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leisure time use by marital status of middle-aged one-person households

중년1인가구의 혼인상태별 여가시간사용 결정요인 분석

  • Seo, Jiwon (Dept. of Human Ecology,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 Yang, Jinwoon (Dept. of Social Welfare, Halla University)
  • 서지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과) ;
  • 양진운 (한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7.05.31
  • Accepted : 2017.08.01
  • Published : 2017.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related to leisure time to understand middle-aged one-person households. Data are from the recent survey of lifetime use in 2014 by Statistics Korea(N=1,138). Middle-aged one-person households aged 40-59 year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by marital status (unmarried/married/widowed/divorced). Major results were found as follows: First, the total leisure time per day was 238 min in the middle-aged one-person households. The majority of the total leisure time was spent on 'fellowship & leisure activities'(204 min on weekdays, 283 min on weekends). Especially, time spent on real-time TV watching hours was the longest, as long as 89 min on weekday and 150 min on weekends. Second, gender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in terms of leisure time use in the middle-aged one-person households. Females spent less time on leisure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on both weekdays and weekends. In addition, gender differences related to marital status were significant. Third, on weekdays, the determinants of leisure time use among the middle-aged one-person households were health and type of employment for 'participation & volunteer activities', and gender, age, marital status, and type of employment variables for 'fellowship & leisure activities.' On weekends, time spent on 'participation & volunteer activities' were influenced by marital status, residential area, and type of employment, while time spent on 'fellowship & leisur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gender, type of employment, type of job, holiday system, and income.

Keywords

References

  1. 강은나.이민홍(2016). 우리나라 세대별 1인가구 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4, 47-56.
  2. 강은택.강정구.마강래(2016). 1인가구의 주관적 삶의 만족감에 대한 연구: 미혼 1인가구와 기혼 1인가구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7(1), 2-23.
  3. 김기향(2013). 중고령자의 사회경제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4. 김도희(2012). 청년 1인가구 증가요인에 따른 생활실태분석과 정부의 정책과제. 2012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발표자료집.
  5. 김시월.조향숙(2015). 중고령 1인가구의 소비 패턴과 삶의 만족도. Financial Planning Review, 7(3), 89-116.
  6. 김혜영(2008). 신자유주의와 다양한 가족. 한국사회, 9(20), 55-94.
  7. 김혜영(2014). 유동하는 한국가족: 1인가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 15(2), 255-292.
  8. 김혜영.선보영.진미정.사공은희(2007). 비혼 1인가구의 가족의식 및 생활실태조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9. 김혜정(2015). 비혼 여성 1인가구의 사회적 배제에 관한 연구. 여성학연구, 25(2), 7-40.
  10. 나지나.백승애.신은경.김미혜(2010). 결혼 해체를 경험한 베이비부머 여성의 경제적 노후 준비 여부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1. 박윤희(2010). 중고령자의 고용 및 직업능력 개발 요구분석. HRD연구, 12(3), 83-111.
  12. 박지혜.이순학.한승희(2015). 1인 가구의 문화소비지출행태 분석. 산업연구원.
  13. 반정호(2012). 1인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변화. 월간노동리뷰, 2012(4), 55-67.
  14. 변미리(2008). 서울의 1인가구 현황과 도시정책 수요. 한국행정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15. 손승영(2005). 고학력 전문직 여성의 노동 경험과 딜레마: 강한 직업정체성과 남성중심적 조직문화. 한국여성학, 21(3), 67-97.
  16. 여윤경(2003). 노인부부가계와 노인독신가계 의 소비패턴 비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5), 1-12.
  17. 여윤경.양세정(2001). 가구유형에 따른 소비 지출패턴 비교 분석, 소비자학연구. 12(4), 65-81.
  18. 우민희.이명진.최샛별(2015). 청년세대 일인가구의 여가활동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청년세대 다인가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 16(1), 201-231.
  19. 유병규.조호정.전선형(2010). 국내 1인가구의 7개 구조적 특징: 1인 가구의 저소득. 고령화 심화. 경제주평, 10(4), 1-14.
  20. 윤소영(2002). 독신의 시간사용과 여가활동에 대한 탐색적 연구: 미혼 및 기혼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6), 209- 217.
  21. 이성림.김기옥(2009). 우리나라 독신가구의 여가활동 소비지출패턴에 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11(2), 85-101.
  22. 이희연.노승철.최은영(2011). 1인가구의 인구.경제.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성장패턴과 공간분포. 대한지리학회지, 46(4), 480-500.
  23. 전상민(2013), 단독가구의 소비지출패턴 유형 및 결정요인 분석, 소비자문제연구, 44(3), 21-43.
  24. 성영애(2013). 군집분석을 통해 살펴본 1인 가구의 연령대별 소비지출 패턴. 소비자학연구, 24(3), 157-222.
  25. 이진숙.이윤석(2014). 비혼 1인가구의 사회적 관계: 여성과 남성의 교제활동 시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7(4), 1-24.
  26. 조성철(2012). 수도권 1인가구 주택수요 전망과 주택공급 분석. 한성대학교 부동산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차경욱(2006). 남성 1인가구의 경제구조 분석 : 연령 및 혼인상태에 따른 비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1), 253-269.
  28. 최경은.윤주(2013). 1인가구 여가활동 분석 및 대응정책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9. 최샛별(2014). 1인가구의 문화활동 참여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다인가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여가학연구, 12(2), 1-24.
  30. 최홍철.최현자(2014). 가구유형을 고려한 생애주기와 소비지출양식에 관한 연구. Financial Planning Review, 7(3), 93-125.
  31. 홍성철(2015). 1인 가구의 증가와 미디어 소비행태 분석. 정보사회와 미디어, 16(3), 59- 84.
  32. 통계청(2005). 인구주택총조사.
  33. 통계청(2016). http://kostat.go.kr.
  34. 통계청(각년도). 장래가구추계 2010-2035.
  35. Ben-Zur, H.(2012). Loneliness, optimism andwell-being among married, divorced, andwidowed individuals. The Journal of Psychology:Interdisciplinary and Applied, 146(1-2), 23-26. https://doi.org/10.1080/00223980.2010.548414
  36. Hall R. Ogden, P. & Hill, C.(1997). The patternand structure of one person households in EnglandWales and French. International Journal ofPopulation Geography, 3(2), 161- 181. https://doi.org/10.1002/(SICI)1099-1220(199706)3:2<161::AID-IJPG64>3.0.CO;2-2
  37. Kaufman, J.(1994). One person households inEurope. Population, 49(4-5), 935-938. https://doi.org/10.2307/1533664
  38. Lee, Y. & Han, J.(2013). The rise of singlepersonhouseholds and changes in consumptionpatterns. Kiet Industrial Economic Review,18(4), 16-28.
  39. Wall, R.(1989). Leaving homes and living alone:an historical perspective. Population Studies,43(3), 369-389. https://doi.org/10.1080/0032472031000144196
  40. White, J. & Lahmann, H.(1988). Formationand dissolution of one-person households in theUnited States and West Germany. Sociologyand Social Research, 73(1), 3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