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s post-traumatic, self-esteem and hope that affect the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omen. Number of middle-aged women participated in the survey were 118.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self reported questionnaires from June 1 to 30. and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windows version 21.0.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life health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hope, frequency of perceiver health status, frequency of self esteem and post traumatic state.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quality of life and hope, perceiver health status, self esteem, post traumatic state.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quality of life and aged. Hope, perceiver health status, self esteem, post traumatic state were predictors of a quality of life Nurses should focus on factors identified in this study when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s to quality of life for middle-aged women.
본 연구는 외상 후 성장, 자아존중감, 희망이 중년여성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총 118명 중년여성 이였으며,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7년 6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프로그램으로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자신과 타인에 관하여 희망적일수록, 자가건강상태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고, 외상 후 성장을 극복했을수록 삶의 질의 점수가 높게 나왔다. 희망, 자가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외상 후 성장은 중년여성의 삶의 질과 순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나이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희망, 자가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외상 후 성장은 중년여성의 삶의 질을 예측할 수 있는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주요 변수들을 고려하여 노년기의 전 단계인 중년여성의 삶의 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길어진 삶 속에서의 삶의 질을 효과적으로 중재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