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Social Networks on the Need for Life Services for the Elderly in Rural Areas

농촌 노인의 사회관계망이 생활서비스 필요도에 미치는 영향

  • 이미영 (대구대학교 가정복지학과)
  • Received : 2017.05.30
  • Accepted : 2017.07.17
  • Published : 2017.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ocial networks used by the rural elderly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se social networks on the need for life services. The research subjects were 1,000 people aged 65 years and over living in the rural areas of Korea. Among the total 1,000 respondents, 979 elderly who have childre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friends/neighbors was higher than that of children, whereas the social support of children was higher than that of friends/neighbors(excluding physical support). Second, the rate of use of home services and the elderly welfare center was very low. Promotion, a minimum cost burden, convenient transportation (circulation bus operation, etc.), and the provision of visiting services are examples of ways to be using them much more. Third, the elderly who do not live with their children have a higher need for life services. As well unlike the elderly who live with their children, in the case of the elderly who do not live with their children, the necessity for life services was influenced not only by their children but also by the relationship with their friends/neighbors and by home services. This implies that comprehensive social networks are important for the elderly who do not live with their childre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social support of the community as well as of children and friends/neighbors.

Keywords

References

  1. 강유진.강효진(2005). 노인복지서비스 인지도 및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998년 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28, 255-294.
  2. 강은나.김혜진.정병오(2015). 후기 노년기 사회적 관계망 유형과 우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46(2), 229-255.
  3. 김동배.유병선(2013). 근린환경과 노인의 사회적 관계, 우울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3(1), 105-123.
  4. 김민희.김성희(2012). 섬 지역 노인의 생활실태와 복지서비스 욕구. 한국도서연구, 24(1), 95-117.
  5. 김수현.강현정.김윤정(2008). 농어촌 여성 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3(3), 51-71.
  6. 김수현.강현정.김윤정(2008). 농어촌 여성 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3(3), 51-71.
  7. 김영범.박준식(2004). 한국노인의 가족관계망과 삶의 만족도: 서울 지역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4(1), 169-185.
  8. 난탄시청 홈페이지. http://www.city.nantan.kyot o.jp/www/index.html.
  9. 남기민(2006). 고령화사회와 노인복지. 서울: 양서원.
  10. 문성제.손민성.윤희수.최만규(2017). 주관적 건강수준에 따른 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의료기관 이용 간의 관련성: 노인복지 서비스 참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눈문지, 17(5), 479-490.
  11. 민기채.이정화(2008). 비공식적 관계망에 대한 지원 제공이 노인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8(3), 515-533.
  12. 박경숙(2003). 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실태와 이용경향에 미치는 요인: 경기도 국민기초생활보장노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55, 283-307.
  13. 박미석(2005). 우리나라 노인복지서비스 기반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노후생활준비와 노인 복지서비스 요구도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4), 1-15.
  14. 박영란.박경순(2013). 한국노인의 사회적 관계망과 복지: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노인복지연구, 60, 323-352.
  15. 백옥미(2011). 지역사회 재가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결정요인: 앤더슨모델의 적용.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38, 1-27.
  16. 백학영.윤민석(2007). 서비스 접근성이 노인의 복지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자료집, 10, 219-225.
  17. 백학영.윤민석(2007). 서비스 접근성이 노인의 복지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사회복지학회 2007년도 세계학술대회, 10, 219-225.
  18. 서선희.임희경(2004). 농촌 노인 가구의 사회적 관계망의 기능에 관한 연구 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농촌사회, 14(1), 179-203.
  19. 석재은.장은진(2016). 여성독거노인과 남성 독거노인의 관계자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71(2), 321-349.
  20. 오인근.오영삼.김명일(2009). 여성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연구: 건강증진행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4(1), 113-136.
  21. 윤현숙(2001). 노인 가족부양자의 재가복지서비스 이용의향 및 필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1(2), 141-161.
  22. 이가옥.이미진(2001). 노인의 재가복지서비스 이용의향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 21(2), 113-124.
  23. 이미애(2005). 장기요양보호 대상 노인의 시설 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7, 29-47.
  24. 이미영.조희금.최윤지(2016). 농촌독거노인의 생활안전서비스지원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 43-60.
  25. 이민아(2004). 노인전문요양시설의 일상생활 지원서비스 작업흐름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6), 91-105.
  26. 이인정(2004). 만성질환 및 기능손상 노인 가족수발자의 재가복지서비스 이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6(3), 183-205.
  27. 이재모.이신영(2006). 노인의 재가복지서비스 이용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32, 203-222.
  28. 이정화.한경혜(2003). 농촌노인의 일과 여가활동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농촌사회, 13(1), 209-238.
  29. 이혜원(1995). 서울시 거택보호노인의 가정봉사원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 노년학, 15(2), 140-156.
  30. 임소영.강민아.조성일(2013). 한국 노인의 사회관계망 유형과 건강상태의 관계: 남녀집단별 분석. 노인복지연구, 59, 281-308.
  31. 장영은.김신열(2014). 자녀와의 사회적 관계망 특성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39, 1-29.
  32. 정경희(1995). 노인들의 사회적 연계망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15(2), 52-68.
  33. 정순돌.문진영.김성원(2010). 고령은퇴자의 사회적 관계망과 은퇴만족도 관계 연구. 한국노년학, 30(4), 1145-1161.
  34. 조성희(2003). 방문간호대상노인의 가족자원 특성과 서비스 이용실태에 대한 분석: 충남 아산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2, 155-178.
  35. 최성수.이가람.이성민(2008). 사회적 연결망과 은퇴 경험이 한국 중고령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8(2), 291-307.
  36. 최용민.이상주(2003). 사회적 지원망이 독거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22, 193-217.
  37. 최정아.서병숙(1992). 도시노인의 사회적 지원망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12(1), 65-78.
  38.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2). 2011년 노인실태 조사.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9.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4). 2014년 노인실태 조사.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0. 한국지방행정연구원(2008). 고령화사회에 따른 지방자치단체의 노인복지서비스 개선방안. 서울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41. 宮本太郎 編(2014). 地域包括ケアと生活保障 の再編ー新しい 支え合い」システムを創る. 東 京: 明石書店.
  42. Brunette, D. & Mui, A. C.(1995). In-home and Community-based Service Utilization by Three Group of Elderly Hispanics: A National Perspective. Social Work Research, 19(4), 197-206.
  43. Hoyt, D. & Babchuk, N.(1983). Adult Kinship Networks: the Selective Formation of Intimate Ties with Kin. Social Forces, 62(1), 84-101. https://doi.org/10.1093/sf/62.1.84
  44. Kraut, J. A.(1983). Correlates of Senior center Participation. Research on Aging, 5(3), 339-353. https://doi.org/10.1177/0164027583005003004
  45. Logan, J. R. & Spitze, G.(1994). Informal Support and the Use of Formal Services by Older Americans. Journal of Gerontology, 49(1), 25-34. https://doi.org/10.1093/geronj/49.1.S25
  46. Ron, P.(2009). Seeking help from health and welfare services among, elderly single women. Journal of Women & Aging, 21, 279-292. https://doi.org/10.1080/08952840903284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