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In Korea,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are responsible for setting up their own Regional Forest Plans to manage the forests at regional scales distinguished by administrative boundaries, and the role of the plans are very crucial by linking the Forest Basic Plan for nationwide forest management policy with Forest Management Plans for local-level forest management practices. Thus, the analysis of forest resources at regional levels is required to make more efficient regional forest plans by properly reflecting regional forest situations. This study aims to present which species are concentrated at each individual metropolitan city or province, contributing to more efficiently establishing its regional forest plan. In order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levels of species for each region, Location Quotient and Relative-Specialization Index are computed using area- and volume-data for the major species selected in the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As a result, the ranks among the indices of the major species for each individual municipal city and province are presented.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selection of regional target species and establishment of regional forest management objectives. Further study regard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esults from area-based and volume-based indices will be helpful to consider regional level productivity by species into the regional forest plans.
우리나라는 공 사유림에 대해서 광역시 도가 지역산림계획을 수립하여 산림을 경영하도록 하고 있으며 지역산림 계획은 국가 단위의 산림기본계획과 임분 단위로 수립되는 산림경영계획을 연결하는 고리로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지역산림계획을 보다 효율적으로 작성하는데 필요한 지역단위 산림자원에 대한 분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광역시 도 단위로 어느 수종이 집중되어 있는지 제시하여 지역산림계획의 효율적 수립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집중도 분석을 위한 방법으로는 특화계수와 상대집중계수를 사용하였으며 이를 면적과 재적 자료를 통하여 각각 산정하였다. 그 결과 각 시 도별로 집중되어져 있는 임업통계연보에서 제시된 주요 수종들을 순위 별로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지역산림계획 수립 시 해당 지역에 집중된 수종을 고려하여 목표수종 혹은 경영방향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면적과 재적 기준의 결과 차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차후 지역의 수종별 생산성 요소도 반영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