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cavation of Kim Jeong-gi and Korean Archeology

창산 김정기의 유적조사와 한국고고학

  • Lee, Ju-heun (Buye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Received : 2017.09.29
  • Accepted : 2017.11.09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Kim Jeong-gi (pen-name: Changsan, Mar. 31, 1930 - Aug. 26, 2015) made a major breakthrough in the history of cultural property excavation in Korea: In 1959, he began to develop an interest in cultural heritage after starting work as an employee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For about thirty years until he retired from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in 1987, he devoted his life to the excavation of our country's historical relics and artifacts and compiled countless data about them. He continued striving to identify the unique value and meaning of our cultural heritage in universities and excavation organizations until he passed away in 2015. Changsan spearheaded all of Korea's monumental archeological excavations and research. He is widely known at home and abroad as a scholar of Korean archeology, particularly in the early years of its existence as an academic discipline. As such, he has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archeology. Although his multiple activities and roles are meaningful in terms of the country's archaeological history, there are limits to his contributions nevertheless. The Deoksugung Palace period (1955-1972), whe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as situated in Deoksugung Palace, is considered to be a time of great significance for Korean archeology, as relics with diverse characteristics were researched during this period. Changsan actively participated in archeological surveys of prehistoric shell mounds and dwellings, conducted surveys of historical relics, measured many historical sites, and took charge of photographing and drawing such relics. He put to good use all the excavation techniques that he had learned in Japan, while his countrywide archaeological surveys are highly regarded in terms of academic history as well. What particularly sets his perspectives apart in archaeological terms is the fact that he raised the possibility of underwater tombs in ancient times, and also coined the term "Haemi Culture" as part of a theory of local culture aimed at furthering understanding of Bronze Age cultures in Korea. His input was simply breathtaking. In 1969,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NRICH) was founded and Changsan was appointed as its head. Despite the many difficulties he faced in running the institute with limited financial and human resources, he gave everything he had to research and field studies of the brilliant cultural heritages that Korea has preserved for so long. Changsan succeeded in restoring Bulguksa Temple, and followed this up with the successful excavation of the Cheonmachong Tomb and the Hwangnamdaechong Tomb in Gyeongju. He then explored the Hwangnyongsa Temple site, Bunhwangsa Temple, and the Mireuksa Temple site in order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 Buddhist culture and structure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We can safely say that the large excavation projects that he organized and carried out at that time not only laid the foundations for Korean archeology but also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studies in related fields. Above all, in terms of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Korean archeology, the achievements he generated with his exceptional passion during the period are almost too numerous to mention, but they include his systematization of various excavation methods, cultivation of archaeologists, popularization of archeological excavations, formalization of survey records, and promotion of data disclosure.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is "Excavation King" devoted himself to excavations, kept precise records, and paid keen attention to every detail, he fail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his era in the process of defining the nature of cultural remains and interpreting historical sites and structures. Despite his many roles in Korean archeology, the fact that he left behind a controversy over the identity of the occupant of the Hwangnamdaechong Tomb remains a sore spot in his otherwise perfect reputation.

