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대 멜로드라마의 모더니즘적 특성 연구

The Study on the modernism characteristics of melodrama in the 1930s

  • 투고 : 2017.06.28
  • 심사 : 2017.08.05
  • 발행 : 2017.08.30

초록

본고에서는 근대로의 지향의식이 넘쳐났던 30년대에 대중적 인기가 높았던 멜로드라마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를 중심으로 이 작품에 나타난 모더니즘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30년대 모더니즘과 희곡을 연결지어 고찰한 예는 지금까지 없었다. 당시의 대표적 희곡인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에 모더니즘 특성이 선명하게 내재되어 있다.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 제목에서 '돈'은 모던한 요소를 드러낸다. '사랑'은 멜로드라마적 요소를 드러낸 것으로 볼 수 있다. 모던한 요소를 드러내는 배경인 근대 문물의 과시는 작품 전반에 퍼져 있고, 홍도는 광호와의 부부관계 뿐만 아니라 시댁과의 인간관계를 완성하는데 실패한다. 물질에 지배당하는 모습을 보여 줌으로써 모더니즘적 현상에 수긍하는 인물이 되었다. 근대 이전의 서사작품에서의 대표적인 갈등구성방식은 수평적이고 순차적이어서 기차역 형태였다고 할 수 있는 반면, 근대 이후의 즉 30년대부터의 서사 갈등구성 방식은 여러 개의 갈등을 동시적으로 형성하여 마치 거미줄 모양이라고 할 수 있다.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 갈등구성이 다축의 다층으로 되어 있고 다양한 사건의 연쇄로 거미줄 모양의 방식을 취해 모더니즘적 형식을 취했다.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에는 가치관의 변화를 주도하는 새로운 내용을 시도하여 도시적이고 서구적인 가치들이 이미 만연한 현실을 바라보는 일반인들의 두려움이 다시 내적 갈등으로 전이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In this thesis,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ism in this work, focusing on the melodrama "Sarang ye soggo donye wulgo(means 'Crying in Love and Crying for Money')", which was popular in the 30s when the consciousness of modernity was overflowing. There has never been an example of a connection between modernism and drama in the 1930s. The characteristic of modernism is clearly embedded in the representative drama of "Sarang ye soggo donye wulgo(means 'Crying in Love and Crying for Money')" at that time. In the title "Sarang ye soggo donye wulgo(means 'Crying in Love and Crying for Money')". 'Don' reveals modern elements. 'Love' can be seen as revealing melodramatic elements. The flair of modern art, which is a background to reveal modern elements, is spread throughout the works. Hongdo fails to complete the relationship with his family, as well as with the couple. It became a person who accepted the modernistic phenomenon by showing the domination of matter. While the typical method of constructing conflicts in the pre-modern narrative works is horizontal and sequential, it can be said that it was in the form of a train station, while the post-modern era of narrative conflict formation from the 30s forms a plurality of conflicts simultaneously, can do. The fear of the ordinary people who see the reality that urban and western values are already rampant by attempting new contents that lead the change of values in "Sarang ye soggo donye wulgo(means 'Crying in Love and Crying for Money')" became a factor to transfer into internal conflict again.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부산교육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