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odern Poetry and Metonymy

현대시와 환유

  • Published : 20170000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the potential of metonymy in modern poetryarising from the principles of its generation. Metonymy hasconventionally been employed as a rhetorical means of appealing to thelistener (in combination with the communal imaginative power unleashedby synecdoche), and is characterized by its instigative and conventionalnature as well as listener-orientedness. However, this definition ofmetonymy suggests that metonymic poetry is an aesthetically inferiorgenre that is banal and clichéd.Metonymy is based on the possibilities of analogy created by theintertwining of metaphor and synecdoche, and is thus produced as aby-product of analogy wherever a system of analogy is in operation.Such a system of analogy is built on the linguistic, cultural andimaginative horizons of a given era. With changing circumstances,systems of metaphor and synecdoche are transformed commensurately,causing their related metonymies to metamorphose into generative figuresof speech. From this perspective, metonymy is not the result ofconventional practices or a corrupted analogical system, but is insteadthe repository of meaning that contributes to the language of a certainage or society(by nourishing itself on the system of analogy which helpsdefine the parameter of that language). The breadth and depth ofanalogical usage has seen significant changes in the 2000s, and this hasgiven birth to metonymic poetry that cannot be reduced simply tometonymy's instigative, conventional and, listener-oriented characteristics By highlighting the meaning behind metonymy, this study seeks toexpand the horizon of metonymic poetry and to encourage are-assessment of relation of the metaphor system.

이 논문은 환유가 생성되는 원리에 맞추어, 현대시에서 환유의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탐색하려는 의도에서 작성되었다. 그동안 환유에 적극적인 의미를 부여한 여러 논의가 있었으나, 환유 자체의 개념과 영역에서 벗어나서 현대시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었다. 우리 시사에서 환유는 (제유의 공동체적 상상력과 결합하여) 청자에게 직정적으로 호소하는 수사법으로 활용되었으며, 선동성과 관습성, 청자지향성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렇게만 환유를 정의하면, 환유시는 상투적이고 관습적인 시라는 미학적 열등품의 혐의를 벗을 수가 없게 된다. 환유는 은유와 제유가 얽혀서 만들어내는 유비의 지평을 전제로 하며, 따라서 유비 체계가 작동하는 곳에서는 환유가 유비의 부산물로 끊임없이 생겨난다. 한 시대의 언어적, 문화적, 상상적 지평이 유비의 체계이기 때문이다.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은유와 제유로 이루어진 체계도 변화하며, 그에 연동된 환유 역시 생성적인 비유로 개신(改新)될 수 있다. 이렇게 본다면 환유는 상투성의 결과이거나 타락한 비유가 아니라, 한 시대나 사회의 언어를 (그 언어가 기반하는 유비 체계 자체를 겨냥함으로써) 새롭게 만드는 의미 생산의 전진기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시사에서는 2000년대 들어서 유비의 지평 전체가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재래의 선동적, 청자지향적 성격을 넘어선 새로운 환유시가 산출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환유에 대한 적극적인 의미부여를 통해 환유시의 지평이 확장되고, 비유 일반의 관계가 재검토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