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문숙, 황해익 (2008). 보육교사의 직무에 대한 내용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4(2), 57-80.
- 곽희경 (2011).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정체감과 교사 효능감, 교사-유아상호작용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구광현, 김성숙 (2013).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창의성과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2), 287-304.
- 구서연 (2017). 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구은미 (2004). 보육프로그램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관련 변인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구현영, 박현숙, 장은희 (2006). 고등학교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와 영향요인. 대한간호학회지, 36(1), 151-158.
- 권대훈 (2017). 진로진학상담교사의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삶의 의미, 삶의 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원교육연구, 34(1), 1-24. doi:10.24211/tjkte.2017.34.1.1
- 권성민 (2011). 유아교사에 대한 사회지지가 업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소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6(5), 313-333.
- 권수현, 이승연 (2010).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7(2), 137-157.
- 권화숙 (2012). 사회지지와 근무환경이 어린이집 교사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업무요인과 소진을 매개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2), 157-174.
- 김경화 (2011). 권태성향과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정서자각능력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도윤 (2011). 지역사회 정신보건 프로그램 환경이 정신장애인의 회복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민환 (2006). 교사들의 임파워먼트와 학교 및 교직 헌신간의 관계에 관한 학교문화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6(1), 45-65.
- 김안나 (2014). 유치원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전문성 및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질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4(3), 153-175.
- 김영애, 김문겸 (2017). 사회적 지지가 요양보호사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테츠학회논문지, 17(6), 351-361. doi:10.5392/JKCA.2017.17.06.351
- 김은수 (2007). 어린이집 교사의 삶의 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 및 대처방법과의 관계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응경 (2013). 기혼여성사회복지사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백석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이영, 박현숙 (2005). 정신장애인이 지각한 동료지지 정도에 따른 임상적, 기능적, 주관적 경험의 차이. 정신간호학회지, 14(4), 353-361.
- 김정엽 (2010).여성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복지행정논총, 20(2), 29-62.
- 김정희, 김동춘 (2010). 영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조직커뮤니케이션 능력,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41(3), 149-173.
- 김정희, 이용주, 김동춘 (2014). 보육교사의 개인변인,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3), 103-120.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3.103
- 김주환 (2011). 회복탄력성.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고양: 위즈덤하우스.
- 김준환 (2014). 사회복지사 이직의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SSO(Stress-Strain-Outcome)모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현심 (2014). 보육교사의 보육헌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현진, 이수정 (2012). 예비유아교사의 교사동기와 구성주의 교수신념이 학부모-교사 파트너쉽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연구, 29(4), 637-663.
- 김혜순 (2011).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개인적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종교성의 매개효과. 종교교육학연구, 35, 139-158.
- 남미경, 박봉환 (2016).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과 회복탄력성에 따른 이직의도 수준 분석. 인성교육연구. 1(1), 48-66.
- 류성봉 (2013).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삶의 질 연구: 노후준비 및 직무만족의 영향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문은식 (2015).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부모자율성지지, 친구의 사회적지지, 기본심리욕구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29(4), 737-756. doi:10.17286/KJEP.2015.29.4.05
- 박경옥, 김지연(2017). 특수학교 교사의 주관적 삶의 질에 대한 인식. 지적장애연구, 19(2), 121-145.
- 박경희 (2005). 유치원 교사의 교직헌신 척도 개발 및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동필, 이지연 (2016).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소진 간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2), 53-70.
- 박소영 (2009). 보육교사로 살아가는 힘에 관한 이야기: 10년 이상 경력 교사들의 이야기.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유진 (2012).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안녕감과 자아탄력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 척도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창현 (2015). 유아교사의 개인특성과 유아교육기관 특성이 유아교육기관의 질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건.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2), 201-220. doi:10.14698/jkcce.2015.11.201
- 박현주 (2011). 사회복지조직에서의 갈등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배영선 (2007). 유치원 일반학급교사와 통합학급교사의 소진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백선희 (1997). 정부의 보육시설 공급정책의 전개과정에 관한 평가. 한국영유아보육학, 10, 189-210.
