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ti-bias education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in Korea by reviewing related research. Focusing on the themes of biases and teaching medium/methods applied in the research, it tends to enhance general understanding about anti-bias education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25 research papers published from 1995- 2017 dealing with anti-bias activities/programs for young children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terms of the period of research, almost half of the studies (53 studies) were conducted from 2000- 2004. Regarding the themes of biases covered in the education activities, single bias related activities included 64.8% of the total studies reviewed, and the main themes of bias included disability and gender. In studies that included multiple bias themes, more than half investigated from three to five different bias themes, including appearance, family, disability, gender, race, and culture. The most common teaching medium/method applied in activities was children's story, accounting for 60.8% of all activities. The following was utilizing inclusive environment, which was 14.4% of the activ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would help systematize the contents of anti-bias education and develop diverse teaching-learning approaches.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반편견 교육활동 및 프로그램들과 관련된 국내의 실천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아기 반편견 교육활동 및 프로그램들이 주요하게 다루고 있는 편견의 주제를 살펴보고, 해당 교육활동에서 적용하고 있는 교수-학습의 매체나 접근법을 분석함으로써 반편견 교육활동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기 반편견 교육 연구가 처음 시작된 1995년부터 2017년까지 수행된 반편견 교육활동이나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한 실천연구 125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시기적으로는 2000년-2004년 사이에 절반에 가까운 53편의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단일한 편견주제를 다룬 교육활동 연구들이 64.8%로 두 가지 이상의 편견주제를 다중으로 다룬 교육활동 연구보다 많았다. 한 가지의 편견에 초점을 둔 교육활동의 주제로는 장애관련 편견과 젠더관련 편견이 가장 많이 다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여러 편견주제를 함께 다룬 다중편견주제의 경우 절반 이상이 세 가지에서 다섯 가지 사이의 편견주제들을 다루고 있었으며, 가장 빈번하게 다루어진 내용은 외모, 가족, 장애, 젠더, 인종, 계층, 문화와 관련한 편견의 순서로 나타났다. 반편견 교육에 사용된 교수-학습 매체 및 방법은 동화를 활용한 것이 압도적으로 많아 60.8%로 나타났고, 통합적 환경이 그 뒤를 이어 14.4%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유아기 반편견 교육의 주제 범위 체계화, 접근 방법 다양화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