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argeted killing is a modern euphemism for the assassination of an individual by a state organization or institution outside a judicial procedure or a battlefield. Targeted killing using armed drones has raised profound anxieties in legal, policy, and advocacy communities in the United States and abroad, including among UN officials. The bottom line for targeted killing supporters is that targeted killing works as part of a larger counter-terrorism strategy. Targeted killing does what it is supposed to and removes the leader of a group. And despite growing legal, moral, and ethical issues concerning targeted killing, scholars agree that drone strikes and targeted killing operations will stay. The ACLU has sued top CIA and Pentagon decision-makers to seek accountability for the unlawful killings of three U.S. citizens in Yemen last year. Also, strikes by drones are associated with serious problems such as collateral damage to ordinary citizens and friendly fire. Targeted killings by drones also involves several issues to be resolved, including suspicions that they may run counter to domestic law prohibiting assassination, the opacity concerning their definitions and military actions, and the impact of whiplash transition. Finally, targeted killing program and the need for transparency. The assembly referring to resolution invites the committee of ministers to undertake a thorough study of the lawfulness of the use of combat drones for targeted killings and if need be develop guidelines for member states on targeted killings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ose carried out by combat drones. These guidelines should reflect the states duties under international humanitarian and human rights law in particular the standards laid down in the EC on human rights as interpreted by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우리나라에서 표적살인(Targeted Killing)은 많이 논의되지 않았지만 군사과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대(代)테러전쟁에서 핵심전략으로 떠올랐다. 표적살인 전략의 핵심요소인 무인항공기(UAV)는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은 채 원격조종으로 특정목표를 미사일로 공격할 수 있다. 이 전략은 국방예산의 절감하는 방안이면서 총력전에서 적의 수장을 제거하여 심리전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도 한반도의 평화를 지키기 위한 전략으로서 도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무인항공기를 사용한 표적살인 전략은 전쟁행위인지 아니면 살인행위인지에 대한 크나큰 논란이 있다. 공격 대상인 테러리스트 등은 자신들이 공격대상이라는 사실을 알지도 못한 채 죽임을 당하기 때문에 미국 시민단체 등을 중심으로 생명의 윤리성에 대하여 문제의 제기를 하고 있다. 또한 미사일 공격으로 무고한 시민이 사망할 수 있다는 것과 자국군에 대한 오발을 행할 수도 있다는 점, 조종사가 심리적으로 겪을 수 있는 전투 스트레스 등이 주요 문제이다. 그래서 이러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투명성과 정당성의 확보가 필요하다. 나아가 무인항공기 표적살인 가이드라인을 제정하여 전략의 엄중한 실행과 남용을 막고 국민의 신뢰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가이드라인에서는 미국과 같이 대통령이 단독으로 전략의 실행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국회의 동의를 받아 실행하게 된다면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