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Global outsourcing on the Environment

글로벌 아웃소싱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분석

  • Received : 2017.11.06
  • Accepted : 2017.12.26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As Global value chain(GVC) is deepening, the importance of intermediated good trade is growing in international trade issues. Such facts lead to much discussions about the relation between Global Outsourcing and pollution.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Global outsourcing on Environment using the data including 21 industries for 2004-14. $CO_2$ intensity is used as a proxy for the environment variable and to measure Global outsourcing and I employed the method suggested by Feenstra and Hanson(1999), Amiti and Wei(2006). To examine the effect Global outsourcing on the Environment more precisely, this paper controlled the factors that can affect the environment level on the basis of the theory suggested by Copeland and Taylor(1994). In the methodology, System GMM is employed to solve endogenous problem. The results show that for overall industries, Global outsourcing effect cannot be identified and for polluting industries, the result is identical. However, Global outsourcing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pollution level for China and developing countries. In other words, as Global outsourcing is increasing, the national pollution level is decreasing.

국제가치사슬(Global value chain, GVC)구조가 심화되면서 중간재 무역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글로벌 아웃소싱의 확대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많은 논의들이 최근까지 이어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2004년부터 2014년까지 10개년 간 21개 제조업 부문을 대상으로 글로벌 아웃소싱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환경변수는 업종별 이산화탄소집약도를 사용하였고 글로벌 아웃소싱은 Feenstra and Hanson(1999)과 Amiti and Wei(2006)가 제안한 글로벌 아웃소싱 계측방법을 사용하였다. 글로벌 아웃소싱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환경변화를 결정하는 요인들을 Copeland and Taylor(1994)의 이론을 기반으로 통제하였고 내생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스템 GMM 방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전체산업을 대상으로 분석했을 때 글로벌 아웃소싱의 확대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식별할 수 없었다. 오염집약산업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중국과 아시아 개도국의 아웃소싱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글로벌 아웃소싱의 확대가 국내 오염수준 저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