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erception and Emotional Experiences of Rare and Intractable Diseases in Caregivers and Pediatric Patients with Mitochondrial diseases

미토콘드리아 질환 소아 환자 보호자에서의 질환 인식 및 정서변화

  • Eom, Soyong (Epilepsy Research Institut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Joo Young (Epilepsy Research Institut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yun, Jiah (Graduate School for Professional Therapeutic Technology, Seoul Women's University) ;
  • Lee, Young-Mock (Department of Pediatrics, Gangnam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엄소용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뇌전증연구소) ;
  • 이주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뇌전증연구소) ;
  • 현지아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아동치료학과) ;
  • 이영목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세브란스 소아청소년과)
  • Published : 2017.04.30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emotional experiences in rare and intractable diseases for caregivers of pediatric patients with mitochondrial diseases in order to provide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patients, caregivers, and families. Methods: A total of 83 caregivers of pediatric patients with mitochondrial diseases were recruited from the pediatric mitochondrial disease clinics of the Gangnam Severance Hospital in South Korea. Participants completed the survey about their perception of mitochondrial disease and emotional experiences after the diagnosis, and these clinical data were analyzed accordingly. Results: Surveys from a total of 83 caregivers of patients were analyzed, and the patients' age ranged from 6 to 12 years (33%), followed by ages 1 to 6 years (30%). Children with mitochondrial diseases were between 0 and 0.5 years of age at the time of first symptom onset (43%), and the duration of illness lasted more than 10 years in most cases (42%). Prior to diagnosis of mitochondrial diseases, the amount of awareness the caregivers had was 'Not at all' for both rare and intractable diseases and mitochondrial diseases in 44 cases and 68 cases, respectively. For the caregivers' emotional experiences, the most common initial responses were 'Discouraged/despair', 'Helpless/lethargic', and 'Disconcerted'. 'Anxious', 'Committed to treatment', and 'Responsibility as family members' were the most common emotional responses from the caregivers, followed by 'Disconcerted' and 'Helpless/lethargic'.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level of perception and emotional experiences of caregivers and patients with rare and intractable mitochondrial diseases for planning treatment programs.

