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ulture-Industry and the Aesthetic Experience as a Condition of Art's Autonomy

문화산업과 예술의 자율성 조건으로서 미적 경험

  • Received : 2017.04.15
  • Accepted : 2017.05.25
  • Published : 2017.05.30

Abstract

In times when identity-principles dominate through culture-industry, it appears to be the idea of the perfect identity-knowledge which Hegel had required for philosophy to become true. By being produced, culture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production for production itself, became commodities which can be exchanged in the market. So what cannot be exchanged in the market is excluded as worthless and useless. As culture-industry gets rid of room for the new and the experience of it, the experience of what is new became impossible. In such degrees the consciousness is reificated, and the freedom as autonomy becomes an empty concept. But if there is not the freedom of will, conscious thought will not be possible, and human beings will degenerate into a simple species. Nevertheless, freedom which becomes meaningless in reality is an essential element for a human being to be human, so in the times when consciousness is reificated by means of the culture-industry, as the autonomous art awakens a reificated consciousness, it will be the antidote of a reificated consciousness which makes free thought and action possible. In this sense, this study will try to justify the aesthetic experience as shudder through the experience of what cannot be exchanged that becomes possible with critics regarding the constructive imperfection of identity-knowledge. Then it will argue that the aesthetic experience as shudder makes the autonomous art possible.

어떤 것도 시장에서 벗어날 수 없다. 모든 것이 시장에서 거래되고 시장에서 평가된다. 이러한 정도로 교환적 동일성 원리의 보편적 지배가 실현된 오늘날, 헤겔이 철학에 요구했던 완전한 동일성 인식이라는 이념이 실현된 것처럼 보인다. 문화산업은 생산을 위한 생산의 원리에 따라 문화를 생산함으로써 문화마저도 시장에서 교환되는 추상적 대타존재로 상품화하기 때문에, 시장에서 교환될 수 없는 것은 무가치하고 쓸모없는 것으로 배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문화산업이 새로운 것을 위한 여지를 없애버림으로써, 더 이상 새로운 것과 새로운 것에 대한 경험은 불가능하게 되었다. 그러한 정도로 의식은 물화되고, 자율로서 자유는 과거의 향수를 불러오는 것 이외에 어떤 의미도 가지지 않는 공허한 개념이 되었다. 정말로 새로운 것에 대한 경험이 불러일으키는 충동이 없다면, 의지도 없을 것이고, 의지가 없다면 의식적 사유도 가능하지 않을 것이며, 인간은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되는 로봇과 더 이상 차이를 가지지 않는 단순한 유적 존재로 전락할 것이다. 그럼에도 현실 세계에서 무의미해진 의지의 자유가 인간이 인간이기 위한 본질적 요소이며, 그렇기 때문에 문화산업이 생산을 위한 생산의 논리에 따라 문화를 상품화함으로써 의식이 물화된 시대에, 문화산업의 논리로 흡수되지 않는 자율적 예술은 물화된 의식을 일깨움으로써 자유로운 인간 사유와 행위를 가능하게 하는 물화된 의식의 해독제가 될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논문은 동일성 인식의 구성적 불완전성에 대한 비판과 더불어 가능하게 되는 사유하는 언어로는 표현할 수 없는 것, 그래서 교환될 수 없는 것에 대한 경험을 통해 전율로서 미적 경험을 정당화하려 한다. 그런 다음 이러한 전율로서의 미적 경험이 자율적 예술을 가능하게 한다고 논증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