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Social Exclusion and Social Network on Parental Attitude and Behavior of Adolescents Female Single Parent - To Investigate Moderating Effects of Public Support for Single-parent Family -

청소년 여성 한부모의 사회적 배제와 사회적 관계망이 양육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부모가족 정책 지원의 조절효과

  • 이윤정 (호서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Received : 2017.06.30
  • Accepted : 2017.09.24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effects of public support for single-parent family for adolescent single-parent who experienced social exclusion and social network. This study utilized a part of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s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Adolescent Pregnancy, Birth and Rearing Children'.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62 adolescent single-parents at the age of 24 and below.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this study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public support for single-parent family in the context of social exclusion and social network on parental attitude and behavior(parenting efficacy, parenting stress, negative parenting behavi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Nearly half of adolescent single-parent has economic hardship in original family and most they lived with preschool children on unemployed state that the average monthly income of them was about 600,000 won. It means that their financial independence difficult. Second, family support was only significant factor for parenting efficacy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family and acquaintances was major influence factor for causing positive parental behavior of adolescent single-parent. As a result, social network was verified more important factor than social exclusion on parental attitude and behavior. Lastly, public support for single-parent family was confirmed as social mitigation mechanism that ha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exclusion and social network on parental attitude and behavior.

본 연구는 청소년 한부모의 사회적 배제와 사회적 관계망 특성이 부모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 부정적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한부모가족 정책 지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청소년 임신 출산 및 자녀 양육 실태조사' 원자료 중 일부로, 조사 당시 자녀를 양육 중인 24세 이하의 청소년 한부모 262명의데이터만을 추출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한부모들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비양친 가정에서 자란 경우가 절반에 가까우며, 대부분 비취업 상태에서 월평균 60만원 정도의 소득으로 미취학 자녀를 양육하고 있어 자립이어려운 상황이었다. 둘째, 청소년 한부모의 부모효능감 향상에는 가족 등의 지지가, 바람직한부모 행동 유발에는 가까운 이들과의 밀도있는 관계가 유의미한 영향 요인으로 검증되어 사회적 배제보다 사회적 관계망이 양육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청소년 한부모의 부모효능감과 양육 스트레스에 있어 사회적 배제 및 사회적 관계망으로 인한일부의 부정적 영향이 정책 지원으로 완화됨이 검증되었다. 분석을 통해 한부모가족 정책 지원이 물리적 차원을 넘어 일부 심리정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적 기제임이 밝혀졌으며, 중장기적으로 소득과 고용지원, 수당지급 형식 외에 양육 기술 습득 등의 조력이 가능한 돌봄지원을 강화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