목적: 소아기에 경험되는 미토콘드리아 질환은 희귀난치성 질환으로, 확진까지의 과정에서뿐 아니라 진단 및 진단 이후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질병을 경험하는 환자와 보호자에게 모두 신체적 및 정신적인 어려움을 동반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미토콘드리아 질환 소아환자의 보호자의 질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확진이후 경험하게 되는 감정들에 대한 이해를 통해, 미토콘드리아 질환 환자와 보호자, 그 가족들에 대한 치료적 개입의 방향에 도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세의대 강남세브란스병원 소아청소년과 미토콘드리아 질환 클리닉에 내원한 83명 소아 환자의 보호자들에 대해서, 미토콘드리아 질환에 대한 인식 및 진단 이후 경험하게 되는 정서 관련 개발된 설문 조사를 시행하여 분석하였다. 환자들에 대한 미토콘드리아 질환 관련 임상 자료가 조사되었으며, 이와 관련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결과: 총 83명의 환자들 보호자에 대한 설문 결과가 분석되었으며(남아 53명, 64%), 환자의 연령대는 6-12세가 27명(33%), 1-6세가 25명(30%) 순서였다. 미토콘드리아질환 관련 첫번째 증상 발병 연령은 0-0.5세가 전체의 43%(36명)를 차지하였고, 질병의 유병기간은 10년 이상으로 지속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35명, 42%). 자녀가 미토콘드리아 질환으로 확진을 받기 이전에, 희귀난치성 질환에 대한 보호자의 인식정도는 '전혀 알지 못한다'가 총 83명중 44명으로 제일 높았고, 미토콘드리아 질환에 대한 보호자의 인식 정도도 '전혀 알지 못한다'가 총 83명중 68명으로 높았다. 자녀가 미토콘드리아 질환으로 확진을 받는 과정에서는 미토콘드리아 질환에 대한 보호자의 인식은 '별로알지 못한다,' '조금 안다'가 모두 높게 나타나, 확진을 받기 이전에 비해 질환에 대한 인식 정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미토콘드리아 질환 소아 환자의 보호자가 지각하는, 미토콘드리아 질환에 대한 가족들의 '인식' 정도는 대체적으로 평균 수준으로 나타난 반면, 보호자가 지각하는, 미토콘드리아 질환에 대한 가족 이외 주변 사람들의 '인식' 정도는 '전혀 알지 못한다'가 43명으로 가장 높게 선택되었다. 이와 더불어, 보호자의 인식 정도와 가족 이외 주변 사람들의 인식 정도는 대부분이 '별로 일치하지 않는다'로 보고되고 있어, 대부분의 인식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보고되었다. 보호자의 자녀가 미토콘드리아 질환으로 확진 받았을 당시, 보호자가 가장 먼저 경험한 생각이나 감정으로 좌절/절망감, 막막함/무기력감, 당황스러움 등이 높게 보고되었다. 미토콘드리아 질환 진단 및 치료 과정에서 보호자의 감정으로 불안감, 치료 과정에 대한 의지,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책임감이 가장 빈번하고 강하게 경험되었던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당황스러움과 막막함/무기력감이 보고되었다. 한편, 미토콘드리아 질환 진단 및 치료 과정에서 환자가 경험한 감정으로는 불안감이 가장 높게 보고되었으며, 치료 과정에 대한 의지, 당황스러움, 부정적인 스트레스가 보고되었다. 결론: 희귀난치성 질환인 미토콘드리아 질환은 질환에 대한 경험 이전에 보호자 및 가족들의 인식이 충분하지 못하고, 특히 가족 이외의 주변 사람들의 인식은 질환에 대한 확진 이후에도 별로 변화되지 못하여, 환자와 가족이 경험하는 정서적인 소외감이나 어려움이 높을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와 관련하여, 질환에 대한 확진 이후 환자와 보호자가 경험하게 되는 부정적인 감정들은, 질병 자체에서 비롯되는 어려움과 더불어 질병에 대한 치료적 개입 제공에 어려운 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이해와 치료적 계획의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시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HIRA trend of policy.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support and management of rare an intractable diseases 2009;3:11-18.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
  2. Choi IH, Shin HK. The factors affecting family adaptation in families of patients with rare diseases. Korean J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2015;58:55-81. https://doi.org/10.20971/kcpmd.2015.58.3.55
  3. Hwang JH. Molecular genetic study and phenotypic characteristics in families with mitochondrial disorders. Ph.D.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Korea 2008. Available from: http://m.riss.kr/.
  4. Shoffner JM, Bialer MG, Pavlakis SG, Lott M, Kaufman A, Dixon J, et al. Mitochondrial encephalomyopathy associated with a single nucleotide pair deletion in the mitochondrial tRNALeu(UUR) gene. Neurology 1995;45:286-92. https://doi.org/10.1212/WNL.45.2.286
  5.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Assessment of subsidy program for the patients with rare and incurable. Yim J; c2012-2013.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
  6. Kang MJ. Study about empowerment for rare disease patients' self-help group and their families.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010. Available from: http://m.riss.kr/.
  7. Park HS, Kim KB. The experience of parents of children with mucopolysaccharidosis. J of Qual Res 2013;6:1-12.
  8. Lee HH. A qualitative case study of the living experiences of the mother of a child with a rare disease. Ph.D.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2008. Available from: http://m.riss.kr/.
  9. Choi IH.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family adaptation for families of people with rare diseases: focusing on family burden, family resilience, and patient support group activities. Ph.D. Thesis, Dabkook University, Gyeonggi-do, Korea 2015. Available from: http://m.riss.kr/.
  10. Kim JY, Yun HJ.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perceived by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muscular dystrophy: a qualitative inquiry 2011;1:1-20.
  11.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A study on directions of fundholding for rare and intractable diseases. 2016.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
  12. Pangalila RF, van den Bos GA, Stam HJ, van Exel NJ, Brouwer WB, Roebroeck ME. Subjective caregiver burden of parents of adults with duchenne muscular dystrophy. Disabil Rehabil 2012;34:988-96. https://doi.org/10.3109/09638288.2011.628738
  13. Kim JH, Park KS, Kim KJ, Cho MH, Seo JY. Caregivers proxy-reporte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children with rare diseases: is it related to their caregiver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2013;17:15-26. https://doi.org/10.21896/jksmch.2013.17.1.15
  14. Bae KH, Chung YS.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quality of life for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 Special Education & Rehabil Sci 2008;47:115-37.
  15. Kim JS. A grounded theory approach to the experience of leaders in self-help group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cancer. Korean J of Social Welfare 2005;57:40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