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itual Food of Gut as an Explanation System of krean Shamanism

굿 의례음식: 무속 설명체계의 하나

  • Published : 2017.09.30

Abstract

The ritual food is one of the indispensable elements in rituals of Korean folk beliefs. This is ascertained by the fact that a very simple ritual cannot be practiced and performed even without offering a bowl of water. In this regard, it is properly claimed that food is an essential medium of communications between man and gods if they spiritually meet and communicate each other by way of various rituals in Korean folk beliefs. It is possible to point out Gut, the typical ritual of Korean Shamanism as an example of serving the ritual foods among Korean folk beliefs. One of the striking phenomena in Gut(Korean Shamanism's rituals) is various ritual foods on the tables for Gut. There is no Gut performances without offering ritual foods, and the ritual food in Gut practices is more than just food offering to the gods. Moreover the ritual food tells that what kind of Gut it is and for what purpose it is performed, for whom it is set up. And even the invited gods of Musok are disclosed according to the ritual food in Gut. Also some parts of Musok's worldview are appeared and actualized through the ritual food in Gut. In this sense the ritual food in Gut is one of the important channels for understanding Gut and Musok, and one of the explanation systems about Musok. Even if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ritual food in Gut, it still has not been draw proper attentions to deserving its importance in the researches on Musok and Gut. Upon the critical reviews on such tendencies of the previous studies this paper trie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s of the ritual food in Gut by examining the Jinjuk Gut in Seoul area as an case study. On the basis of this examination, the ritual food in Gut comes up to be one of the important paths to understanding Gut and Musok as an explanatory system on Musok in general.

한국 민간신앙 의례에서 의례음식은 빠트릴 수 없는 필수 요소의 하나이다. 이는아주 간단한 치성도 맑은 물 한 사발이라도 올려야 가능한 것을 통해서 확인된다. 이런점에서 민간신앙 의례를 신과 인간이 만나 소통하는 것이라 할 때, 음식은 신과 인간이소통하는 핵심적 매체 가운데 하나라고 말할 수 있다. 한국 민간신앙에서 의례음식이 가장 두드러진 사례로 무속의 대표적 의례인 굿을 들 수 있다. 무속의 굿에서 두드러진 현상 가운데 하나가 여러 제상에 차린 다양한 음식이다. 그리고 의례음식이 없는 굿은 성립되지 않는다. 또한 굿에서 의례음식은 신을 위한 단순한 제물에 그치지 않는다. 그것은 신을 위한 제물이면서, 아울러 굿의 성격, 무속의 신, 굿을 하는 제가집 등 굿 전반에 대한 포괄적 정보를 함축하고 있는 기호이기도 하다. 또한 굿 의례음식을 통해 무속 세계관이 구체화되기도 한다. 이런 점에서 굿 의례음식은 무속과 굿을 이해하는 중요한 통로이며, 무속에 대한 설명체계의 하나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런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기존 무속 연구에서 의례음식은 그에 걸맞는 충분한 관심을 받지 못했다. 무당 중심적인 관점에서 굿에서 나타나는 무당의 말과 행위를 통해굿과 무속을 이해하려는 연구가 지속되었을 뿐, 의례음식을 통해 굿과 무속을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는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기존 무속연구에 대한 이러한 비판적 문제의식 하에 이 글은 서울 진적굿 의례음식을 자료로 굿 의례음식의 특징과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서울 진적굿을 자료로 선택한것은 굿 의례음식의 특징 가운데 하나인 굿 의례음식과 의례 공간의 상관성을 확인할 수있는 적절한 자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 글은 먼저 서울 진적굿의 과정을 제상과 제상이 놓인 공간을 중심으로 간략히 살펴보았다. 그리고 굿 의례음식의 구성, 의례음식이차려지는 방식과 공간을 중심으로 개별성이 굿 의례음식의 특징임을 지적하였다. 이를 토대로 굿 의례음식이 무속에 대한 하나의 설명체계로서, 굿과 무속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로가 된다는 점을 밝혔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안동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