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pillover Effect of FDI on GDP -Analysis on Myanmar using GARCH and VAR-

외국인 직접투자의 국민소득에 대한 전이효과 -GARCH와 VAR를 이용한 분석-

  • Received : 2017.11.08
  • Accepted : 2017.12.25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FDI can either be absorbed in the production cycle with domestic investment and create an inducement effect or it can remain as an exogenous factor and increase the volatility of GDP.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se different impacts that FDI could have. For that, the endogenous growth theory was employed. The statistic method used are the panel model for sectoral analysis, and GARCH model and VAR for time series analysis. Myanmar was selected as this paper's research subject because it is one of countries which had a colossal amount of FDI inflow recently. The panel analysis did not confirm the causality between sectoral FDI and sectoral GDP. The reason for this could be in the lack of data, since sectoral data exists yearly only during 2006-2016.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the times series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during 2006 until 2010, it showed signs of GARCH but the effect of FDI on GDP was nonexistent, which means FDI was not integrated into the domestic production cycle but stayed in residual terms. During 2011 to 2016, FDI seemed to affect the growth of Myanmar's GDP. The estimation confirmed the existence of GARCH and the Granzer causality test confirmed that FDI influenced the GARCH, which signified FDI increased the volatility of GDP. The VAR analysis showed responses of GDP to FDI was small(about 0.0007). This research assumes that FDI can be divided in two parts: one part which can be assimilated in the domestic production cycle and the other where it stays outside of the production cycle. The former creates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and the latter only increases the volatility of GDP. According to this study, the latter outweighs the former impact in Myanmar.

외국인 직접투자는 국내투자와 함께 생산과정에 흡수되어 생산유발효과를 창출할 수도 있고, 아니면 외부요인으로 존재하면서 GDP의 변동성을 키우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외국인 투자의 상이한 역할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경제이론으로는 내생적 성장론을 사용하였고, 통계분석방법으로는 GARCH와 VAR모형을 이용하였다. 실증연구 대상으로는 미얀마를 선택하였는데, 미얀마는 장기간 군사정부 상태로 있었고 2011년 4월 민선정부가 출범하였다. 군사독재정부시절에는 외국인 직접투자는 주로 석유 가스와 전력산업에 투입되었고, 2011년 문민정부로 전환됨과 동시에 서방의 경제제재가 완화되면서 외국인 직접투자가 동남아에서 가장 활발한 국가이다. 한국도 이에 동참하고 있어 미얀마 국가의 경제발전과 한국과 미얀마의 경제적 상호관계의 발전을 위하여 본 연구가 필요하다. 산업별 패널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미얀마에서 외국인 투자가 주로 이루어진 산업은 석유 가스 부분인데, 산업유발효과보다는 수입을 위한 달러조달의 의미가 크다. 생산유발효과가 높은 제조업에는 외국인 직접투자는 낮은 수준이고 생산량 변화와의 관계를 찾을 수가 없었다. 시계열 분석은 결과는 민선정부 출범이전 기간(2006.01~2011.12)에서는 GARCH의 존재가 확인되지만 외국인 직접투자가 미얀마 국내총생산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민선정부 출범이후 기간(2011.04~2015.12)에서는 외국인 직접투자가 미얀마 국내총생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GARCH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외국인 직접투자가 국내총생산에 기여하는 정도는 상당히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랜저 인과관계 검증을 통하여 GARCH에 외국인 직접투자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되었는데, 이는 외국인 직접투자가 국내총생산의 변동성을 키운 것을 의미한다. VAR에 의하여도 외국인 직접투자가 국내 총생산에 영향을 주지만 그 영향은 적고 기간도 길지 않았다. 본 연구에 의하여 외국인 직접투자는 국내총생산에 내부화되는 부분과 잔차항의 변화를 증대시키는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는 사고가 검증되었고, 미얀마의 경우는 후자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