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총의치 환자의 심미회복

  • Kim, Sungjin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
  • Kang, Namgil (Dental laborator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 김성진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보철과) ;
  • 강남길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중앙기공실)
  • Received : 2017.03.15
  • Accepted : 2017.06.01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repositioning the old hader bar attachment and to restore the non-esthetic facial profile and improper occlusion of the edentulous patient due to inadequate jaw relation, determination of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and tooth arrangement were performed similar to the natural teeth before the teeth loss. In addition to improving the esthetics by restoring the inadequate facial appearance, the composite resin was used to maximize the patient's secondary esthetic satisfaction with the denture.

임기존 hader bar의 재위치 문제를 해결하고 무치악 환자에서 부적합한 악간관계 채득으로 인한 비심미적인 안모와 부적절한 교합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치아 상실 전의 자연치의 위치와 비슷한 위치로 교합고경 설정과 치아 배열을 수행했다. 부적합한 환자의 안모를 회복하여 심미적인 개선을 이루었고, 더불어 의치의 이차적인 심미에 대한 만족감을 최대한으로 높이기 위하여 컴포지트 레진을 사용하여 마무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정형, 정창모, 전영찬, 임장섭. 한국 성인 유치악자의 교합푱면 및 수직고경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005;43:41-51.
  2. 양동헌, 이지윤, 반재삼, 오계정, 박상원. 한국 유치악 성인의 상악 중절치 위치 및 견치간 거리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보철학회지 2013;51:147-152.
  3. 황두연, 양자호. 한국인의 상악중절치 위치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보철학회지 1985;23:85-97.
  4. 황두연, 양자호. 수직고경의 회복에 대한 문헌적 고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1997;35:21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