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Analysis of the Building Landscape Elements for Coastal Landscape Management - Focused on Buildings along the Coastal Road in Aeowal, Jeju -

해안경관 관리를 위한 건축물 경관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 제주시 애월 해안도로변 건축물을 중심으로 -

  • 박혜정 (제주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박철민 (제주대학교 건축학부)
  • Received : 2017.10.10
  • Accepted : 2017.11.20
  • Published : 2017.11.25

Abstract

In order to preserve beautiful coastal areas landscapes of Jeju Island's the landscape resourc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s dedicated to protecting the landscape through legal regulations and deliberations. However, the Coastal Landscape of Jeju Island was continuously damaged by due to increased tourist and high development pressure. Based on buildings along the Coastal Road in Aeowal of Jeju Island, this study focused on Management Status of Coastal Areas Landscapes through the Analysis of Building Landscape Elements. As a result, 1) It was effective to limit the use and scale of buildings through legal regulations such as Use zoning. 2)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physical landscape elements of buildings showed some of the them have the damage values despite passing the review of Architecture Committee. Therefore Landscape Policies required institutional maintenance. 3) As physical landscape Elements of buildings is a minimum quantitation criterion of not less than 1.5 for D/H, or less than a factor of $27^{\circ}$ for angle of elevation and not less than 7.8m for elevation blockage ratio was presented as a criterion for preventing damage to the minimum Coastal Landscape.

Keywords

References

  1. 임승빈, 도시경관계획론, 집문당, 2008.
  2. 경기개발연구원, 경기도 강변지역 경관관리방안, 경기개발연구원, 2001
  3. 국토교통부, 동서남해안의 체계적인 경관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 국토교통부, 2011
  4. 서울연구원, 한강인접지역 경관관리 방안 연구, 서울연구원, 1994
  5. 제주도,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제주도, 2003
  6. 노영란.박성진.이처웅, 해안경관계획을 위한 물리적 구성요소 개선순위 선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논문집, 제10권4호, 2008
  7. 박근동 외 3인, 경관유형별 경관요소 중요도 및 상관성 연구, 국토계획, 제47권 제7호, 2012
  8. 윤상원.안동만, 해안인접 건축물 높이와 입면차폐도 허용범위 연구, 한국경관학회지, 제3권 2호, 2011
  9. 윤상호, 해안지역의 경관관리방안 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보, 제20집 제3호, 2007
  10. 이한석.이명권, 부산의 해안경관계획을 위한 경관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15권6호, 1999
  11. 이은정, 해안경관보전을 위한 시각적 차폐도 분석에 관한연구, 서울대학교, 2001
  12. 표선영.김병석.박진아, 상업가로 가로환경요소에 대한 인지 및 D:H 비율이 가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6권 제2호, 2015
  13. 제주특별자치도 도시계획조례(개정 2017.3.29)
  14. 제주특별자치도 보전지역 관리에 관한 조례(일부개정 2016.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