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Priority Analysis of Improvements for Success Factors in Steps of Formation Process of Cooperation Network

산학협력 네트워크 형성 과정의 단계별 성공 요인에 대한 실행 개선 요구 분석 연구

  • Received : 2016.09.11
  • Accepted : 2017.02.28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analys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success factors in steps of Formation process Of Cooperation NetWork(FoCNW)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businesses, and 2) to draw the success factors that need improvement. To achieve these purposes a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 group of 1,098 (professors, teachers and workers in charge of cooperation at universities, technical colleges, vocational high schools and businesses which are equipped with a cooperation system), and 339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while cooperation workers showed high recognition on the importance of success factors in steps of FoCNW, their performance of those factors was relatively low. Secondly, both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uccess factors in steps of FoCNW was higher in educational institutions than in businesses. Thirdly, the success factors in need of improvements from both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businesses are 'collecting outer information and consulting' and 'publicizing cooperation competency', 'setting cooperative activities (programs) and contents of agreements', 'managing cooperation quality formally', 'drawing plans for sustainable cooperation improvement' and 'diffusing cooperation network'. The success factors in need of improvements from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perceiving necessity of and forming consensus on cooperation' and 'deciding and supporting the worker in charge of cooperation', and 'participating and sharing of organization members'. The success factors in need of improvements from businesses are 'deciding goals and performance strategies', 'developing mutual understanding and checking possibility of cooperation with potential partners', and 'evaluating cooperation activities and their outcomes and providing feedback' and 'adjusting contents of agreements and deciding whether to maintain cooperation'. Therefore, efforts from each partner to improve those factors and support from related organizations are necessary.

이 연구의 목적은 산학협력 네트워크 형성 과정의 단계별 성공 요인의 중요도와 실행 정도를 분석하여 실행 개선이 요구되는 성공 요인의 우선순위를 도출함으로써 교육기관과 산업체가 산학협력 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형성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 고교와 산업체의 산학협력 담당자 1,09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339부(30.9%)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학협력 담당자들은 산학협력 네트워크 형성 과정의 단계별 성공 요인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데 반해 성공 요인의 실행 정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둘째, 교육기관이 산업체보다 대체로 성공 요인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교육기관이 산업체보다 대체로 성공요인을 잘 실행하고 있는 편이다. 셋째, 교육기관과 산업체 모두에 실행 개선이 요구되는 성공 요인은 인식 및 준비 단계의 '외부 정보 수집 및 자문'과 '산학협력 역량 홍보', 구축 단계의 '협력 활동(프로그램) 및 협약 내용 설정', 운영 및 조정 단계의 '공식적인 산학협력 질 관리', 강화 및 확산 단계의 '지속가능한 산학협력 개선 방안 도출'과 '산학협력 네트워크 확산'이다. 교육기관에 실행 개선이 요구되는 성공 요인은 인식 및 준비 단계의 '산학협력 필요성 인식 및 공감대 형성'과 '산학협력 담당자 선정 및 지원', 구축 단계의 '조직 구성원의 참여 및 공유'이다. 산업체에 실행 개선이 요구되는 성공 요인은 인식 및 준비 단계의 '목표 및 실행 전략 설정', 동기화 단계의 '잠재적 협력 주체와의 상호 이해 및 협력 가능성 검토', 운영 및 조정 단계의 '산학협력 활동 성과 평가 및 피드백'과 '협약 내용 조정 및 협력 유지 여부 결정'이다. 따라서 이들 요인에 대한 주체별 개선의 노력과 유관기관의 지원이 요구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