- 서영숙, 박진옥, 서혜전 (2014). 보육교직원.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4), 5-28. doi:10.14698/jkcce.2014.10.4.005
- 손세영, 임귀희, 남기영 (2015). 보육시설평가인증제와 보육의 질-학부모와 교직원을 중심으로. 21세기사회복지연구, 12(2), 35-60.
- 손흥숙 (2015). 보육정책과 보육교사의 전문성: 비판적 담론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5(2), 65-84.
- 송미경, 양난미, 이은경 (2016). 교사의 소명의식, 자아존중감, 직업적 정체감, 삶의 만족간의 관계. 교원교육, 32(4), 197-218. doi:10.14333/KJTE.2016.32.4.197
- 신현숙 (2003). 가정환경 역경과 청소년의 적응유연성: 보호요소의 매개효과 검증. 청소년상담연구, 11(2), 71-84.
- 오옥선 (2014). 유아 교사의 완벽주의 성향이 교사 효능감, 직무스트레스,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9(5), 291-310.
- 오정석 (2013). 경찰 직무스트레스와 긍정적 사고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윤갑정 (2012). 예비보육교사의 목표, 만족도, 자기효능감 및 우울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3), 113-131.
- 윤창영 (2001). 기혼 직장여성의 주관적 삶의 질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경선 (2000). 보육의 질에 영향을 주는 관련 변인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미란, 김정원 (2011). 영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 헌신.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2(2), 243-260.
- 이순복, 원지현 (2013). 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 심리적 안녕감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3), 263-281.
- 이순애, 성소영 (2012). 보육교사의 배경변인과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만족도. 아동교육, 21(3), 267-284.
- 이은설, 신윤정 (2017). 인지적 유연성이 중.고등학교 교사의 직업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학교, 14(2), 235-258. doi:10.16983.kjsp.2017.14.2.235
- 이은숙 (2016).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직무스트레스, 보육효능감, 보육헌신 및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정희, 조성연 (2011). 보육교사의 소진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시설장, 동료교사와 가족의 사회적 지지. 아동학회지, 32(1), 157-172. doi:10.5723/kjcs.2011.32.1.157
- 이지우, 장영혜, 강인호(2016). 감정노동, 조직몰입, 삶의 만족의 관계. 관광연구, 31(3), 277-295.
- 이해리(2007). 역경과 유연성이 청소년의 정신건강, 학교생활적응,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상담연구, 15(1), 51-66.
- 임안나, 박영숙(2017).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지, 17(3), 675-682. doi:10.5392/JKCA.2017.17.03.675
- 장진이, 이지연 (2014). 교사의 소명의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일의 의미, 소명수행 의식, 삶의 의미, 직업 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1), 123-146.
- 장희선 (2016). 영유아교사의 성격강점과 생애목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3), 169-196. doi:10.22155/JFECE.23.3.169.196
- 전혜경 (2016).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3), 101-124.
- 정선영 (2017).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개인 가치관의 영향력: 한국, 중국, 일본의 국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5(1), 71-81. doi:10.7466/JKHMA.2017.35.1.71
- 정일영, 김찬우 (2015).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가 서울시 거주 중고령자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16(1), 149-168.
- 조성연, 이정희 (2010).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원장, 동료의 사회적 지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4), 29-42.
- 조성자, 문수백, 민하영 (2008).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지각된 자아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2), 25-32.
- 조영아, 이재은 (2017). 자원봉사 관리자의 소명과 삶의 만족의 관계: 경력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9(2), 111-135. doi:10.23840/agehrd.2017.49.2.111
- 조진형, 김경미, 김동원, 김정희 (2008). 감사일지 작성이 주관적 안녕감, 자기 존중감, 자기 효능감, 감사성향 및 신체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 담론201, 11(2), 75-101.
