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피동 표현 대조 연구 - 한국어 행위주 표지와 중국어 피동 표지 대비 중심으로 -

A Contrastive Study on Korean and Chinese Passive Expression: Centered on Korean Act Subject Marks and Chinese Passive Marks

  • 투고 : 2017.05.10
  • 심사 : 2017.06.02
  • 발행 : 2017.06.30

초록

본고는 피동 표현에서의 한국어 행위주 표지 '-에게(한테)', '-에, -로'와 중국어 피동 표지 '피(被)[$b{\grave{e}}i$]/양(?)[$r{\grave{a}}ng$]/규(叫)[$ji{\grave{a}}o$]/급(?)[$g{\check{e}}i$]'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그 분포양상 및 특징을 살피고 이들 형태를 비교 대조를 통하여 그 대응 관계를 면밀히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대조 분석 시 두 언어의 유형적 특징, 피동 표현에서의 행위주, 피동주에 대한 선택 제약, 그리고 '받다'류 피동 표현에서 행위주(피동) 표지의 사용 제약과 같은 3가지 측면에 중점을 두었다. 본 대조 분석을 통해 확인한바, 한 중 피동 표현에서 한국어 행위주 표지 '-에게(한테)', '-에, -로'와 중국어 피동 표지 '피(被)/양(?)/규(叫)/급(?)'는 각각 행위주와 결합하여 부사어 역할을 하고 있는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용법에 있어 차이점을 보였다. 먼저 두 언어 유형적 특징에 따라 피동 표현에서 행위주와의 결합 방식이 각각 달리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행위주 표지는 오로지 조사 역할을 하여 '행위주 유정성 유무'에 대한 제약만 받는 반면, 중국어 피동 표지 '피(被)/양(?)/규(叫)/급(?)'는 각각 문법화 정도에 따라 행위주 유무뿐만 아니라 피동주 유정성 유무 그리고 문장에 나타나는 어휘의 의미에 따른 제약 등을 보인다. 특히 한국어 '받다'류 피동 표현에서 한국어의 행위주 표지 '에게(한테), -에, -로'는 그대로 사용되지만 대응하는 중국어에서는 피동 표지 사용에 여러 제약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is based on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Korean act subject marks '-에게(한테), -로, -에' and Chinese passive marks '被[$b{\grave{e}}i$]/?[$r{\grave{a}}ng$]/叫[$ji{\grave{a}}o$]/?[$g{\check{e}}i$]'. Each distribution's aspects and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and corresponding relationships were analyzed by comparison of these forms. The method of this comparative analysis focused on three aspects such as tangible characteristics of the two languages, selective restrictions on the 'act subject' or 'passive subject' in the passive expression, and constraints on the use of the act subject (passive) marks in the Korean passive expression by '받다'. In this comparative analysis Korean act subject markers '-에게(한테), -로, -에' and Chinese passive markers '被/?/叫/?' are always as an adverb in passive expression in combination with the act subject. Despite this common point, some differences were revealed relative to the use of the two languages. First, we reveal that the 'act subject' and the conjoined manner follow the passive expressio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two languages. In addition, the act subject marks of Korean passive expressions '에게/한테, -에/로' only serve as an investigative role. They are limited only to [${\pm}animate$] of the act subject. But Chinese passive markers '被/?/叫/?' are often restricted by [${\pm}animate$] of passive subject,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act subject. In the Korean passive expression by '받다', it is used as act subject marks '에게/한테, -에/로' but the Chinese passive marks are restricted by the meaning of lexical items in a sentenc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