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Preschoolers' Temperament on Peer Play Behaviors: Focusing on Mediation of Mothers' Social Interaction Parenting Behaviors

유아의 기질적 특성이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사회적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황혜신 (상명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 서주현 (상명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Received : 2017.12.30
  • Accepted : 2018.01.29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eschooler's temperament on peer play activity, focusing on the mediation of mothers' social interaction parenting behaviors Methods: 1695 mothers of preschooler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children's temperament and peer play behaviors,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s. Data were analyzed by regression analyses by SPSS 18.0. Results: First, preschoolers' sociability exerted positive effects on good peer play behaviors(play interaction) and negative effects on the bad peer play behaviors (disruption, disconnection) and both were partially mediated by mothers' social interaction parenting behaviors. Second, preschoolers' emotionality exerted negative effects on good peer play behaviors and positive effects on the bad peer play behaviors and both were partially mediated by mothers' social interaction parenting behaviors. Preschoolers' activity exerted positive effects on good peer play behaviors and negative effects on the bad peer play behaviors and both were partially mediated by mothers' social interaction parenting behaviors.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findings provide preliminary evidence that mothers' social interaction parenting behavior partially mediate the effects of preschoolers' temperament on peer play behaviors. Implications for the use of intervention targeting specific temperament have been discussed.