- 천경주, 최주희, 김유리, 이상옥, 장철훈, 김성수 (2017). 교대근무 간호사와 비교대근무 간호사의 공감수준이 삶의 만족도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3), 261-273. doi:10.5392/JKCA.2017.17.03.261
- 천성문 (2014). 유아교사의 성격강점과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5), 2623-2637.
- 최병태, 김이영 (2013). 개인특성과 사회지지가 어린이집 교사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와 업무스트레스를 매개로.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7(1), 7-23.
- 최효정, 석은조 (2013).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75, 93-115.
- 하춘광 (2015). 호주 시드니 거주 한인 중년층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 연구. 보건사회연구, 35(2), 193-225. doi:10.15709/hswr.2015.35.2.193
- 홍은숙 (2006). 탄력성의 개념적 이해와 교육적 방안. 특수교육학연구, 41(2), 45-67.
- 황해익, 박성미, 탁정화 (2015). 예비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14(2), 193-218.
- 황해익, 송연숙, 정혜영, 남미경, 정혜영, 유수경 (2015). 보육교사론. 서울: 정민사.
- 황해익, 탁정화, 강현미 (2014).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 인식수준에 따른 소진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9(4), 31-52.
- 황해익, 탁정화, 홍성희 (2013).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3), 411-432.
- Block, J. G., & Kremen, A, M. (1986). IQ and ego 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410. doi:10.1037/0022-3514.70.2.349
-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5), 300-314. doi:10.1097/00006842-197609000-00003
- Cohen, S., & Hoberman, H. M.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2), 99-125. doi:10.1111/J.1559-1816.1983.tb02325.x
-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1), 71-75. doi:10.1207/s15327752jpa4901_13
- Essa, E. L. (2003). Introduc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4th Ed). NY: Delmar Learning.
- Garmezy, N., & Rutter, M. (Eds.). (1983). Stress, coping, and development in children.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 Greenhaus, J. H., Parasuraman, S., & Wormley, W. M. (1990). Effects of race on organizational experiences, job performance evaluations, and career outcomes. Th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3(1), 64-86. doi:10.2307/256352
- Gu, Q., & Day, C. (2007). Teachers resilience: A necessary condition for effectivenes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3(8), 1302-1316. doi:10.1016/j.tate.2006.06.006
- Helm, C. M. (2006). Teacher dispositions as predictors of good teaching. Clearing House, 79(3), 117-118. doi:10.3200/TCHS.79.3.117-118
- Le Cornu, R. (2009). Building resilience i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5(5), 717-723. doi:10.1016/j.tate.2008.11.016
- Masten, A. S. (2001). Ordinary magic: Resilience process in development. The American Psychologist, 56(3), 227-238. doi:10.1037/0003-066X.56.3.227
- Minor, L. C., Onwuegbuzie, A. J., Witcher, A. E., & James, T. L. (2002). Preservice teachers'educational beliefs and their perceptions of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teacher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ch, 96(2), 116-127. doi:10.1080/002206709598798
- Neugarten, B. L., Havighurst, R. J., & Tobin, S. S. (1961).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16, 134-143. doi:10.1093/geronj/16.2.134
- Reivich, K., & Shatte, A. (2002). The resilience: seven essential skills for overcoming life's inventable obstacles. NY: Broadway books.
- Rutter, M. (1993). Resilience: Some conceptual consideration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14(8), 626-631. doi:10.1016/1054-139X(93)90196-V
- Rutter, M. (2007). Resilience, competence, and coping. Child Abuse & Neglect, 31(3), 205-209. doi:10.1016/j.chiabu.2007.02.001
- Salovey, P., Bedell, B. T., Detweiler, J. B. & Mayer, J. D. (1999). Coping intelligently: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coping process. In C. R. Snyder(Ed.). Coping: The Psychology of what works. (pp. 141-164).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Seligman, M. E. P. (2002).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New York: Free Press.
- Thomas, L., & Ganster, D. C. (1995). Impact of family-supportive work variables on work-family conflict and strain: A control perspectiv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0(1), 6-15. doi:10.1037/0021-9010.8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