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zing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Forest Composition in Korea

산림의 임상구조 결정요인 분석과 기후변화에 따른 임상구조 변화 예측

  • Lee, Honglim (Department of Agricultural Economics and Rural Development,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won, Oh Sang (Department of Agricultural Economics and Rural Development,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홍림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농업.자원경제학 전공) ;
  • 권오상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농업.자원경제학 전공,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Received : 2017.01.27
  • Accepted : 2017.03.27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is study empirically estimates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forest composition in Korea using a fractional data regression model, and forecasts the change in forest composition in the 2040s and 2090s based on the IPCC climate change scenarios. Unlike the forest science studies that incorporate mostly only ecological variables as the determinants of forest composition, we take into account regional level socio-economic and forest management variables as well. Our estimation results found that not only environmental factors but also socio-economic and forest management related factors strongly affect the composition of Korean forest. Based on the estimation results and IPCC scenarios on climate change, we predict that the share of currently dominant coniferous forest will decline in the future under all scenarios. About 10% of total forest area is likely to be converted from coniferous forest into broadleaved forest until 2090s under the scenario RCP 8.5. It is also predicted that there will be a substantial regional variation in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forest composition, and the coniferous forests in the inland regions will decline more dramatically.

본고는 기후변화가 우리나라 산림 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분할자료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임상모형을 구축하였으며, 기후 및 지형과 같은 자연적 요인 외에도 사회 정책적 요인들이 산림 구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구축한 임상모형을 이용하여 기후변화가 미래 우리나라 산림을 어떻게 변화시킬지를 IPCC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예측해보았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산림 구성은 자연적 요인 못지않게 사회 정책적 요인들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래의 모든 기후변화 시나리오하에서 현재보다 침엽수림 비중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IPCC의 RCP 8.5에 해당하는 기후변화가 실현될 경우 2090년대까지 전체 산림면적의 약 10% 정도가 침엽수림에서 활엽수림으로 전환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기후변화로 인한 임상변화는 지역별로 상당히 이질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이며, 현재 침엽수림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내륙지역의 침엽수림 면적을 더욱 크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구경아 . 공우석 . 김종규, "한반도 상록활엽수의 지리적 분포와 기후요소", 대한지리학회지, 제36권, 제3호, 2001, pp. 247-257.
  2. 국립산림과학원, 지구온난화, 기후변화협약, 산림, 2005.
  3. 기상청, 한반도 기후변화 전망보고서, 2012.
  4. 김경민 . 김은숙 . 이정빈 . 이승호 . 박기호 . 허준 . 임정호, 국가 산림자원조사 자료와 RS/GIS기술을 이용한 산림탄소지도 제작 모델 개발, 국립산림과학원, 2014.
  5. 김재욱 . 이동근, "지역기후모형을 이용한 산림식생의 취약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제9권, 제5호, 2006, pp. 32-40.
  6. 변정연 . 이우균 . 최성호 . 오수현 . 유성진 . 권태성 . 성주한 . 우재욱, "시공간 정보기반 산림 생태계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대한원격탐사 학회지, 제28권, 제1호, 2012, pp. 159-169.
  7. 산림청, 2015년 임업통계연보, 제45호, 2015.
  8. 산림청, 멸종위기 한국 침엽수, 지속 가능한 보전 추진, [online] https://www.forest.go.kr/newkfsweb/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3098891&bbsId=BBSMSTR_1036&pageUnit=10&pageIndex=16&searchtitle=title&searchcont=&searchkey=&searchwriter=&searchWrd=&ctgryLrcls=&ctgryMdcls=&ctgrySmcls=&ntcStartDt=&ntcEndDt=&mn=KFS_03_02&orgId=kfs [Accessed 16 Jan. 2017], 2016.
  9. 이동근 . 김재욱 . 박찬, "토지피복 변화를 반영한 미래의 산림식생 분포 예측에 관한 연구", 환경영향평가, 제19권, 제2호, 2010, pp. 117-125.
  10. 임종환 . 신준환 . 이돈구 . 서승진, "기후변화에 따른 산림생태계 영향: 우리나라 연구현황과 과제", 한국농림기상학회지, 제8권, 제3호, 2006, pp. 199-207.
  11. 장동호 . 이승호, "강원도 산지지역의 기후변화 취약성평가를 위한 임상 변화 분석", 기후연구, 제8권, 제2호, 2003, pp. 169-183.
  12. 정현용 . 이우균 . 남기준 . 김문일, "기후변화에 따른 임상분포 변화 및 탄소저장량 예측: 용인시 산림을 기반으로", 한국기후변화학회지, 제4권, 제2호, 2013, pp. 177-188.
  13. 한화진,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 시스템 구축 III,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경제 . 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07-24-01, 2007.
  14. 임산물 가격정보시스템, https://fps.kofpi.or.kr
  15.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
  16. Aitchison, J., "The Statistical Analysis of Compositional Data,"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B (Methodological), 1982, pp. 139-177.
  17. Berry, S. T., "Estimating Discrete-Choice Models of Product Differentiation," The RAND Journal of Economics, 1994, pp. 242-262.
  18. FAO, Global Forest Resources Assessment 2000 - main report, FAO Forestry Paper, No. 140, 2000.
  19. Franklin, J. F., and T. A. Spies, "Composition, function, and structure of old-growth Douglas-fir forests," Wildlife and Vegetation of Unmanaged Douglas-fir Forests, USDA Forest Service General Technical Report PNW-GTR-285, 1991, pp. 71-80.
  20. Fry, J. M., T. R. Fry, and K. I. R. McLaren, "The Stochastic Specification of Demand Share Equations: Restricting Budget Shares to the Unit Simplex," Journal of Econometrics, Vol. 73, No. 2, 1996, pp. 377-385. https://doi.org/10.1016/S0304-4076(95)01727-5
  21. Gardner, B., I. Hardie, I. Park, and P. J. Park, "United States Farm Commodity Programs and Land Use,"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Vol. 92, No. 3, 2010, pp. 803-820. https://doi.org/10.1093/ajae/aap039
  22. IPCC, Climate Change 2007: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s I, II and I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ore Writing Team, Pachauri, R. K. and Reisinger, A. (Eds.)], IPCC, Geneva, Switzerland, 2007.
  23. Krinsky, I., and A. L. Robb, "On Approximating the Statistical Properties of Elasticities,"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1986, pp. 715-719.
  24. Kwon, O. S., H. Cho, and Y. Park, "Climate Change and Farmland Use: A Multivariate Fractional Data Analysis," The 5th Congress of the East Asian Association of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5-7 August, 2015, Taipei, Academia Sinica, Taiwan.
  25. Murteira, J. M., and J. J. Ramalho, "Regression Analysis of Multivariate Fractional Data," Econometric Reviews, Vol. 35, 2016, pp. 515-552. https://doi.org/10.1080/07474938.2013.806849
  26. Wu, J. J., "Effects of Land-Use Change on Ecosystems," Ecology, Vol. 86, No. 12, 2005, pp. 3420-3421. https://doi.org/10.1890/0012-9658(2005)86[3420:EOLCOE]2.0.C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