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neglect on sense of community among adolescents: Focusing on the moderation effect of peer attachment

방임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또래애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손예진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한창근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7.09.23
  • Accepted : 2017.12.10
  • Published : 2017.12.31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neglect influences sense of community and whether such a relationship is moderated by peer attach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mployed multi variate regression analyses using the sixth-panel data (2015) of fourth-grade elementary-school children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e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neglect was found to have negative impacts on sense of community. In addition, we found that peer attachmen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glect and sense of community. This finding suggests that peer relationship and attachment protects some portion of negative impacts of neglect on sense of community. This study concludes with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to improve the well-being of adolescents.

본 연구의 목적은 방임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또한 방임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또래애착이 조절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초등학교 4학년용 데이터(2015)를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데이터는 6차 자료로, 분석에 이용된 연구대상자는 중학교 3학년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임은 공동체의식과 부적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임과 공동체의식 간의 관계에 또래애착이 조절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래애착이 높은 경우 방임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부적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방임에 대한 사회적 개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추가적으로 또래애착을 향상시키는 방안에 대한 함의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