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n Policies of Elderly Abuse in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on WHO, Main countries

장기요양시설내 노인학대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WHO 및 주요국의 정책 비교를 중심으로

  • Moon, yongpi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Health Insurance Policy Institute) ;
  • Lee, hoyong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Health Insurance Policy Institute)
  • 문용필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
  • 이호용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 Received : 2017.01.15
  • Accepted : 2017.03.20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policies of elderly abuse of long-term care facilities on WHO, Main countries for improvement of Korean policy. So, This study reviewed policies of elderly abuse of long-term care facilities on WHO, Main countries. So, This study reviewed risk factors that may increase the potential for abuse of an older person can be identified at individual level, care-woker levels, socio-cultural levels and facilities level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openness of long-term care facilities are emphasized on many countries. There are a need for a policy considerations such as policies of Ombudsman, Adult guardianship for visiting facilities, external monitoring.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of facilities infrastructure and workers of treatment condition long-term care facilities each other countries. So It is important to improve facilities infrastructure and workers of treatment condi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raits of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Especially, it is required to manage dementia elderly and elderly on night time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inally,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policies of elderly abuse of long-term care facilitie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요양시설내 노인학대 문제에 대한 WHO 및 주요국의 정책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장기요양시설 노인학대 예방정책의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WHO의 노인학대 위험요인으로 지적된 요인 중에서 장기요양시설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세가지 이슈(노인의 특성(시설내 치매노인 분리수준), 종사자 특성(신체억제대 사용수준, 야간 돌봄인력 처우수준), 시설 특성(시설내 CCTV설치수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많은 국가들에서 시설의 개방성에 대해서 강조하고 있었다. 관련 정책으로 옴부즈맨제도, 성인후견인제도 등을 통한 시설방문, 외부 감시체계를 운영하고 있었다. 둘째, 시설의 입소노인의 특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특히, 장기요양시설 특성상 치매노인, 야간시간대 입소노인의 특성이 고려된 학대예방책이 요구되었다. 셋째, 장기요양시설의 시설종사자의 처우조건, 종사자의 시설환경 수준 등이 각 국가별로 차이가 있었다. 시설내 학대예방을 위해 시설환경의 향상과 종사자의 처우개선이 중요하였다. 넷째, 향후 입소자 중심 예방정책으로의 패러다임 변화가 요구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한국의 장기요양시설내 노인학대 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