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life of immigrant youth before and after entering Korean society: Focusing on Korean-Chinese adolescents

중도입국청소년의 한국사회 입국 전·후 삶에 대한 연구 -조선족 청소년을 중심으로-

  • Song, MinKyoung (Gangwon-do Woman & Family Research Institute) ;
  • Kim, JinWo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ungkyunkwan University)
  • 송민경 (강원도여성가족연구원) ;
  • 김진원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7.03.30
  • Accepted : 2017.06.06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 depth the life of Korean-Chinese adolescents before and after entering Korean society. These adolescents experienced early separation from their biological mothers in China and were raised by relatives due to the absence of parents. The adolescents' childhoods were filled with a sense of loneliness and emptiness, which made them feel hopeless in life, and traveling to Korea in hope and fear was a major challenge in their lives. After coming to Korea, they harmed themselves by engaging in toxic behavior and found themselves hopeless. They also experienced difficulties due to the relationships that needed to be rebuilt with their biological parents, as well as the relationships with their stepparents and half-siblings. However, they reported feeling self-confident and hopeful that their life would improve in the future. In addition, family support and social-support systems have given them a potential avenue for development. Verbal data collected from seven Korean-Chinese adolescen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practical recommendations to be reflected in related programs were provided.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도입국청소년의 한국사회 입국 전 후 삶의 맥락에 대하여 깊이 있게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때 본 연구의 참여자는 중도입국청소년의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조선족 청소년이었다. 이들은 중국에서 아주 이른 시기에 친모와 이별을 경험했고, 양쪽 부모의 양육 부재 속에 친인척 등에 의해 대리양육 되기도 했다. 이때 심리적인 외로움과 공허함은 삶을 무기력하게 만들기에 충분했고, 반신반의 기대를 가지고 택한 한국행은 그들의 삶에 커다란 도전이 되었다. 한국에 온 후에는 안 좋은 행동들을 하면서 스스로의 안전을 저해하기도 했고, 무기력한 시간들을 보내기도 했다. 또 친부모와 다시 새롭게 구축해야 하는 가족관계, 계부모와 이복 혹은 동복동생과의 관계로 인해 힘듦을 경험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들의 내면에는 스스로에 대한 긍정성과 앞으로 나아지지 않을까라는 기대감이 존재했고, 이들을 지원하는 가족 및 사회적 지지체계가 존재함으로 인해 발전 가능성을 가질 수 있었다. 결과 분석에는 조선족 청소년 7명의 구술 자료가 사용되었고, 이를 토대로 관련 프로그램에 반영될 수 있는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