헬스케어의 3단계

CCTHCV_2018_v18n11_462_t0009.png 이미지

표 10. 노인용 스마트 헬스케어 디자인 시 사용자 체크리스트

CCTHCV_2018_v18n11_462_t0010.png 이미지

References

  1. 한경 경제용어사전, 고령화사회, 2018.8.20.
  2. 국가통계포털 KOSIS 고령인구비율, 통계청, 2018.
  3. 보건복지부 노인실태조사, 통계청, 2015.
  4. 통계청 지역통계총괄과, 독거노인비율, 2018.
  5. 전혜숙, "100세시대," 노인건강의 전망과 과제 정책토론회, 2017.
  6. 위키백과 모두의 백과사전, 2018.8.22.
  7. 조위덕, 스마트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 트렌드, Jinhan M&B, p.27, 2012.
  8. 김승민, 커뮤니케이션 중심의 UX디자인 패러다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14-117, 2012.
  9. 전효리, "스마트 헬스케어에 관한 개념 정립 및 동향 분석,"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 841-842, 2011.
  10. 조윤정, "스마트 헬스케어의 부상에서 찾아야 할 기회요인," 산업이슈, KDB산업은행, 2016.
  11. KCERN, 디지털 헬스케어 국가전략, KCERN 39차 포럼보고서, pp. 8-9, 2017.
  12. 정삼철,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 활성화 계획에 따른 충북의 대응전략," 충북 동향 전망대, 제45권, pp. 3-16, 2015.
  13. 클라우드 슈밥, 클라우드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새로운현재, 2016.
  14.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국내 u-Health 서비스 실태조사 분석, 2011.
  15.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국내 u-Health 신산업 창출을 위한 사업화 전략연구,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