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노인의 생활안전을 위한 정책적 제언

Policy Proposals for the Safe Living of the Rural Elderly

  • 조희금 (대구대학교 가정복지학과) ;
  • 이미영 (대구대학교 가정복지학과)
  • 투고 : 2017.03.01
  • 심사 : 2017.05.17
  • 발행 : 2017.05.3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hich focuses on safe living a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is to provide policy proposals for their safe living in rural areas by examining their current living conditions and related policies. To examine the related policies, we analyzed government plans includ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Basic Plan on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first implemented in 2006, the first, second and third Basic Plan for Healthy Families, also first implemented in 2006,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Five-year Plan for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Rural People and Regional Development of Rural Areas, first implemented in 2005. In addition to these plans, government projects concerning safe living environments were assessed. we present the following policy proposals for the safe living of the elderly in rural areas. First, integrated, customized policies are required for the rural elderly's everyday life. That is, elderly-friendly residential improvement policies are needed since accidents involving the rural elderly usually occur in their own houses. Policies should also be introduced to monitor and improve the elderly's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Also considering the high proportion of elderly people in rural areas, policies must be aimed at creating elderly-friendly and family-friendly villages. Second, educational sessions for the elderly are necessary to raise their awareness of safety in everyday lives, which they often overlook.

키워드

참고문헌

  1. 곽인숙(2011). 노인의 자녀와의 상호간 지원 교환이 성공적인 노후생활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4), 107-127.
  2. 강혜경. 조희금. 이미영. 엄가영(2014). 농촌 고령자의 안전위협에 관한 주거실태 조사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5(5), 21-32. https://doi.org/10.6107/JKHA.2014.25.5.021
  3. 관계부처 합동(2014). 제3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 지역개발 5개년 기본계획. 농림축산식품부.
  4. 관계부처 합동(2016). 제3차건강가정기본계획. 여성가족부.
  5. 김외숙(2015). 노인의 시간배분 유형에 따른 시간사용만족도의 차이.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1), 163-180.
  6. 대한민국 정부(2016).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 보건복지부.
  7. 배민기(2013). 행복한 도민, 생활안전이 기반이다. 충북 Issue & Trend, 11, 33-39.
  8. 성기환. 최일문(2015). 주민 안전복지 실현을 위한 생활안전체계 구축 방안. 한국위기관리논집, 11(8), 43-71.
  9. 손주영(2008). 일-가정 양립을 위한 가족친화경영정책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3), 81-101.
  10. 송혜림. 유아랑(2013). 돌봄노동의 사회적 지원 정책을 통해 본 일-가정 양립 실태에 대한 연구: 학령전기 자녀를 둔 기혼취업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4), 101-125.
  11. 신상영(2012). 주민참여형 안전한 마을만들기 구현방안. 서울연구원.
  12. 원소연(2014). 생활안전제고를 위한 지역안전 공동체 구축방안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13. 유현정, 최은실, 김성숙, 이재은(2011). 위험사회를 사는 소비자와 생활안전. 서울: 대영문화사.
  14. 윤소영(2006). 노인 여가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0(4), 47- 63.
  15. 윤소영. 김하늬. 고선강(2009). 맞벌이 가정의 일-가정 균형을 위한 기업의 가족친화정책 실시, 활용 및 요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1). 1-21.
  16. 이기영. 김외숙. 이연숙. 이승미. 홍두승. 조흥식. 김유경. 김소영. 정수인. 조희금 (2006). 고령화 사회 농촌 노인의 노동과 여가의 시간 배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0(3), 131-148.
  17. 이미영. 조희금. 최윤지(2016). 농촌독거노인의 생활안전서비스지원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1), 43-60.
  18. 이선형. 최은희(2010). 안정적 노후준비 가계의 특성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예비노인의 경제적 노후준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4), 193-212.
  19. 이윤정(2003). 노인 여가의 기능과 여가자원에 관한 문헌고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7(2), 117-130.
  20. 이윤정. 정순희(2004). 노인의 여가생활시간 소비패턴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8(1), 101-116.
  21. 이재은. 유현정(2007). 국가위기관리의 새로운 영역 설정과 추진 전략.: 국민생활안전 위기 영역의 분류와 운영 방안 모색. 한국위기관리논집, 3(2), 1-17.
  22. 이주호(2015). 주민생활 안전을 위한 주민중심의 지역만들기 정책 개선방안. 한국위기관리논집, 11(2), 299-321.
  23. 이현심. 신지현(2014). 노인안전사고 실태와 예방. 한국시큐리티융합경영학회지, 3(2), 27-42.
  24. 일본난탄시청. http://www.city.nantan.kyoto.jp/www/index.html
  25. 임창희(2007). 무배우자 노인의 생활만족도 및 관련 변인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1 (2), 43-65.
  26. 전북도민일보(2016.11.08). 노인안전, 현장과 데스크 사이의 온도차. http://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29311
  27. 정영금(2008). 가족자원경영학적 관점에서 본 일-가정 균형 정책에 대한 평가와 방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2), 1-14.
  28. 정영금(2009). 일-가정 균형과 관련된 법과 정책의 비교고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2), 85-105.
  29. 조영희(2014). 초등학생 방과 후 돌봄 서비스분석과 개선방안.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1), 141-162.
  30. 조영희. 송혜림(2009). 일-가정 균형을 위한 보육 및 학교 영역에서의 요구도와 정책: 맞벌이 가정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2), 65-83.
  31. 조희금. 서지원(2009). 맞벌이 가정의 일-가정 균형을 위한 가정생활 영역의 정책적 요구: 자녀돌봄 및 가사노동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1), 61-81.
  32. 중앙안전관리위원회. 행정안전부(2010), 국가 안전관리 기본계획: 2010-2014. 행정안전부.
  33. 채화영. 김주희. 이기영(2011). 중, 고령자의 생활시간 유형화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2), 129-146.
  34. 통계청(2015). 2014년 농림어업조사 결과. 통계청.
  35. 통계청(2015). 2015 고령자 통계. 통계청.
  36. 하춘광(2009). 남녀노인의 사회인구학적, 경제적 요인 및 비동거자녀 접근성 요인과 생활만족도-생활만족도의 다차원적 구조를 중심으로 -.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3), 227-246.
  37. 한경혜. 이정화(2009). 농촌노인 안전생활네트워크 운영시스템 개발. 2009 농촌진흥청 용역과제 보고서.
  38.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4). 2014 노인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9. 한국여성정책연구원(2010). 제2차 건강가정기본계획 및 관련기본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40. 홍영준. 이정훈(2014). 노후준비도가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생산적 활동의 매개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4), 9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