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atitude within Judgement and Virtue

판단력과 덕 그리고 활동여지

  • Received : 2017.04.14
  • Accepted : 2017.05.23
  • Published : 2017.05.30

Abstract

Kant's doctrine of virtue shows how an actor should behave morally in an individual situation with moral law defines the limits of human action. There is latitude for action in the course of formulating the maxims of action by an actor. And moral judgement, as Aristotle's Pronesis, is very important in the latitude for action. In the doctrine of virtue, Kant suggests two kinds of duty of virtue: one's own perfeciton as an obligatory end, and the happiness to others as an obligatory end-and raises the question of casuistics for each. However, this was the practice and training for the human moral life by application of the moral law. In particular, Kant saw that ethics does not give laws for action, but only give laws for the maxims of action, and further intended to realize the practice in a proper way of seeking truth through casuistical questions. Thus, Kant points out that the casuistic is related only to ethics in a fragmentary way and is added to ethics only as a comment on the system. According to Kant, virtue and judgment are inevitable to apply categorical imperative in the empirical and realistic world. In other words, virtue and judgment are necessary to enable people who are likely to act in accordance to inclination to live a moral life in accordance with the command of reason. Thus Kant saw that in order to take wide duty into narrow ones, human beings must not only have to cultivate virtues as a strong power of will, but also to exercise judgment. In addition, the distinction between duty of law(narrow obligation) and duty of virtue(wide obligation) is dependent on whether there is a latitude for action in the application of both duties. So the role of virtue and training of judgement is very important in the latitude for action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formalizing actor's maxims. In detail, as the duty is wider, so man's obligation to action is more imperfect, but the closer to narrow duty(Law) he brings the maxim of observing this duty(in his attitude of will), so much the more perfect is his virtuous action. Thus, it was an effort to show how Kant's best moral principles, that is categorical imperative could be applied to the real world at the time of criticism. Of course, even if it is difficult to assess Kant's efforts as successful, criticizing Kant's ethics as 'formal', 'abstract', or 'monologous' is not persuasive because of critics did not understand his ethics as a whole.

칸트의 덕 이론은 인간 행위의 한계를 규정하는 도덕법칙과 함께 개별적 상황에서 행위자가 도덕적으로 행위 하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알려준다. 행위자가 어떤 행위의 준칙을 정식화하는 단계에서 일종의 활동의 여지가 마련되는데, 그 안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프로네시스와 같은 도덕적 판단의 역할은 중요하다. 그가 "덕론"에서 '자기 자신의 완전함', '다른 사람에 대한 행복'이라는 두 종류의 덕 의무를 제시하고, 각각의 사항에 대해 결의론적인 물음들을 제기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도덕 법칙의 적용에 의한 인간의 도덕적 삶을 위한 연습과 훈련이었다. 더욱이 칸트는 윤리학은 행위를 위한 법칙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행위의 준칙을 위해서만 법칙을 제공한다고 보았으며, 나아가 결의론적 물음을 통해 진리를 추구하는 적절한 방식 속에서 실천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그는 결의론은 단편적인 방식에서만 윤리학과 관계될 뿐이고 또한 그 체계에 대한 주석으로서만 윤리학에 부가된다고 지적한다. 칸트에게 덕과 판단력은 "도덕형이상학정초"에서 확립한 최고의 도덕법칙을 경험적이고 현실적인 세계에 적용하기 위해, 달리 말하면 본성적 경향성에 따라 행위할 가능성 높은 인간으로 하여금 이성의 명령에 따라 도덕적인 삶을 살아가도록 하기 위해 불가피한 것이다. 이에 그는 광의의 의무를 협의의 의무로 가져가기 위해서 인간에게 의지의 강한 힘인 덕의 연마와 판단력의 훈련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더욱이 법의무(협의의 의무)와 덕의무(광의의 의무)의 구분은 결국 그 의무들의 적용에 있어서 활동의 여지가 있는지임을 감안한다면, 행위자의 준칙의 채택과 관련하여 활동여지 속에서의 판단력의 훈련과 덕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상세히 말하자면, 의무가 더 광범위해짐에 따라, 그래서 행위에 대한 인간의 책무는 더 불완전해지지만, 그러나 의지에 관한 그의 태도에서 그가 이런 의무를 준수할 준칙을 협의의 의무(법)으로 더 가까이 가져가면 갈수록 그의 덕스러운 행위는 그 만큼 더욱 더 완전해진다. 이는 결국 비판기 시기에 칸트가 확립했던 최고의 도덕법칙, 즉 정언명령을 현실세계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려는 노력이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