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천주교의 불가타 성경 사용 양상: 트렌토 공의회 이후부터 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까지

The Usage of the Vulgate Bible in the European Catholicism: from the Council of Trent until the Second Council of Vatican

  • 투고 : 2017.06.29
  • 심사 : 2017.09.03
  • 발행 : 2017.09.30

초록

본고는 트렌토 공의회 이후 유럽 천주교에서 불가타 성경이 어떤 방식으로 사용되었는지를 이해하는 것을 일차적인 목적으로 하였다. 불가타 성경은 유럽 천주교에서 지고한 가치를 지녔으며, 천주교 내에서 진행되는 각종 신앙생활에서 중심축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점은 미사용 전례 텍스트와 피정용 묵상 해설서에 수록된 불가타 성경 구절들을 분석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트렌토 공의회 이후 불가타 성경의 존재 양상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아직 해결해야 할 의문점들이 산적해 있고, 또한 넘어야 할 과제들이 많다. 먼저 프랑스에서 나온 피정용 성경 해설서에는 성경이 모두 불어로 번역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불가타 성경의 유럽 자국어 번역이라는 문제는 대단히 복잡하게 진행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에 대한 교황청의 입장이 담긴 교령들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유럽 자국어로의 번역 및 비유럽 선교지 언어로의 번역에 대한 교령들을 찾는 일은 지속적으로 탐구해야 할 과제이다. 한편 전례 텍스트 가운데 미처 다루지 못한 부분도 존재한다. 그것은 바로 ${\ll}$로마 성무일도${\gg}$이다. 트리덴티노 전례서 가운데 가장 먼저 제정된 ${\ll}$로마 성무일도${\gg}$에는 저녁 기도 이후에 밤 시간을 구분하여 바치는 기도에서 성경 독서를 행하였다. 오늘날에 와서는 독서 기도라고 부른다. 주로 수도원에서 매일 반복하여 바치는 성무일도의 밤 기도에서 성경 구절의 편성을 살펴보는 것도 트렌토 공의회 이후 유럽 천주교에서 불가타 성경의 존재 양상을 따지는 데 중요한 주제가 될 것이다. 16세기 이후 유럽 천주교에서 불가타 성경은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점은 예수회가 천주교 내에서 성경에 대한 집중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데 큰 공헌을 하였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천주교의 신앙생활에서 성경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예수회의 정신은 동아시아 선교지에서도 그대로 이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중국 선교지에서 예수회 선교사들은 불가타 성경을 한문으로 번역하여 보급하는 일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유럽 천주교에서 불가타 성경이 정경으로 선포되고 라틴어 성경의 자국어 번역이 논란거리가 되었던 상황, 트렌토 공의회에서 결정된 미사용 전례 텍스트에 불가타 성경 구절이 체계적으로 배치된 점, 마지막으로 피정이라는 종교적 수련에서 사용되는 묵상 텍스트가 불가타 성경을 중심으로 편성된 것 등은 유럽 천주교를 넘어 중국과 같은 선교지역의 천주교회에 그대로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It seems to be quite an ambitious endeavor to trace back the translation history of Catholic Vulgate Bible from Latin language to Asian languages since 16th century. I try to bring out the translation(translative) procedure of Latin Bible to the Chinese Version, which is eventually come up (and the latter)to the Korean Version. It has been supported and fund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is task has a three-year plan. For the first step(operation), I examined and searched the European situation of the Vulgate Bible in the Catholic Church, i.e. the ritual use of Vulgate Bible in the Mass and the religious retreat. The liturgical texts, to begin with, were analysed to disclose how the Vulgate Bible was reflected in them. The Lectionary and the Evangeliary were the typical ones. The structure or the formation system of the Lectionaries for Mass was based on the liturgical year cycle. From this point, the Vulgate Bible was rooted in the religious life of European Catholics after the Council of Trent which had proclaimed the Vulgate to be authentic source of the Revelation, therefore, to be respected as the only authoritative Bible. How did the Catholic Church use the Vulgate Bible out of the context and the boundary (sphere) of liturgy? The Meditation guide books for the purpose of instructing the religious retreat was published and (diffused) circulated among the priests, the religious persons and even the laymen. In those books also were included (found) the citation, the interpretation and the commentaries of the Vulgate Bible. The most of the devotees in Europe read the biblical phrases out of the meditation guide books. There are still remained the unsolved problems of how to understand (for understanding) the actual aspect of the Vulgate Bible in the European Catholic Church. All the Biblical verses were translated into French and included in the meditation guide books published in France. What did the Holy See think the French translation of the Vulgate Bible? Unfortunately, there were not found the Vatican Decrees about the European translation of the Vulgate Bib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ulgate Bible and the Meditation guide (Those) will be much important for the study of Chinese translation of it. The search for the Decrees and the researches on it and the European and the non-European translations of the Vulgate Bible will be a continuous task for me as well as the other researchers on these subjects in the future.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