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he Golden Royal Seals Made by the Directorate for the Restoration of the Golden Royal Seals(金寶改造都監) in 1705

1705년 금보개조도감(金寶改造都監) 제작 금보 연구

  • Received : 2016.12.26
  • Accepted : 2017.02.01
  • Published : 2017.03.30

Abstract

The Joseon Dynasty (1392~1910) had a long tradition of making official seals to commemorate the granting of official royal titles, including posthumous honorary titles, to its kings, queens, crown princes and queen dowagers. These royal seals were typically gold-plated or made of jade. After the death of its holder, each seal would be stored in the royal seal depository in the Royal Ancestral Shrine. Extensive efforts were made to restore the traditions and culture of the royal family of Joseon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r. 1674~1720). In 1705, discussions were held about the royal ceremonial objects, including the royal seals, stored in the Royal Ancestral Shrine, resulting in the reproduction of a set of accessories related with the storage of royal seals and ten golden royal seals which had been lost during wars or had yet to be made. With these reproductions, each shrine chamber of the Royal Ancestral Shrine would have had at least one seal. The details of the reproduction project were meticulously recorded in The Royal Protocol by the Directorate for the Restoration of Golden Royal Seals("金寶改造都監儀軌"). Given that the restoration project was the single event that led to the reproduction of all the golden royal seals, it is reasonable to conclude that the directorate had fulfilled a historically significant function. In this study, the main discussion is focused on the establishment of the directorate and the storage and management of the damaged royal seals. The discussion includes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golden seals, for which The Royal Protocol is compared with other similar documents in order to gain more detailed knowledge of the measurements of the turtle knob, the lost-wax casting technique, the gold plating with mercury amalgamation technique, and other ornamentation techniques. The discussion also covers the activities of the artisans who made the royal seals, based on a study of the royal protocols; the styles of the artifacts, based on an examination of the remaining examples; and the techniques used by the Directorate for the Restoration of Golden Royal Seals to produce the royal seals in 1705.

어보(御寶)는 조선시대(朝鮮時代)에 왕(王), 왕비(王妃), 세자(世子), 대왕대비(大王大妃) 등을 책봉(冊封)하거나 존호(尊號), 시호(諡號) 등의 이름을 올릴 때 제작하는 인장(印章)이다. 어보는 금보(金寶)와 옥보(玉寶) 등으로 제작하는데 인장의 주인이 승하하면 종묘(宗廟)의 각 실(室) 보장(寶欌)에 봉안(奉安)되었다. 숙종대(肅宗代)에는 왕실(王室) 문화를 정비하고 보수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이러한 흐름의 일환으로 1705년에는 종묘에 봉안되어 있던 어보의 의장(儀仗)에 관한 문제가 논의되었고, 이에 따라 어보를 포장하는 부속품을 일괄로 제작하였다. 뿐만 아니라 전란 중에 잃어버린 금보와 그동안 만들어지지 않았던 금보 10과(顆)를 새롭게 제작하였다. 그 결과, 이 시기에는 종묘의 각 실마다 최소 어보 1과를 갖추게 되었다. 이 과정을 기록한 것이 "금보개조도감의궤(金寶改造都監儀軌)"이다. 조선 전 시기 동안 금보를 대량으로 제작해서 종묘에 봉안하는 유일한 의례(儀禮)인 점을 감안하면 이 도감이 갖는 중요한 의미를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먼저 금보개조도감의 설치과정을 통해 그 시기 손상된 어보의 보관과 관리방법 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금보의 제작과정을 "금보개조도감의궤"와 다른 의궤(儀軌)들을 비교해서 보의 귀뉴(龜?)형태를 만드는 견양(見樣), 밀납주조방식, 수은아말감기법의 도금(鍍金), 세부 문양을 새기는 과정을 순서대로 고찰하였다. 나아가 당시 금보를 만드는 장인(匠人)인 금보장(金寶匠)의 활동방식을 동시기 의궤를 통해 분석하여 금보장의 계승 방식을 확인하였다. 이후 현존하는 작품을 중심으로 금보의 양식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1705년 금보개조도감에서 제작한 금보의 제작방법과 장인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종국장도감의궤
  2. 경종단의왕후가례도감의궤
  3. 경종선의왕후가례도감의궤
  4. 경종왕세자책례도감의궤
  5. 금보개조도감의궤
  6. 금보개조도감도청추보의궤
  7. 단경왕후복위부묘도감의궤
  8. 단의왕후선의왕후책례도감의궤
  9. 단종정순왕후복위부묘도감의궤
  10. 명성왕후국장도감의궤
  11. 민회빈복위선시도감의궤
  12. 사도세자책례도감의궤
  13.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
  14. 숙종국장도감의궤
  15. 숙종인경왕후인현왕후인원왕후가상존호도감의궤
  16. 숙종인원왕후가례도감의궤
  17. 영조왕세제책례도감의궤
  18.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19.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
  20. 인현왕후책례도감의궤
  21. 장렬왕후존숭도감의궤
  22. 장렬왕후책보수개도감의궤
  23. 정성왕후책례도감의궤
  24. 정종정안왕후시호도감의궤
  25. 조선왕조실록
  26. 종묘의궤
  27. 태조신의왕후태종원경왕후시호도감의궤
  28. 효종가상시호도감의궤
  29. 희빈중궁전책례도감의궤
  30. 국립고궁박물관, 2012, 왕의 상징 어보, 디자인인트로
  31. 국립고궁박물관, 2010, 조선왕실의 御寶 1-3
  32. 국립문화재연구소편, 2006, 주철장, 피아, pp.29-31, 62-131
  33. 김문식, 2005, 규장각 소장 왕실자료 해제.해설집 1, 서울대학교 규장각, p.14
  34. 서준, 2010,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어보의 제작과 종류 소고 조선왕실의 御寶 1, 국립고궁박물관, pp.714-715
  35. 윤용현, 2013, 靑銅遺物의 鑄造와 復原技術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31-32
  36. 이현진, 2008, 조선후기 종묘 전례 연구, 일지사, pp.135-320
  37. 임현우, 2008, 조선시대 어보 연구 - 구 종묘 소장품을 중심으로 -,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34-36
  38. 장경희, 2005, 조선후기 王室工藝匠人 研究의 成果와 課題 韓國人物史硏究 3, 한국인물사연구소, p.423
  39. 전용일, 2006, 금속공예기법, 미술문화, pp.79-87
  40. 제지현, 2013, 朝鮮時代 17-18世紀 王室 御寶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26-29, 35-39
  41. 추원교, 2006, 고대의 수은도금법과 보존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12권 제3호, 한국디자인문화학회, pp.5-9
  42. 한만성, 2000, 우리나라 고대 아말감 도금법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2-44
  43. 한민수.황진주.문환석, 2002, 고대 도금 제작 기술에 관한 연구 - 수은 아말감 도금법을 중심으로 - 보존과학연구 23,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pp.114-128
  44. YTN사이언스, 2016. 10. 27, "1400년 전 신라 도금 불상의 비밀은 바로 매실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