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nvy and Suffering: Feelings of Characters Appearing in Self-Development Narrative - Focusing on a Soap Opera

시기심과 고통: 자기계발 서사에 나타난 감정 연구 - 막장드라마 <아내의 유혹>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7.02.10
  • Accepted : 2017.03.03
  • Published : 2017.03.30

Abstract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trend of feeling under the neo-liberalism era through the soap operas. In particular, this article focuses on 'envy'. Unlike jealousy, envy is the feeling of comparison appearing in people in similar circumstances that is displayed within the dual relation with its characteristic of having dynamics on the fortune (victory) of the other party for an unpleasant feeling, denial and interference. However, under the neo-liberalistic order with unlimited competition as its characteristic, 'envy' has the tendency to discourse with its passion of subjects participating in the limited share of competition. This begins in 'envy' under a soap opera to lead to competition to reproduce as the drama to dream of success for self-development. Under the circumstances, the feeling or behavior of characters not showing the general pattern but to individualize with the envious behavior of evil characters to turn away from the structural context for characters of issue of suffering originated within. For example, the soap opera imagines with 'envy' for the feeling of characters to reproduce the neo-liberalistic subject in darkness as well as to transfigure the suffering or context encountered by the characteristics to present the issues.

이 연구에서는 신자유주의 시대의 감정 양상을 막장드라마(Soap Opera)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시기심(envy)'에 초점을 맞춰 분석하였다. 시기심은 비슷한 처지에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비교의 감정으로 질투심과 달리 이자관계(dual relationship) 안에서 나타나는데, 상대방의 행운(승리)을 불쾌, 부인, 방해하려는 역동을 가지고 있다. 시기심은 이처럼 부정적으로 감정으로 간주되는 게 일반적인데, 막장드라마 속에서 재현되는 시기심은 몫이 한정된 경쟁에 참여하는 주체들의 열정으로 전치되어 나타나고 있다. '시기심'으로 촉발된 경쟁이 결국 자기계발의 성공 드라마로 재현되는 양상이 그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재현된 시기심은 무한경쟁에 참여하는 주체들의 열정으로 비화되거나 혹은 사악한 행동으로 개별화되면서 인물이 놓인 구조적 맥락이나 그 속에서 발원하는 고통의 문제를 외면하고 있다. <아내의 유혹>은 인물의 감정을 '시기심'으로 형상화함으로써 신자유주의적 주체를 재현하는 것 뿐만 아니라 인물이 처한 고통이나 맥락을 변용시켜 냄으로써 탈법적이고 비윤리적 현실논리를 승인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기존의 통속극과 궤를 달리해서 봐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