Keywords

References

  1. 권연희 (2003). 아동의 정서성과 대인간 문제해결전략 및 어머니의 행동이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난실, 이기숙 (2008). 개인적.환경적 변인에 따른 영아의 또래상호작용 형태. 유아교육연구, 28(1), 159-184. doi.org/10.18023/kjece.2008.28.1.008
  3. 김미은, 최선녀 (2016). 성별에 따라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우울,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또래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100, 121-149.
  4. 김상림, 박창현 (2015). 유아의 기질과 교사효능감 및 교사-유아상호작용이 유아의 또래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6), 37-58. doi:10.14698/jkcce.2015.11.037
  5. 김신정, 김영희 (2007).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한 고찰. 부모자녀건강학회지, 10(2), 172-181
  6. 김윤희, 신나리 (2016). 유아의 수줍음이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관계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6), 1-17. doi:10.14698/jkcce.2016.12.06.001
  7. 박성연, 도현심 (1993). 성, 형제수, 출생순위 및 형제 성 구성에 따른 아동의 사회성. 아동학회지, 14(2), 35-47.
  8. 박정희, 장영애 (2004).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양육 스트 레스와 사회적 지원에 관한 연구. 아동과권리, 8(2), 327-353.
  9. 서주현 (2009).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지적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성미영 (2016). 유아의 놀이성, 정서통제, 정서불안정이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 비교.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1), 37-55. doi:10.14698/jkcce.2016.12.037
  11. 성미영 (2017).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또래놀이행동 간 관계에서 행동문제의 매개적 역할: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3(3), 1-17. doi:10.14698/jkcce.2017.13.03.001
  12. 신은경, 정아현, 김소아 (2014). 아동의 기질과 또래 상호작용 간의 관계: 모의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21(4), 149-169. doi:10.15284/kjhd.2014.21.4.149
  13. 우수경 (2008). 유아의 성, 기질, 정서능력 및 사회적 능력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1), 259-280.
  14. 이미란 (2015). 유아의 기질, 부모의 양육방식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또래상호 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5), 191-214. doi:10.14698/jkcce.2015.11.191
  15. 이보영 (2012). 부모의 양육효능감, 양육행동과 자녀의 창의적 성향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2(4), 115-132.
  16. 김상림, 박창현 (2015). 유아의 기질과 교사효능감 및 교사-유아상호작용이 유아의 또래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6), 37-58. doi:10.14698/jkcce.2015.11.037
  17. 이선남, 이경옥 (2015). 유아의 초기 발달수준과 또래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사회적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유아교육연구, 35(4), 381-396. doi:10.18023/kjece.2015.35.4.017
  18. 이지희, 김혜연 (2012). 유아기 긍정적.부정적 또래상호작용에 관련된 변인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6), 301-322.
  19. 이현정 (2014). 유아의 또래 놀이행동 군집별 유아, 교사 및 학급 변인의 차이.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이현정, 이예진, 신유림 (2013).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성향과 또래놀이 상호작용 관계에서 언어능력의 중재영향. 대한가정학회지, 51(4), 395-401. doi:10.6115/fer.2013.51.4.395
  21. 임현주 (2014). 유아의 성별,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방식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4(6), 5-27. doi:org/10.18023/kjece.2014.34.6.001
  22. 장영은 (2014).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양육행동 및 가정환경과 유아의 어린이집 또래관계 부적응. 육아정책연구, 8(2), 45-64.
  23. 장은정 (2001).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정옥분, Rubin, K. H., 박성연, 윤종희, 도현심, 김경은 (2011). 영아기 정서와 기질, 유아기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4세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의 질. 인간발달연구, 18(1), 151-168.
  25. 조운주, 김은영 (2014). 유아의 기질 및 부모 양육방식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 8(2), 155-174.
  26. 천희영 (1993).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따른 아동의 사회적 능력. 아동학회지, 14(2), 17-34.
  27. 허혜경 (2013). 유아의 놀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의 성,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에 대한 효과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3(2), 83-102.
  28. 홍현재 (2013).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황윤세 (2007). 유아의 기질, 자기조절력과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와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2(1), 145-166.
  30.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10.1037//0022-3514.51.6.1173
  31. Belsky, J., & Pluess, M. (2009). Beyond Diathesis-Stress: Differential Susceptibility to Environmental Influences. Psychological Bulletin, 135(6), 885-908. doi:10.1037/a0017376
  32. Berdan, L. E., Keane, S. P., & Calkins, S. D. (2008). Temperament and externalizing behavior: Social preference and perceived acceptance as protective factors. Developmental Psychology, 44(4), 957-968. doi:10.1037/0012-1649.44.4.957
  33. Bornstein, M. H., Tamis-LeMonda, C. S., Pascual, L., Haynes, O. M., Painter, K. M., Galperin, C. Z., et al. (1996). Ideas about parenting in Argentina, France, and the United St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19(2), 347-367. doi:10.1177/016502549601900207
  34. Buss, A. H., & Plomin, R. (1984). Temperament: Early developing personality traits. Hillsdale, NJ:Erlbaum.
  35. Eisenberg, N., Fabes, R. A., Karbon, M., Murpy, B. C., Wosinsky, M., Polazzi, L. et al.(1996). The relations of children's dispositional prosocial behavior to emotionality, regulation, and social functioning. Child Development, 67(3), 974-992. doi:10.1111/j.1467-8624.1996.tb01777.x
  36. Fantuzzo, J., Sutton-Smith, B., Coolahan, K. C., Manz, P. H., Canning, S., & Debnam, D. (1995). Assessment of preschool play interaction behaviors in young low-income children: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0(1), 105-120. doi:10.1016/0885-2006(95)90028-4
  37. Hartup, W. W. (2005). Peer interaction: What causes what?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3(3), 387-394. https://doi.org/10.1007/s10802-005-3578-0
  38. Parten, M. B. (1932). Social participation among pre-school children. The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27(3), 243-269. http://dx.doi.org/10.1037/h0074524.
  39. Rothbart, M. K., Ellis, L. K., & Posner, M. I. (2004). Temperament and self-regulation. In R. F. Baumeister, K. D. Vohs (Eds.), Handbook of self-regulation: Research, theory, and applications (pp. 441-460). New York: Guilford Press.
  40. Rothbart, M. K., & Derryberry, D. (1981). Development of individual difference in temperament. In M. E. Lamb, & A. L. Brown (Eds.) Advances in Developmental Psychology(pp. 37-86).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1. Rubin, K. H. (1977). Play behaviors of young children. Young children, 32(6), 16-24.
  42. Sanson, A., Hemphill, S. A., & Smart, D. (2004). Connections between temperament and social development: A review. Social Development, 13(1), 142-170. doi:10.1046/j.1467-9507.2004.00261.x
  43. Schaefer, E. S. (1959). A circumflex model for maternal behavior.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59(2), 226-235. doi:10.1037/h0041114
  44. Stanhope, L., Bell, R. Q., & Parker-Cohen, N. Y. (1987). Temperament and helping behavior in preschool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23(3), 347-353. doi:10.1037/0012-1649.23.3.347
  45. Thomas, A., & Chess, S. (1977). Temperament and development. N.Y.: Brunner Max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