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국에 대한 경쟁의식과 문화유입수용성이 중국인들의 자국방어적 대응에 미치는 영향: 합리적 분쟁해결인식의 매개효과와 한류호감도의 조절효과분석을 중심으로

Effect of Chinese's Sense of Rivalry toward Korea and Receptiveness to Foreign Cultural Inflow on National Defense Respond: Focusing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Reasonable Dispute Resolution between China and Korea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Liking for Korean Wave

  • 이희진 (한동대학교 언론정보문화학부)
  • 투고 : 2017.12.01
  • 심사 : 2017.12.27
  • 발행 : 2018.01.28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들의 한국인에 대한 경쟁의식과 문화유입수용성이 국가 간에 분쟁이 발생하였을 때, 중국인들의 자국방어적 대응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러한 영향에 합리적 분쟁해결인식의 매개효과와 한류호감도의 조절효과가 어떻게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의 11개 도시(7개 성소재)에 거주하는 30세 미만의 695명의 중국인들을 설문조사하여 얻은 자료를 분석한 실증연구이다. 자료분석 결과, 첫째, 한류호감도가 높은 경우에는 국가간 경쟁의식이 한국과의 분쟁의 합리적 해결에 부적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한류호감도가 낮은 집단은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한류호감도가 높은 경우에는 문화유입수용성은 합리적 분쟁해결인식을 매개(mediation)로 하여 자국방어적 대응 성향을 완화시키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확인된 반면 한류호감도가 낮은 집단에서는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아 한류호감도의 조절효과(moderating effect)가 입증되었다. 주요 발견점을 토대로 함의를 모색하며 논의하였다.

The predominant concern of the study consist of: (1) the direct effect of Chinese's sense of rivalry toward Korea and receptiveness to foreign cultural inflow on national defense respond; (2)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easonable dispute resolution between China and Korea; (3) the moderating effects of liking for Korean Wave. The research i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with 695 Chinese people under 30, located in eleven cities of seven provinces. The notable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while the sense of rivalry does not negatively effect on the reasonable dispute resolution between China and Korea among group with high liking for Korean Wave, the sense of rivalry does have negative effect on the dispute resolution among Chinese with low liking for Korean Wave. Second, the reasonable dispute resolution shows a buffer effect between the receptiveness to foreign cultural inflow and the sense of rivalry toward Korea among group with high liking for Korean Wave, however, the mediation effect of the reasonable dispute resolution is not significant among low group. Thus, it is prov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liking for Korean Wave is significant. Some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study's finding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진석, "중국 언론의 한류 (韓流) 에 대한 시각과 대응에 관한 고찰," 중국학연구, 제75권, pp.301-321, 2016.
  2. 이희진, "한류콘텐츠 이용정도가 중국인의 혐한정서에 미치는 영향: 한류호감 및 한국인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이차매개효과검증을 중심으로," 학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5호, pp.394-405, 2017.
  3. 김신동, "동아시아의 초국적 문화수용과 타자 인 식: '한류' 담론에 대한 성찰적 비평," 한국방송학회 세미나, pp.162-180, 2002.
  4. 이희진, "중국인들의 한국인에 대한 긍정적 인식 및 부정적 인식이 한 중 간의 합리적 분쟁해결에 미치는 영향: 문화유입수용성의 매개효과와 한류콘텐츠이용정도의 조절효과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1권, 제7호, pp.1-13, 2017.
  5. J. Straubhaar, "Beyond Media Imperialism: Asymmetrical Interdependence and Cultural Proximity," Critical Studies in Mass Communication, Vol.8, pp.39-59, 1991. https://doi.org/10.1080/15295039109366779
  6. K. Iwabuchi, "Becoming Culturally Proximate: The Adolescent of Japanese Idol Dramas in Taiwan," In B. Moeran(Eds.), Asian Media Productions(pp. 54-74), UK: Curzon Press, 2001.
  7. 오미영, "일본 내 한류 수용과 타자 인식의 변화: <겨울연가>붐을 중심으로," 현상과 인식, 제30권, 제1.2호, pp.34-56, 2006.
  8. 이희진, "중국인의 한국드라마 시청이 문화유입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한류호감 및 문화근접성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중국학연구, 제82집, pp.427-455, 2017.
  9. 강내영, "중국의 항(抗)한류 현상 연구:드라마와 영화를 중심으로," 중국학연구, 제43권, pp.457-508, 2009.
  10. D. Anderson and J. Bryant, "Research on children's television viewing: The state of the art," In J. Bryant & D. Anderson(Eds.), Children's Understanding of Television: Research on Attention and Comprehension, pp.331-354, Academic Pr, 1983.
  11. 이준웅, "한류의 커뮤니케이션 효과:중국인의 한국 문화상품 이용이 한국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47권, 제5호, pp.5-35, 2003.
  12. J. Shanahan and M. Morgan, Television and its viewers: Cultivation Theory and Research.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13. 채지영, "일본 대학생의 대중문화 상품 소비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14권, 제3호, pp.235-255, 2003.
  14. 김선남, 장해순, 정현욱, "수용자의 드라마 여성이미지에 대한 수용행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8권, 제1호, pp.76-115, 2004.
  15. 유세경, 고민경, 한국 TV드라마의 시청행위와 한국과 한류에 대한 태도 관계연구, 중국 대학, 2006.
  16. 유재웅, "한국 TV드라마 시청이 제작국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중국과 일본 시청자를 대상으로," 홍보학연구, 제11권, 제2호, pp.26-158, 2007.
  17. 임형민, 박주연, "한류 콘텐츠인 드라마 시청 동기와 문화 선호도에 관한 연구 : 중국과 일본 대학생을 중심으로," 경성대 사회과학연구, 제27권, 제4호, pp.371-395, 2011.
  18. E. Schiappa, P. B. Gregg, and D. E. Hewes, "The parasocial contact hypothesis," Communication monographs, Vol.72, No.1, pp.92-115, 2005. https://doi.org/10.1080/0363775052000342544
  19. 이봉민, "집단 갈등 문제에 대비한 집단 간 간접 접촉 방법의 통합적 적용," 법교육연구, 제7권, 제1호, pp.137-163, 2012.
  20. E. Katz, "Mass Communication Research and Study of Popular Culture," Studies in Public Communication, Vol.2, pp.1-6, 1959.
  21. R. Linton, The study of man, New York: Appleton-Century-Crofts Inc, 1936.
  22. 치아오춘옌, 중국의 한류에 대한 태도 및 전망에 관한 이론적 연구 : 드라마 중심으로, 한양대학교국제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23. T. Pettigrew, "Intergroup contact theory,"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49, pp.65-85, 1998.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49.1.65
  24. G. W. Allport, The Nature of Prejudice, Reading, MA: Addison-Wesley, 1954.
  25. 유세경, 이경숙, "동북아시아 3국의 텔레비전 드라마에 나타난 문화적 근접," 한국언론학보, 제45권, 제3호, pp.230-267, 2001.
  26. 이희진, "중국인의 한국드라마 시청정도가 한류지속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과 한류 호감도와 문화유입 수용성의 다중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513-526,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