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carf Design Using Eco Printing -Focused on the Researcher's Works-

에코 프린팅(Eco Printing)을 활용한 스카프디자인 연구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 정인숙 (국립한경대학교 의류산업학과) ;
  • 강기용 (국립한경대학교 의류산업학과)
  • Received : 2017.07.12
  • Accepted : 2017.11.16
  • Published : 2017.11.28

Abstract

This paper aimed to find out the eco-friendly approach enabling to directly print patterns and dye colors on fabrics using leaves of plants. In the research process, I found out the 'eco-printing' which could effectively express unique colors and patterns of plants. While eco-printing can design the patterns and colors of plants in nature using the leaves of plant(Eucalyptus),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because it is not systematically and academically investigated including the dictionary definition in Korea until now. Thus, I tried to define the eco-printing and natural dyeing using leaves or flowers of plants enabling to get natural patterns and colors and do the experimental research and production using the leaves of Eucalyptus. The leaves of Eucalyptus were arranged on a wool scarf and a silk scarf, tied and applied pressure to them and made pigments penetrate into fabrics by heating or steaming them. This approach is to directly print the patterns using the shapes of plants on fabrics unlike the existing approaches dyeing by extracting dyeing solution from natural materials. Furthermore, the change of colors was attempted by using the color fixers.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al research, the scarf design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products could be acquired. It was identified that eco-printing could induce the color variables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each material and environment. For improving the color variables, various kinds of fabrics and divers kinds of materials which can be easily acquired in a daily life will be investigated and compared.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experimental research and production techniques on eco-printing be utilized when starting natural dyeing and the scope of natural dyeing be more expanded.

본 연구는 식물의 잎을 이용하여 색과 문양을 천에 직접 프린트 염색할 수 있는 친환경적 방법을 찾고자 출발 하였다. 그러던 중 식물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색과 문양을 천에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에코 프린팅"이란 것을 알게 되었다. 에코 프린팅은 식물의 잎(유칼립투스)을 활용하여 자연에서 식물의 문양과 색을 디자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아직까지 국내에 사전적 정의를 비롯하여 학문적으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입문하기가 어렵다. 이에 본 연구자는 자연적인 형태와 색을 얻을 수 있는 식물의 잎이나 꽃을 이용한 천연염색과 에코 프린팅을 정의하고, 유칼립투스의 잎을 사용하여 실험연구 제작에 임하였다. 울 또는 실크로 구성된 각각의 스카프에 유칼립투스 잎을 배열하고 압력을 가하여 묶어 열탕 또는 증열처리를 하여 색소가 천에 스며들게 하여 염색 제작하였다. 이 방법은 천연재료에서 염액을 추출하여 염색하는 기존의 방법과 달리 한 단계 나아가 식물의 형태를 천에 직접 문양으로 찍어내는 방식이다. 또한 매염제를 사용하여 색상의 변화를 도모 하였으며, 이러한 실험연구의 결과 기존 제품과는 차별화 할 수 있는 스카프디자인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에코 프린팅은 각 재료가 갖는 조건과 환경 등에 따라 색상의 변수가 발생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앞으로 여러 종류의 천과 일상생활에 손쉽게 구할 수 있는 다양한 재료로 연구 비교 할 것이다. 나아가 본 연구의 에코 프린팅에 대한 실험연구와 제작기법이 천연염색에 입문하는데 활용되어 천연염색의 외연(外延)이 보다 확장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종남, 우리가 정말 알아야할 천연염색, 현암사, p.16, 2004.
  2. India Fint, Eco colour:botanical dyes for beautiful textiles, Interweave, pp.120-130, 2008.
  3. Gravity Wiki, 2017.5.25.
  4. 김경구, 꽃의 형상화에 의하 스카프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5. 김소민, 유칼립투스를 모티브로한 도자화기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3, 2015.
  6. 허브도감, 교학사, 2006.1.5.
  7. 조경래, 천염염료.염색사전, 아취헌, p.404, 2009.
  8. India Fint, Eco colour, Murdoch book, p.124, 2008.
  9. 사이언스올과학백과, 한국과학창의재단, http//www.scienceall.com, 2017.6.9.
  10. 전동림, 섬유염색, 색깔사랑, p.55, 1999.
  11. 철학사전, 중원문화, 2009.
  12. 두산백과, 동아출판사, 2017.6.5.
  13. 허북구, 김선호, 김윤희, 박윤점, 임명희, 장흥기, 신비한 꽃염색 천연염색 쉽게 배우기, 중앙생활사, p.22, 2007.
  14. India Fint, Eco colur:botanical dyes for beautiful textiles, Interweave, p.100, 2008.
  15. 조경래, 천염염료.염색사전, 아취헌, p.61, 2009.
  16. 패션 전문자료사전, 민중서관, 1997.8.25.
  17. 두산백과, 화학대사전, 위키백과, 2017.6.18.
  18. http//:blog.naver.com/do11938
  19. 박영선, "천연염색을 이용한 제품 디자인 개발," 복식문화연구, 제21권, 제3호, pp.394-400, 2013.
  20. 허북구, 김선호, 김윤희, 박윤점, 임명희, 장흥기, 신비한 꽃염색 천연염색 쉽게 배우기, 중앙생활사, p.55, 2007.
  21. "데칼코마니와 마블링," EBS동영상, 2011.1.14.
  22. 허북구, 김선호, 김윤희, 박윤점, 임명희, 장흥기, 신비한 꽃염색 천연염색 쉽게 배우기, 중앙생활사, p.98,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