창산 김정기(昌山 金正基, 1930.3.3~2015.8.26)는 우리나라 문화재 발굴사에 있어서 큰 획을 그으신 분이다. 1959년 국립박물관 직원으로 문화재와 인연을 맺으신 이후, 1987년 문화재연구소를 퇴직할 때까지 약 30년에 가까운 세월동안 유적과 유물을 발굴하고 자료를 정리하며 2015년 영면하기 전까지 대학과 발굴 전문기관에서 우리 문화재의 가치와 의미를 밝히려고 노력하였다. 창산은 국내의 기념비적인 고고학 발굴조사를 모두 진두지휘하고 초창기 한국 고고학을 대표하는 학자로 국내외에 알려져 있으며, 한국 고고학에 적지 않은 영향을 남겼다. 그의 활동과 역할은 고고학사적으로 의미가 있으나 나름의 한계 또한 찾아 볼 수 있다. 다양한 성격의 유적이 활발히 조사되어 한국 고고학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시기로 평가되고 있는 국립박물관의 덕수궁시기(1955~1972년)에 창산은 선사시대 패총유적이나 주거지와 같은 고고학 조사에 적극 참가하여 유적측량과 유구 실측을 비롯하여 사진촬영과 유물 제도 등을 맡아서 하였다. 그는 일본에서 익힌 발굴기술을 마음껏 발휘하였고, 전국을 무대로 종횡무진 이루어진 그의 고고학조사는 학사적으로도 높게 평가되고 있다. 특히, 창산의 견해 가운데 고고학적으로 주목되는 것은 고분에 있어 수릉의 가능성을 지적한 것과 청동기시대 문화의 이해에 "해미문화"라는 지역문화론을 처음으로 언급한 것은 탁견이었다. 1969년 문화재연구실이 설치됨에 따라 그 책임을 맡은 창산은 미약한 규모인 연구실의 운영과 총체적인 책임을 맡아 찬란한 우리문화를 지켜내고자 조사와 연구에 고심하였다. 그는 불국사 복원공사와 경주 천마총, 황남대총의 발굴 등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고, 이후 황룡사지, 분황사, 미륵사지 등을 조사하며 삼국시대 불교문화와 가람의 구조를 체계적으로 파악해 보고자 노력하였다. 당시 창산이 기획하여 진행한 대형 발굴조사는 한국 고고학의 기틀을 다짐과 동시에 관련분야의 연구를 활성화시키는데 크게 이바지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한국 고고학의 계기적인 발전과정 상에서 볼 때, 다양한 발굴조사법의 시도와 체계화, 고고학 전문 인력의 양성과 발굴조사의 대중화, 조사기록의 정형화 및 자료공개 활성화 등은 이 시기 창산의 열정으로 이루어진 성과로 손꼽을 수 있다. 한편, 유적조사에 있어서 정확한 기록과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며 열정적으로 발굴에 심혈을 기울인 발굴왕 창산도 유적의 성격을 밝히고 유구를 해석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시대적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였는데, 황남대총 주인공 논쟁의 불씨를 남겨둔 것은 그의 역할을 재음미해볼 때 매우 아쉬운 한부분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문화재연구소, 2009, 국립문화재연구소 40년사
  2. 국립박물관, 1979, 송국리I
  3. 국립박물관, 1963, 울릉도
  4. 국립중앙박물관, 2009, 한국박물관 100년사
  5. 김성태, 2016, 황남대총 북분 피장자의 성별에 대한 새로운 접근 중앙고고연구20
  6. 김원룡.김정기, 1967, 고령벽화고분조사보고 한국고고2, 서울대학교고고인류학과
  7. 김정기, 1996, 청동기 및 초기철기시대의 수혈 주거 한국고고학보34호
  8. 김정기, 1983, 주거지 발굴에 있어서 문제점 한국사론12
  9. 김정기, 1982, 한민족의 주거 건축문화10호
  10. 김정기, 1981, 韓國の遺跡を掘る, 學生社
  11. 김정기, 1979, 마한 영역에서 발견된 주거지 마한.백제문화3
  12. 동아일보사, 2009, 박물관에 살다 - 한국 박물관 100년의 사람들 -
  13. 문화재연구소, 1985, 문화재연구소 10년사
  14. 박용진, 1973, 공주 출토 백제와.전에 대한 연구 백제문화6집
  15. 송만영, 1995, 중기 무문토기시대 문화의 편년과 성격,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안재호, 1996, 무문토기시대 취락의 변천 - 주거지를 통한 중기의 설정 - 석오윤용진선생 정년퇴임기념논총
  17. 안재호, 1992, 송국리유형의 검토 영남고고학11호
  18. 이건무, 1992, 송국리형 주거분류시론 택와허선도선생정년퇴임기념 한국사논총
  19. 이성주, 2013, 일제강점기 고고학조사와 그 성격 일제강점기 영남지역에서의 고적조사
  20. 이종철, 2015, 송국리형문화의 취락체제와 발전,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이주헌, 2016, 송산리6호분 전용문양전과 피장자의 성격 부산고고학연구회 발표요지 117호
  22. 이주헌, 2015a, 황남대총 북분 주인공 성격 재고 신라문화45호
  23. 이주헌, 2015b, 제국주의 고고학과 정신유산적 가치의 재평가 문화재에 담긴 정신유산 가치 재조명, 한국학중앙연구원.문화재청
  24. 한국고고학회, 2008, 한국 고고학 60년
  25. 中間硏志, 1987, 松菊里形住居-我國稻作農耕受用期における竪穴住居の硏究 東アジアの考古と歷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