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Japanese Measurement on Fine Particles(PM2.5) Emission Pollution and Cooperation of Korea -China-Japan to Reduce Fine Particles Pollution-

일본의 미세먼지 대책과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한중일 협력

  • 이수철 (일본 메이죠대학교 경제학부)
  • Received : 2017.02.03
  • Accepted : 2017.03.20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The Japanese government's attempts to reduce fine particles (PM2.5) emission pollution in Japan have been largely ineffective. This is because PM2.5 in Japan originated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around half from oversea countries such as China. This prompts the Japanese government to start a new initiative to reduce PM2.5 at its origin by transferring local knowledge on air pollution reduction measures and technologies to China and working closely with the Chinese government. To promote further reduction in PM2.5, bilateral corporation between Japan and China should be extended to include Korea. It is recommended that an international convention should be in place to deal with transboundary air pollutants in East Asia. A successful East Asia corporation to reduce PM2.5 will not only contribute to clean air but also to future sustainable low carbon society in this region.

미세먼지는 발생원이 매우 다양하며 발생 메카니즘이 복잡하여 아직 일본에서도 자동차 등 이동배출원을 제외하고는 미세먼지 발생량에대한 정확한 인벤토리의 정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서 효과적인 대책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정부기관과 연구자들이 국민건강 관리를 위한 매뉴얼 작성과 함께 국가적인 인벤토리 정비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미세먼지 대책을 보다 어렵게하는 것은 중국 등 국외로부터 날아오는 미세먼지 문제이다. 일본은 과거 고도성장기에 격심 했던 대기오염문제를 지방자치단체들이 지역특성에 맞는 고유의 정책설계 등으로 효과적으로 대응했던 경험이 있어서 이러한 경험을 중국의 자치 단체에 전수해 주는 중일 도시간 미세먼지 방지에관한 협력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기업들은 이와 관련한 설비기자재와 기술을 중국에 판매하는 등 비지니스 기회를 얻고 있다. 한중일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지역은 환경 및 에너지 측면에서 공동체적인 운명 하에 있다. 한중일 3국이 대기환경 및 기후변화문제 해결을 위한 법적효력이 있는 기구를 창설하여 정부간 정책협력과 도시간 및 기업간 교류가 크게 진전될 경우 미세먼지 문제 해결뿐만 아니라 향후 이 지역의 평화와 지역통합에도 기여할 것으로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KEI 보고서(공성용, 배현주, 윤대용, 홍석표, 박해용), "미세먼지의 건강영향평가 및 관리 정책연구 I", 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2.
  2. KEI 보고서(공성용, 배현주, 박해용, 홍석표), "미세먼지의 건강영향평가 및 관리정책연구 II", 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3.
  3. KEI 보고서(심창섭, 장임석, Naohiro Kitano), "동아시아 대도시 대기질개선을 위한 국제 공동 연구", 환경정책 평가연구원, 2015.
  4. 金谷有剛, "日本のPM2.5はどこからくるか-越境汚染の寄与をさぐる", 越境大気汚染へ挑戦 2013報告集, 2013.
  5. 菊地良栄, 菊池和也, 世良耕一郎, 小川信明, "韓国と日本の各都市における大気粒子状物質 (PM)中の 重金属元素の起源と輸送経路", NMCC共同利用研究成果報文集17, 2010, pp. 113-125.
  6. 高見昭憲, "PM2.5予測精度向上のためのモデル.発生源データの改良とエアロゾル揮発特性の評価", 環境省環境研究総合推進費プロジェクト2014-2016, 2014.
  7. https://www.env.go.jp/policy/kenkyu/suishin/kadai/new_project/pdf/5-1408.pdf
  8. https://www.env.go.jp/policy/kenkyu/suishin/kadai_hyouka/h27/pdf/5-1408.pdf
  9. 東京都微小粒子状物質検討会 シミュレーションワーキング報告書, "シミュレーションモデルによるPM2.5 環境濃度の予測",シミュレーション手法に関するワーキンググループ", 2010.
  10. 山神真紀子, 久恒邦裕, 池盛文数, "微小粒子状物質(PM2.5)の発生源寄与率の推定", 名古屋市環境科学調査センター年報第1号, 2012.
  11. 李秀澈(編著), "東アジアの環境賦課金制度-制度進化の条件と課題", 昭和堂, 2010.
  12. 李秀澈(編著), "東アジアのエネルギー.環境政策-原子力発電/地球温暖化/大気.水質 環境", 昭和堂, 2014.
  13. 茶谷聡, "大気中の二次汚染物質に対する発生源寄与推計と対策立案に資する規範的モデルの確立", 環境省環境研究総合推進費プロジェクト2016-2018, 2016.
  14. https://www.env.go.jp/policy/kenkyu/suishin/kadai/new_project/h28/pdf/5-1601.pdf
  15. 茶谷聡, 森川多津子, 中塚誠次, 松永壮, "3次元大気シミュレーションによる2005 年度日本三大都市圏PM2.5 濃度に対する国内発生源.越境輸送の感度解析", 大気環境学会誌第46巻第2号, 2011.
  16. 環境省 大気環境課, "PM2.5問題の現状と対応", 2014.
  17. 環境省 大気環境課, "PM2.5問題の現状と対応", 2015a.
  18. 環境省 大気環境課, "大気環境に関する国際協力について", 2015b.
  19. 環境省PM2.5検討委員会, "日本国内におけるPM2.5発生源情報の整備のための取組-PM2.5 排出インベントリ及び発生源プロファイル策定検討会の進捗報告-", 2014.
  20. 環境省 PM2.5専門委員会, "微小粒子状物質の国内における排出抑制策の在り方について中間取りまとめ(案)", 2015.
  21. 環境省微小粒子状物質(PM2.5)に関する専門家会合, "最近の微小粒子状物質(PM2.5)による大気汚染への対応", 2013.
  22. 日本大使館, "北京市内の大気汚染について", 2016.
  23. http://www.cn.emb-japan.go.jp/index_j.htm
  24. Lee, S., P. Hector, and S. J. Park, eds, "Low Carbon, Sustainable Future in East Asia-Improving Energy System, Energy Tax and Policy Coopration," Routledge, 2015.
  25. 精華大学.Health Effects Institute 주최 대기오염과 건강영향 학술심포지엄발표 자료, "세계의 질병부담연구(GBD2010)", March 31,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